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4월건설업위기설’일축한박상우장관“공사비현실화·부동산규제철폐”약속

- 남라다기자nld81­20@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최근 불거지고있는 ‘4월 건설업위기설’은 과장된 측면이있다고 선을 그었다. 현재물가 상승분을 반영해 공사비를 현실화하고 부동산 실물 지표도 좋아지고 있는만큼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연착륙이가능할것이란­자신감도내비쳤다.

2022년 발생한 전세사기 사건으로전세제도에대­한불신이커지고있는가­운데박 장관이취임이후 대안으로 제시한 ‘기업형 장기민간임대’는 건설업계와 합의한 만큼 시범적으로 시행에 착수하기위한대책수립­에돌입할계획도밝혔다.

박상우 장관은 취임 100일을 맞아 2일 세종시정부세종청사에­서기자간담회를 열어부동산 관련주요 현안과 향후정책목표를밝혔다.

우선최근 우려됐던 4월 건설업위기설과 관련해 “작년 태영건설이 워크아웃(기업회생)에 성공적으로 합의하면서정부 내에서도 PF에 대한 문제가 많다는 인식은 있지만 실물 지표를 보면 전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준으로 보고있다”고 말했다.

이어그는 “이미 계약한 공사에서공사비에스컬­레이션(물가 상승을반영한공사금액 조정)은 차질없이진행돼애로 사항은 없다”며 “다만 신규 공사 공사비가낮아유찰되는­것들은기획재정부와합­의해공사비를현실화하­는방식으로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본다”고 말했다.

다만 국민 세금을 투입해 자금난에허덕이는 건설사 지원에 나서지는 않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했다. 박 장관은 “정부가 개별건설사를 지원하기위해국민세금­을투입하는것은있을수­없다”면서 “모든 회사가 부도나지않도록 인위적으로 지원할 수도 없다. 공적보증 등 금융기관을 통한 측면 지원을통해연착륙할수­있게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건설시장 침체를 불러오는규제는 과감하게 완화하겠다는 뜻도내비쳤다. 국토·교통 전문가인 박 장관은 그간 침체된 건설 시장 회복을 위한규제 완화에 중점을 두고 정책을 추진해 왔다. 박 장관은 취임사에서 “이념이아닌 현실과 시장 원리에기초한 주택정책을 펼치겠다”고 각오를 밝힌바있다.

박 장관은 “지난 정부 때 막은 규제를 풀어줄 때 됐다”면서 “감기 걸렸을때감기약 먹었는데컨디션이정상­으로돌아와도먹는사람­은 없다. 약끊을땐끊어야 한다. 국회를 잘 설득해규제완화를 약속한 법안을 통과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최우선적으로 국회를 통과해야 할규제로는‘재건축 3대규제’로꼽히는△분양가상한제(분상제) △안전진단△재개발초과이익환수(재초환)를 꼽았다.

박장관은“재건축을 하면집값이오른다고하­지만사실은재건축을시­장의힘으로할수있는지­역이많지않다”면

서“공사비가 많이올라서분담금을내­고 재건축한다고 해도 집값이 남을지의문인 지역들이 많다. 전국에 똑같이적용할순없다”고 지적했다.

부동산 매매 시장과 관련해선 지표가 나아지고 있으나 문제가 발생할 것에대비해대책을마련­하겠다고말했다.박장관은“전세계약갱신사례를보­면역전세가 나타나는 곳이 40~45% 정도라전국적으로전셋­값이위험하다고말하기 어렵다”며 “다만 전세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로 간다면 대책을 준비해바로조치하겠다”고덧붙였다.

전세제도 대신 기업형 장기민간임대를 시범 운영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도피력했다.

박 장관은 “기업형 장기민간임대는업계와­공동으로시범사업을하­자고이미합의한 상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현재 사업을 진행중인업체들이있는­데 규제를 풀면 수익이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분양 대책과 관련해선 “지방 미분양은 심각한 수준이다. 지방 미분양 물량 해소를 위해기업구조조정 리츠(CR리츠)를 최대한활용할 것”이라며“현재까지 지방보다 심각한 상황이아닌 수도권 미분양 해소를 위한 특별한 대책을강구하고있지는­않다”고 말했다.

국토부장관취임100­일간담회“국민세금써건설사지원­안돼”공적보증등금융기관측­면지원전세대안기업형­민간임대추진

 ?? [사진=국토교통부] ??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취임 100일을 맞아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개최­한 출입기자단기자간담회­에서발언하고있다.
[사진=국토교통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취임 100일을 맞아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개최­한 출입기자단기자간담회­에서발언하고있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