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여성의시선으로본동아­시아불교미술

호암미술관,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전시

- 용인=전성민기자ball@

동아시아 불교미술을 여성이란 관점에서조망한 대규모 기획전이주목받고있다. 세계 각지에 소재한 불교미술 걸작품92건을 한자리에서만나볼수있­는흔치않은기회다.

‘진흙에 물들지않는 연꽃처럼’ 전시가지난 27일경기용인시호암­미술관에서 개막했다. 한국, 중국, 일본 3국의불교미술에담긴­여성들의번뇌와염원, 공헌을 조망했다. 불교미술 속 다양한 여성상을 소개하고, 그 뒤에숨은 사회의시선과기대등을­엿볼수있는전시다.

이를 위해 전 세계 27개 컬렉션에서모은 불화, 불상, 사경과 나전경함, 자수,도자기등 다양한 장르의귀중한 불교미술 걸작품 92건(한국미술 48건·중국미술 19건·일본미술 25건)을 한 자리에모았다.

‘이건희회장기증품’ 9건을포함해,리움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 불교중앙박물관등소장­처9곳의국보 1건, 보물 10건, 시지정문화재1건 등을 선보인다. 메트로폴리탄미술관과 보스턴미술관 등미국의4개 기관,영국박물관등유럽의3­개 기관,도쿄국립박물관등일본­의11개소장처에서대­여한작품도전시했다.

‘금동 관음보살 입상’,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1-7’, ‘아미타여래삼존도’, ‘수월관음보살도’ 등 9건은 국내에서일반에처음으­로공개된작품이다.또한해외에한·중·일불교미술걸작전세계­27개컬렉션모아

‘백제의미소’불상등9건국내서일반­첫공개

1부선작품속여성상2­부엔여성제작자조명

흩어져있던조선15세­기불전도(석가모니일생의주요 장면을그린 그림) 세트의일부인 ‘석가탄생도’(일본 혼가쿠지)와 ‘석가출가도’(독일 쾰른동아시아미술관)를세계최초로한자리에­전시했다.

1부 ‘다시나타나는 여성’에서는 불교미술 속에재현된여성상을 인간, 보살,여신으로나누어살펴봄­으로써지난시대와 사회가 여성을 바라본 시선을 이야기한다.

여러부처와 보살이남성이기때문에­불교미술 속 여성의 자리는 많지않았다. 그나마 가장 보편적으로 보이는 유형은어머니였다.

어머니 중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인물은 석가모니를 낳은 마야부인이다.불교 전승에 따르면 마야부인은 출산후 7일 만에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석가모니의삶을묘사한­이야기에서는 조명받지 못했다. 석가모니의 일생 중 중요이야기를 시각적으로풀어낸불전­도나불전조각의일부로­표현됐다.

‘석가탄생도’에서는 출산을 마친 마야 부인이 대좌에 위엄 있는 모습으로앉아 있다. 여타의불전도에서는좀­처럼찾아보기 힘든 모습으로, 15세기 조선왕실남성들의시선­이간접적으로 투영돼있다.

7세기 중반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높이 28cm의 백제 ‘금동 관음보살 입상’도 중요한 작품이다. 일제강점기 일본인이가져갔다가 2018년 6월 존재가다시알려진 불상으로, ‘백제의 미소’라는 별칭이 붙기도 했다. 부여 규암리에서 출토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불상은당시문화재청­이최대 42억원에 매입해환수하려 했으나 소유자가 150억원을제시하며­협상이결렬됐다.

2부 ‘여성의 행원(行願)’에서는 찬란한불교미술품너머­후원자이자제작자로서­의여성을조명한다.

중세동아시아여성들은­여성의몸으로는 성불할 수 없다는 교리에도 불구하고, ‘법화경’에 나오는 용왕의딸처럼모든제약­을뛰어넘어부처가되기­를꿈꿨다. 당대최고 권력자의아내혹은어머­니였을 진한국대부인 김씨(辰韓國大夫人 金氏)가 1345년 조성한 ‘감지금니묘법연화경 권1-7’이나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 발원문’은 이같은 차별적시선을 내면화한 고려시대여성들의 자기 인식과 이를 넘어선 성불에의염원을 동시에 드러낸다. 반면 중국 원대 회화인 ‘유마불이도’에서는 남녀를비롯한 모든 분별을 뛰어넘는 ‘불이(不二)’의지혜를읽을수있다.

전시를 담당한 이승혜 큐레이터는“시대와 지역, 장르의구분을 벗어나 여성의염원과 공헌이란 관점에서불교미술을 조명하는 새로운 접근을 통해전통미술 속에서동시대적의미를 발견할수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전시는 오는6월 16일까지.

 ?? ??
 ?? [사진=호암미술관] ??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전시 전경 ▶‘백제의 미소’라는별칭이 붙은 ‘금동 관음보살 입상’, 개인소장
[사진=호암미술관]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전시 전경 ▶‘백제의 미소’라는별칭이 붙은 ‘금동 관음보살 입상’, 개인소장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