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LG디플도LCD패널­철수…국내기업전멸로중국의­존도심화될듯

마지막남은중국공장매­각나서

- 이성진기자leesj@

중국업체들인수전… BOE가유력한국주력­OLED TV는15%역성장글로벌TV시장­아직도LCD가 97%삼성·LG등패널협상력떨어­질전망

중국의 ‘디스플레이 굴기’로 시작된‘LCD 치킨게임’이 조만간 막을 내릴 전망이다. 삼성디스플레이가 LCD 사업에서철수한 데이어 LG디스플레이도 마지막남은 LCD TV생산라인매각검토­에 나섰다. 이에삼성전자와 LG전자 등TV 제조사들의중국 의존도가 심화될것으로보인다.

1일 업계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는중국­광저우공장등 LCD 자산의전략적활용을 위해매각 등다양한 검토를진행중이다.

LG디스플레이광저우­공장인수전에는 BOE, 차이나스타(CSOT) 등중국업체들이 참전한 가운데 BOE가 유력할것으로 전해졌다.업계에서는연내매각절­차가마무리될것으로보­고있다.

이 공장은 한국 기업의 유일한 LCD TV 패널 생산라인이다. 앞서 삼성디스플레이는 2022년 LCD 사업에서 철수했으며, 같은해 LG디스플레이도 국내LCD TV 패널생산라인가동을종­료했다. 광저우 공장의 생산량도 지난해부터50%축소해운영하고있다.

LG디스플레이의 광저우 매각은

OLED 중심의사업구조전환전­략에따른것으로풀이된­다. 2010년대부터중국­의공격적인투자와가성­비를앞세운물량공세로­수익성이악화되자국내­패널업체들은 OLED로 사업을 전환하는등‘LCD 출구전략’에속도를내고있다.

시장조사업체옴디아에­따르면 지난해기준 LCD TV 패널출하량 2억5827만대중 중국 업체비중이 60% 이상을차지했다. 중국최대패널업체인 BOE를비롯해 CSOT, HKC 등이각각 6018만대, 4840만대, 3900만대 출하했다. 반면LG디스플레이는­1334만대에그쳤다.

적은물량이지만국내공­급망이완전히 사라지게 되면서 삼성전자와 LG전자등국내TV제­조사들의근심도깊어질 전망이다. 중국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향후 패널 협상에서 불리한 위치에놓일위기에처한 것이다.

앞서삼성디스플레와 LG디스플레이가 2021년 LCD TV 패널 생산 중단을발표했다가 제조사들의공급요청으­로계획을 연장한 것도 이같은 우려 때문이다.

이충훈 유비리서치 대표는 “LG디스플레이가 광저우 공장을 매각하더라도각 회사별로 계약기간을 정해놓는 등‘안전장치’는마련해놨을것”이라면서도“그이후가문제”라고말했다.업계한관계자도“치킨게임은 끝났다”며“LG디스플레이의 기계약 물량은 길어야 1년일것이며,제조사들은추후협상에­불리한측면있을것”이라고우려했다.

국내 패널업체와 제조사들은 OLED전환을 통해 중국에 빼앗긴 주도권을탈환한다는 계획이지만, OLED TV 성장이예상보다더뎌지­고있다.

지난해전체 TV 출하량 2억135만대중 LCD가 97.2%로 여전히높은비중을차지­했다. OLED TV 시장은 삼성전자의참전에도불­구하고지난해출하량이­557만대로, 전년 대비 14.7% 역성장했다. 10년 이상 OLED TV 사업을이어온LG전자­도전체TV 80%이상이LCD다.

LCD를 장악한중국은 TV 시장의패권도 노리고 있다. 지난해중국의 LCD TV 출하량은 글로벌 경기침체 속에서도 7752만대를 기록, 전년대비소폭상승했다. 주요 국가 중 LCD TV 출하량이증가한 곳은 중국이 유일했다. 한국은 5.7% 감소한 5603만대를 기록했다.

업체별로 보면 삼성전자가 3645만대로 1위를 유지했지만, 전년 대비로는7.6% 감소했다. 반면 TCL(2526만대)과하이센스(2295만대)는 각각 6.2%, 7.4%증가하면서삼성전자와­의격차를 좁혀가고 있다. 중국의LCD 약진으로 LG전자는 전체 TV 시장에서도 점유율 4위로내려앉은상태다.

옴디아 관계자는 2022년 삼성디스플레이의LC­D셧다운발표후“삼성전자는중국의존도­가높아지게됐지만,중국패널업체입장에서­는 TCL과 하이센스등자국 TV 제조사들의출하량이크­게성장하면서아쉬울게­없어진상황”이라고우려한바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