AJU Business Daily

20대넘어모든연령대­로대학교육대상확대해­야

- 김동원고려대총장주혜­린기자joojoos­ky@

“학령인구 감소와 재정난에 직면한‘대학 위기’ 시대에는 학령인구 중심교육에서탈피해야 합니다.”취임1주년을맞은김동­원고려대총장은 아주경제와 인터뷰하면서 “지난 1년간 학교 체질을 개선하고 재정건전성을제고함으­로써세계를선도하는대­학으로도약하기위해많­은노력을기울였다”고 말했다.김 총장은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급감은 모든대학이마주한 위기”라며 “20대 학령인구만을 대상으로종합대학 모델은 더 이상 유효하지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모든 연령대로 교육대상을확대하고, 각 연령대가 필요로 하는 세대맞춤형교육프로그­램을단과대학별·학부별로 개발해특히고령화사회 중장년층 교육 수요를 충족시켜야한다”고 제안했다.

김 총장은 대학 재정난을 타개하기위해선 “우수 외국인 학생을 적극적으로 유치해 등록금과 수강료 수입을 확대하고, 선진 모금 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음은 김총장과일문일답내용. -총장 취임1주년을 맞았다. 학교운영에 있어서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부분은.

“지난 한 해는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한 뜻깊은 해였다. 각종 평가에서상승세를회복­하면서대학 경쟁력이높아졌으며 옥스퍼드, 예일 등 세계명문대학과실질적­이고구체적인연구네트­워크를구축했다.재정적어려움을이겨내 강한 고대로 나아가는 튼튼한 기초도 마련했다. 개교 120주년을 1년 앞두고있는 2024년은 더강하고더영광스러운 고려대를 향해 큰 걸음을 내딛고자 한다. 현재재학생중약 15%인 외국인 학생 비율을 30%까지 높이고 특수‧전문대학원 교육 프로그램을 수익성 높은 중장년 인구 대상 생애주기별과정으로 개편하겠다. 전 세계인 누구나 수강 가능한 고려대 온라인 강좌‘K-Class’도 시작한다.또지난해부터도입한제­로베이스예산제도를강­도높게시행함으로써예­산운용효율성을최대한­높이도록 하겠다.”

-슬로건으로 내건 ‘강한 고대’는 어떤개념인가.

“제가 취임과 동시에캐치프레이즈로­내건 ‘강한 고대’는 대학 리더십의회복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전체에큰 화두를 던지고 우리가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대학의 위상을 회복하려는목표를갖고 있다. 사회가대학에관심을 두고 소중히여길 수 있도록 리더십을 회복해야 하며, 시대가 요구하는지식을생산하­고사회에헌신하는대학­으로 변모해야 할 것이다. 현실과 가깝고 새로운 혜안을 제시하며, 미래 사회에공헌하는 대학 본래의 모습에충실한 것이대학과 우리사회를 바로 세우는방법이될것으로 생각한다.”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이 위기 상황에 놓이고 있는데, 무엇부터 바뀌어야 할까.

“대학은 더이상 지식을독점하던상아탑­이 아니다. 모든 연령대로 교육 대상을 확대하고, 각 연령대가 필요로 하는세대맞춤형교육프­로그램을단과대학별·학부별로 개발해 고령화 사회 중장년층의교육수요를­충족시키고자한다. 직업 전환 또는 창업에 유용한 학위및비학위과정을 개설하고, 영세기업등을 대상으로 재능 기부 형식의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추진할 예정이다.지난해 기업 후원금을 받아 채용하는‘기금 교수제’를 도입해운영 중이다. 유산, 신탁등기존자산기부시­스템을새롭게 강화해 한국의 성숙한 기부 문화를 주도하는 길에 앞장서겠다. 기술 이전 활성화도 추구할 것이다. 고려대는매년국내특허 1000여 건과 해외특허를 400건 이상 출원하고 있다. 교원 창업 기업이 자본 시장에서 상장되거나M&A를 통해기존 기업에 합병되면 커진 기업의 가치만큼 수익을 공유할 수있는기술이전을추진­할 예정이다.”

-대학 재정 여력이 바닥나고 있다.재정난을극복할타개책­이있나.

학령인구감소대응어떻­게

직업전환·창업관련학위개설국내­외특허출원·기부문화정착

2028학년도대입개­편안평가는

내신5등급상대평가변­별력약해수능자격고사·대학별고사필요

“지난 1년간 학교 체질을 개선하고,재정 건전성을 제고하기 위해 교우 등을 대상으로 전방위적인 모금 활동을전개했다. 그 결과 역대가장 많은 기부금(약 1500억원 기부 약정) 모금을 달성했다. 주요 기부자 및 잠재적 기부자와 소통을 강화하고, 선진모금 문화를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정규 과정및교환 방문프로그램, 국제동·하계 대학, 한국어센터등에우수외­국인학생을적극적으로­유치해등록금과 수강료 수입을 확대하고 있다. 전교차원에서제로베이­스 예산 제도를 도입해 관행이 아닌 사업의 타당성 검토를통해적재적소에­예산을배정하고불요불­급한예산낭비도 제거했다.”

-현 시대에 필요한 인재상은. 현재우리나라 교육에 있어서 꼭 필요한부분은.

“과거에는 지식을 많이알고있는 사람을 뽑았다. 지식의반감기는 7년밖에안 된다. 현 시대에선 평생다른 지식을배워야 하는 상황으로 학습 능력이무엇보다 중요하다. 즉, 앞으로 가능성이더 중요하다. AI 등 과거에는 듣지도 못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문제해결능력이나 창의성등이중요해지면­서덩달아중요해진게리­더십이다.새롭게해결해야 할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문제해결 능력, 학습능력등이중요하고­리더십,소통능력이중요하다.”

-교육부가 발표한 2028학년도 대입개편안을 평가한다면. 그리고 입시제도가어떤방향으­로가야 할까.

“현행 수능 체제보다 출제범위나 반영영역이축소됐기때­문에기존처럼수능최저­학력기준 요건을 유지할수있는지, 또한 수능 위주 전형인 정시를 지금과 같은 형태로 운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부분이고민되는 상황이다. 고교 내신 체계를 9등급에서 5등급 상대평가로 바꾸는 방식은 변별력약화라는 부작용도 발생할 수 있다고 본다. 변별력이약화한다면 개별 대학의선발 자율권강화와 학생선발 방식변경이불가피할 것이다.따라서장기적으로본다­면수능의 자격고사화와 대학의 자율권강화에서부터시­작되는 대학별 고사가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최근의과대학증원논란­에대해어떻게 생각하나. 의대 증원에서 서울권은빠졌는데아쉬­운점은 없는지.

“의사 육성은 공군 조종사처럼많은돈과 준비가 필요하다. 지방 의대에(증원된) 의사를 육성할 인프라가 갖춰져있는지는 의문이다. 각 대학이 인프라구축에많은신경­을써야할것같다. 현재실질적문제는 지방 의대가 없는 것보다지방에병원이없­고환자가없어서다. 환자들이서울에있는 큰 병원으로몰리기 때문에 지방에서 의사를 뽑는다고 해서 의사가 남아 있을지 의문이다. 정부에서 유인책을 제시하는 게큰숙제인 것 같다. 고려대는 기존 의대정원 대비 10%가량인 10명을 증원 신청했다. 다른대학과 달리우리대학은의대 교수들이 숙고해 건의한 내용을 그대로 수용했다.엘리트의료인을양성하­는게목적이기에양적으­로키워나가는게중요하­진않다.”

-의대 쏠림 현상에 대한 우려가 더커지고있는상황에서­이공계에우수학생을진­입시킬방안은.

“기여하는 가치대로 보수가 제대로책정됐는지를 살펴더많은 부가가치와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에대한보수를 상향 책정할 필요가 있다. 반대로 수요와 공급의격차로인해높은­보수가 책정되는 만큼 수도권 의대 정원을 대폭 확대해 의사 공급을 늘린다면다른 계열과 차이를 좁힐수있을 것이다. 대학 내부적으로는 학과·전공 간탄력적인 정원 조정을 통해 의대 외학생들이 선호하는 학과·전공 정원을 확대해학생들이선택하­는 폭을 넓힐수있다. ‘무학과’나 ‘전과’ 제도를 점진적으로확대하고 고도화해 중도 탈락을 예방할 수 있도록 탄력적인 교육과정을 제공하는것이방법이될­수 있다.”

의대증원에서서울은빠­졌는데지방에의사가남­아있을지의문정부의지­방유인책제시가숙제

-2024년 고려대 비전과 계획에 대해말씀해달라.

“세계 역사에 기여하고 사회와 인류에게공헌하는 대학이되고 싶다. 고려대가 세계대학평가에서 30위 안에 드는 게 목표다. 정부의지원 정책과 교우들이활발하게 도와주고, 스스로 발전하는 의지가 맞아떨어지면 세계 30위권 대학은 충분히가능하지않을까 생각한다. 인류에 맞닥뜨린 문제 자체가너무커졌기에이­를같이해결해나가기위­해선 대학 간 네트워크도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기후 변화, 식량 문제,팬데믹 등 인류 위기 상황에서 해법이되는 방향성을 제시하는 역할을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 [사진=고려대] ?? 취임 1주년을 맞은 김동원 고려대 총장은“모든 연령대로 교육 대상을 확대하고, 각연령대가 필요로 하는 세대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단과대학별·학부별로 개발해특히고령화사회­중장년층교육수요를충­족시켜야한다”고 제안했다.
[사진=고려대] 취임 1주년을 맞은 김동원 고려대 총장은“모든 연령대로 교육 대상을 확대하고, 각연령대가 필요로 하는 세대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단과대학별·학부별로 개발해특히고령화사회­중장년층교육수요를충­족시켜야한다”고 제안했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