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위기관리·수출회복호평민생안정·내수회복과제

윤정부2기경제팀이끈­지100일부동산PF­대책·증시밸류업성과상반기­중‘역동경제로드맵’발표

- 김성서기자 biblekim@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사진)이 윤석열 정부 2기 경제팀을 이끈 지 100일 됐다. 핵심어젠다인 ‘역동경제’ 밑그림을 그리는 데주력해온그는 조만간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담은청사진을발표할예­정이다.

지난해 극도로 부진했던 수출도 올들어회복세를보이며­국가경제에온기를 불어넣고 있다. 향후 과제로는 물가안정과내수회복이­제기된다.

4일기재부에따르면지­난해12월 29일 취임한 최부총리는 6일 취임 100일을 맞는다. 최 부총리는 임기 시작부터양질의일자리­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기위해혁신과이­동성이선순환하는역동­경제를 구현하겠다고 포부를 밝힌 바있다.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이 점차 하락중인만큼 경제·산업·사회 구조에변화를이끌어경­제역동성을 회복시키겠다는 복안이다. 올해 초 발표된 경제정책방향을 통해서는 혁신 생태계 강화, 공정한 기회 보장, 사회이동성제고등을3­대과제로제시하기도했­다.

그동안 관련 전문가뿐 아니라 청년,중소기업등정책수요자­들과도적극적으로 소통하며 해법 마련에 부심해 왔다. 최부총리는 “현장에진심인기재부라­는 평판을 듣고 싶다”고 입버릇처럼말한다.

성장률과 이동성을 동시에 높일 수있는 방안이 우선순위로 거론된다. 일례로 중소기업 성장 사다리가 제대로작동하면생산성­이향상되고일자리질이­개선될가능성이높다. 이를 통해노동시장 이중구조 등 노동개혁 과제도자연스럽게해결­할수있다.

기재부는 현장 의견을 반영해 올 상반기중향후3년간실­천계획과지향점을담은 ‘역동경제 로드맵’을 발표할 방침이다. 또이달 내로 세부적인추진과제인 사회 이동성 제고 방안, 다음 달중중소기업성장사다­리강화방안등을차례로­내놓기로했다.

최 부총리는 국가 경제 위기 관리에도 일정 부분 성과를 냈다. 취임 첫날부터이창용 한국은행총재등 경제수장들과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F4회의)를 열고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에 따른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고 대책을 논의했다.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감이 커졌지만 ‘질서 있는 연착륙’을 위해 85조원 규모로 유동성공급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등 성공적으로진화했다는­평가가나온다.

기재부증권제도과장시­절‘자본시장통합법(자통법)’ 제정에앞장선최부총리­는 국내 증시 저평가 현상을 일컫는‘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밸류업프로그램수립에­도주도적으로나섰다. 기업이스스로의가치를­자발적으로높여 나가도록 지원하는 게 골자인데국내외 투자자와 글로벌 투자은행(IB)등에서긍정적인평가를­받고있다. ◆생산·수출개선…체감경기와온도차극복­은‘숙제’

경기회복세도 가시화하는 모습이다.반도체 등 주력 산업 업황이 호전되며생산과 수출 모두 개선되는 국면이다.지난달수출은1년 전보다 3.1% 증가했고 생산은 전년동기대비 1.3% 확대됐다.수출은 6개월, 생산은4개월연속늘어­나는추세다.고용률도역대최고치를­경신하며견조한흐름이­이어지고있다.

다만 내수 회복이 더뎌 체감 경기가여전히냉랭한건‘옥에 티’로 꼽힌다. 고금리기조에고물가까­지겹쳐소비여력이약화­한영향이다.

최 부총리의 다음 과제는 거시경제지표 개선이 체감 경기 회복으로 이어질수있도록 정교한 연결 고리를 만드는 것이다. 기재부는농산물등물가­불안요인관리를강화하­는한편가격안정을 위한 구조적 개선에도 나설 계획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상반기 민생안정과 내수 보강용 정책 노력을 지속하면서잠재성장률 제고를위한 구조적인대응을 병행하겠다”며 “소비·투자 개선에도움이될 정책과제를 신속히추진하고잠재리­스크관리에도만전을기­할것”이라고 말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