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AI시대,저널리즘의미래는?

정당한대가없이뉴스콘­텐츠무단사용…뉴욕타임스,오픈A·I MS제소빅테크‘공정사용’내세우지만명분약해… AP·르몽드등저작권합의도­협상력취약한소규모·비영어권언론사공동전­선…한국,아직걸음마단계

- 이병종숙명여대국제관­계대학원교수

언론을 전공했고 언론을 가르치는 사람으로서 걱정스러운 현실은 갈수록 언론계에 진출하려는 학생이없다는 점이다. 1980년대 대학 졸업당시신문사는언론 전공자로서최고의 직장이었다. 그러나 서서히방송이그자리를­빼앗고그다음에는 광고, 그리고홍보분야가 이를 차지했다. 이제는 소셜미디어가 최고대세가 되어서유튜버가 되는 것이많은 젊은사람들의꿈이 되었다. 뉴스를 다루는 언론계의인기가갈수록­추락하는가운데어쩌면­언론산업을고사시킬가­장강력한도전자가 나타났다.즉인공지능, AI가 그것이다.

AI가 언론산업에피해를끼칠­수있는방법은여러가지­있지만그중가장우려되­는부분은뉴스콘텐츠의­무단 사용이다.인공지능시스템이나앱­을학습시키는가장기초­적이고중요한 데이터가 뉴스 콘텐츠인데 AI 회사들이이를 정당한 대가 지불없이사용하는 경우이다. 이런우려때문에미국뉴­욕타임스는지난연말 챗GPT를 운영하는 오픈AI사와 마이크로소프트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소장에서이신문은양사­가 자사의저작물을 허가나 대가 없이사용해서저널리즘­에대한 막대한투자에무임승차­하기때문에“수십억달러의법적손실­과실제손해를보상할 책임이있다”고 주장했다.

AI의 콘텐츠 무단 사용에 관한 분쟁은 뉴스에국한되지않는다. 전세계최대사진아카이­브 업체인 게티이미지는 이미지 생성 AI 업체인 Stability AI를 상대로 1조8000억 달러에달하는손해배상­을청구했고존그리샴등­인기소설가들역시자신­들콘텐츠가무단사용된­다는 점을 들어비슷한 소송들을 제기하고있다. 할리우드 영화나 드라마 제작자들도 같은 움직임을 보여이는 AI를 운영하는 빅테크회사들과 콘텐츠 메이커 간에 전방위에 걸친전쟁으로확산되고­있다.

그러나 AI에 가장타격을받는대상은­역시뉴스 매체 산업이다.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보고서에따르면작년한 해미국에서는 신문사기자 자리가 2700개 사라졌고 매주 평균 2.5개신문이 폐간되었다. 지난 10년간 46개 대형뉴스 사이트의 트래픽은 43% 증가했으나 이들회사의매출은 56%나 감소했다. 지난 20년간미국에서기자­숫자는 3분의 2나 줄어들었고신문사숫자­는3분의1 감소했다.

사실언론사의이러한추­락은 AI 출현이전부터 시작되었다. 구글 등 검색엔진이나 페이스북 같은 소셜미디어가 주범이다. 이들이 디지털광고를독점하며­언론사, 특히소규모, 지방 신문사를 고사시킨 것이다. 그래도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등 대형전국 신문사들은디지털변신­을성공적으로이뤄내오­히려사세를키운바 있다.뉴욕타임스는디지털체­제변화와경영혁신을통­해지난 10여 년간구독자수를 약 100만명에서 1000만명 정도로 10배확장하는놀라운­성과를거두기도했다.

그러나 AI 환경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생성AI의 대형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은콘텐츠의출처를찾기­어려운경우가많기때문­에대형언론사라 하더라도 이에대한 정당한대가를요구하기­가어렵다.또한언론사의유료구독­장벽도회피할수있기때­문에그문제가더욱 가중된다. 무엇보다 생성 AI는 언론사사이트나 기사를 직접클릭할 필요가없기때문에클릭­에의한 트래픽을통해광고수입­을얻는언론사로서는난­감할수밖에없다.

이에대해 AI를 운영하는 빅테크 회사들은소위공정 사용(fair use)이라는 개념으로자신들을 방어한다. 즉저작권이있는내용도­원문을그대로사용하지­않고 상당히(substantia­lly)변환해서 사용하고, 또 변환된내용을 가지고원문과같은시장­에서경쟁하지않을때에­는저작권의예외가 적용된다는 점을들고 있다. 그러나결국은 AI 생성콘텐츠로인해원작­콘텐츠의트래픽이줄어­드는것은자명하기때문­에이는궁색한변명으로­들린다.

그런 이유로 AI 회사들은 콘텐츠 메이커들과 협의를 통해사전에이문제를 해결하고자한다. 뉴욕타임스의소송도 결국은 최종 판결까지길게는 10년이 걸릴수있어서양사는사­전합의에이를가능성이­높다. 오픈AI는 벌써미국 AP통신, 독일 미디어기업인악셀스프­링거, 프랑스르몽드와보상협­상을완료했다.구글도뉴욕타임스와 AI 관련저작권합의를보았­다.

그러나 이런 협상은 대개 세계적인 언론사들, 특히영어를사용하는대­규모언론사에해당되는 얘기다. 이들은 막강한 콘텐츠를 바탕으로 우월적인 협상력을 이용해 유리한 협상을 이끌어낸다. 협상력이취약한 중소 언론사나 비영어권 언론사로서는 쉽지 않은 일이다.그렇기 때문에 소규모 혹은 비영어권 언론사를 위한 별도의대책이필요한데­이는 개별이아닌공동전선을­통한단체협상이다. 또이를위해 정부 규제기관의 지원이 필요하다. 현재캐나다나 호주 등 정부는이를 위해적극적으로노력해­어느정도성과를거두고­있다.

한국에서는 이런 협상이아직시작 단계다.한국신문협회는 작년 7월 문화체육관광부에의견­서를 제출해서뉴스 저작권 보호를 촉구한 바 있다. 뉴스 비용을 지불하지않는 한국관행에편승해그간 엄청난 이익을 누려온 네이버는 자사 AI의 저작권관련개선을약속­했지만 구체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언론사의 반발을사고 있다. 이와 관련해지난달에는언론­사, 학자, 변호사등이모여 ‘AI 시대뉴스저작권 포럼’을 발족해 적극적인 대책을 다짐하고있다. 이런 움직임이 과연 언론사를 회생시켜추락하는기자­라는직업의인기를만회­할지는두고볼일이다. ▷연세대 언론정보학 박사 ▷AP통신 특파원 ▷뉴스위크 한국 지국장 ▷서울외신기자클럽회장

 ?? ??
 ?? [게티이미지뱅크] ??
[게티이미지뱅크]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