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계속되는공모가거품논­란…기관‘단타’에개미들‘속수무책’

- 장수영기자swimm­ing@

공모주 시장이호황이지만 기관투자자들이 ‘그들만의 잔치’를 벌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파두 사태’이후 공모가 거품 논란이 계속되고 있지만여전히공모가를­최상단에책정하고 상장 직후 차익을 보는 행태가 계속되고있다.

3일금융감독원에따르­면올해1분기스팩, 이전상장, 재상장 등을 제외하고주식시장에 신규 상장한 기업 14곳 모두공모가 희망범위(밴드) 상단을초과하는 가격에 공모가를 확정했다. 지난해‘파두 사태’이후공모가거품논란이­계속되고있지만여전히­공모가는상단을초과한­것이다.

공모가 밴드 상단을 초과한 비중이100%를 달성한건분기별로 2015년 1분기, 2021년 1분기에이어이번이역­대세번째다.

금융당국은지난6월이­후상장첫날주가가 공모가 대비최대 400%까지 오를 수있게 했다. 1분기 신규 상장한 14개회사의공모에참­여한 뒤상장 첫날시초가로 매도만 해도 평균 수익률이168%에 달한다.

연간 공모가 대비 시초가 수익률과비교했을 때역대 최고 수익을 누릴 수있다. 지난해평균 83.8%와 비교해도 2배가까이높다.

수익률이 높아지며 기관투자자들은최대한 많은 물량을 받기 위해 수요예측에서높은 가격을 써내고 있다. 이러다보니기업가치보­다공모가자체가비싸게 책정된다. 공모에 참여하는 기관들은 신규 상장 기업의몸값은 높게평가하고있지만 성장성은낮게평가하고­있다.

1분기 기관투자자의 의무보유 확약비율은 평균 11.3%로 나타났다. 10곳2분기도공모주­청약열풍여전기관아이­엠비디엑스353억팔­때개인444억매수…손실떠안아중1곳만일­정기간주식을팔지않기­로약속하고 공모주를 신청한 것이다. 상장 시 공모가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보고 바로 매도할 수있도록 의무보유 확약자체를안하는셈이­다.

1분기 가장 최근 상장한 엔젤로보틱스와 삼현의 의무보유 확약 비율은 각각 15%, 12%에 그쳤다.오상헬스케어의경우 의무보유 확약 비율이3%로 낮았다. 의무보유 확약 비율이 낮으니 상장후 기관들의 물량이 시장에 쏟아지는일도생긴다.

지난해부터 공모주 상장 후 주가 변동성 확대를 막기 위해 의무보유 확약기간별로 물량 차등 배정이 이뤄지고있다. 그러나 기관투자자들은 의무보유확약을 걸어서물량을 더받는 것보다적은 물량이라도 챙겨 상장 당일 주가가 올랐을 때비싼 값에매도하는 것이훨씬 유리하다는 판단이 작용하고 있는것으로보인다.

기관투자자들이공모 과정에참여해몸값을높­이고 신규 상장한 뒤바로 현금화해 막대한 차익을 누리는 가운데개인투자자들은 철저하게소외되고 있다. 지난 2월 상장한 에이피알 주식을 1주받기위해투자자들­은최소 2억3600만원의증­거금을 넣어야 비례배정으로1주를 챙길수 있었다. 균등배정의경우1명당 0.06주, 즉 100명 중 6명만이 1주씩배정받았다.

‘빈손 청약’에 그친 개인투자자들은에이피­알 상장 당일 2581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평균매매단가는 38만4271원으로­공모가는 25만원이다. 기관투자자대비 53% 비싸게산 셈이다. 상장 첫날에이피알 주가는 40만원을 넘어서기도했지만현재­는 25만1000원으로 공모가수준으로 하락했다. 상장 첫날 매수한뒤지금까지보유­할 경우 개인투자자의손실은-30%에달한다.

이런 상황이 이어지고 있지만 공모주 청약 열풍은 2분기에도 이어지고 있다. 3일 상장한 아이엠비디엑스는 공모가를 희망 밴드 상단을 초과한 가격에확정했지만 의무보유확약 비율은 3.5%로 낮았다. 아이엠비디엑스 상장 첫날역시기관은 353억원어치를 팔았고 개인은 444억원을 사들였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상장 당일수익률이높아지다­보니기관들이‘단타’를 치는 경향이 강해졌다”며 “의무보유확약이 강제도 아니기 때문에 공모에참여한기관투자­자들이상장당일막대한­차익을누리고개인투자­자들에게물량을 떠넘기는 양상이 이어지고 있다”고말했다.

기관,공모과정서몸값높인뒤­상장첫날‘매도폭탄’…현금화1분기14개사­평균수익률168%의무보유확약있으나‘유명무실’

 ?? ??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