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국민체감규제개혁이성­공하려면

- 정근영규제혁신추진단­전문위원

정부가 출범할 때마다 규제혁신을 강조하고추진해왔지만­성과는만족스럽지못했­다.가장큰이유는기본과원­칙에충실하고국민이공­감하고체감하는규제혁­신을 했는지되돌아봐야한다.

또 중앙에서규제혁신을 외치고 주진하고있으나 이를 국민 입장에서, 현장에서 보면과연 무슨 규제 개혁을 하고 있는지 체감을못하고막연하기­만하다.

규제란너무크게범위를­정해덩어리규제라는 말을 많이하고 있는데여러가지작은규­제들을묶어덩어리규제­라는말을쓰기도하지만 실제로 이를 세분화해서 봐야 한다.하나하나 살펴보면서 국민생활과 관련이있는 규제조항을 합리화하거나 유연하게하거나아니면­폐지하거나해야 한다.

규제는 목적과 효과, 비용, 투명성, 책임성등을평가하고균­형을유지하는데중요한­원칙이중시돼야 한다.

규제는 합리화가 중요한데, 합리화란 어떤규제는너무강하고­어떤규제는느슨해서국­민 입장에서볼 때 납득하고 그 당위성을 이해할수있어야하며이­에따라혁신의필요성을­인식해야 한다.

대체로 환경, 안전, 교통 등은 대부분 규제로서 좀 더 완화하거나 강화해야 할 부분이있다.이때규제의목적과효과­성을고려해국민생활이­나아져야 하고 투자와 경제활성화가전제돼야 한다.

과거정부마다 규제혁신을 추진했지만 성과가 미진한 이유는 공무원 수를 늘린 데도원인이있다고 볼 수 있다. 공무원수를 늘리면 규제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이유는 공무원은 무슨 일을 하든지 윗선에 보고해야 능력을 인정받는다. 따라서공무원수를줄이­지않는한규제는줄어들­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규제를 줄이려면 과감하게공무원 수도 줄여야 한다. 이때 과감해서는안될점은일­은안줄이고공무원수만­줄이면 남아 있는 공무원은 늘어난 일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밤새워일을 할 수밖에없는 구조다. 반드시 일도 없애야 한다. 규제혁신을할때반드시­고려해야할 점이다.

규제가 많을수록 공무원 수는 증가할 수밖에없다. 이를뒷받침해주는이론­으로영국행정학자파킨­슨이주장한‘파킨슨 법칙’이있다. 영국 해군에서 근무하던 파킨슨은 1914년부터 1928년까지 함정은 67%, 장병 수는31.5% 감소했으나 해군 행정인력은 오히려78%나 증가했음을 발견했다. 즉해군조직의크기나 업무량이줄어든 데반해행정인력은매년 5.7% 증가한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두 가지로 나눌수 있다. 그하나는 부하배증의 법칙이다. 어떤공무원은업무량이­늘어날 때업무 분석이나 재분배를통해서일을하­는대신대부분의공무원­은신입공무원의보충을­통해서업무경감을꾀하­려는심리적특성이존재­한다.

다른 하나는 업무배증의 법칙이다. 신입공무원이늘어나면­조직내부의업무(부하에게 지시, 통제, 업무보고 등)가 늘어나 업무량이더증가하게된­다.

규제혁신은 민원 해소나 전산망을 이용할수있는시스템구­축등으로규제혁신을했­다고 하기에는 미흡하고 실제일선에서접하고있­는우리국민들이체감할­수있어야 한다.

합리적인 규제는 경제활동과 사회적이익을조화롭게­보호하고균형을이루기­위해시행되는 방식이다. 그러기위해서는 다음과 같은원칙이있어야 한다.

첫째, 사회적이익을보호하고­개선해공공이익을 증진시키기위해필요한 경우이다. 둘째, 비용과 효과를 고려해 설계해야 하며 서로의목적을달성할수­있는방식에서찾아야한­다. 셋째, 시장의 실패나 부족한 자율조정기능을보완하­기위해서필요하다. 넷째, 투명한가운데이뤄져야­하며규제담당부서는책­임을 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규제혁신이 이뤄져야 하며 규제혁신으로 추진된시책은 반드시끝까지추적해관­리하는시스템이제대로­갖춰질때우리국민은그­규제개혁을체감할수있­게된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