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하반기본격반도체호황­기준비…소부장,생산량·재고더늘린다

- 김성현기자minus­1@

1월전자부품위주생산­량급등유사반도체소자­전년비77%⊞재고212.8%늘리며‘총알장전’현대차AI칩발주등호­재속속

반도체 업턴(호황)과 맞물려국내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의생산량도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반도체관련부품업­계의회복세가두드러진­다.

반도체 관련 소부장 기업들은 생산량뿐 아니라 재고도 빠르게늘리고 있다. 상반기회복세에이어하­반기부터는본격적인호­황기에들어서수요가폭­증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반도체업턴 시황은 소재 관련 소부장 기업뿐아니라 국내제조업전반에도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면서 제조업평균가동률이2­022년 7월이후최고수준을기­록했다.

4일 한국기계산업진흥회 ‘2024년 3월 소재·부품·장비 산업동향(1월 실적)’에 따르면 지난 1월 국내 소부장 산업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1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하량은 13.1%늘었다.

특히 부품업계 생산량 증가가 눈에띄는데 전자부품 등 반도체관련 부품업계 생산량이크게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기준 전자부품 부문생산량은전년동기­대비 38.6%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전자집적회로 생산량이61.5%, 다이오드·트랜지스터및유사반도­체소자가 76.85%, 인쇄회로기판 및전자부품실장기판이­59.6% 늘었다.

전자부품 분야 생산량 증가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반도체기업의생산­량 증가와 연관이있는 것으로분석된다.

부품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부품 생산량은반도체생산량­보다 1~3개월 앞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기업이 시장 상황을 보고 생산계획을 수립하면생산하기에 앞서 협력사 등에 부품을주문하면서다.

통계청 ‘2024년 2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소부장업계 생산량이 급등한지난 1월 반도체 생산량은 전월 대비8.2% 감소했지만 2월에는 4.8% 증가했다. 전년동기와비교하면 65.3% 늘어난수치다.

부품업계는 생산량 확대와 함께 재고도늘리고 있다, 이는올해상반기반도체­호황과 함께관련 수요가 급증할것이라는기대가­배경으로분석된다.

국내 소부장업계의지난 1월 재고는전년 동월 대비 20.3% 증가했으며, 특히전자부품재고는 37.3% 늘었다.가장높은 재고를 쌓은 업계는 다이오드·트랜지스터및유사반도­체소자업종으로재고량­이전년 동월 대비 212.8% 늘었다. 반도체업턴과 함께수요가 증가할것으로기대하면­서생산량과재고를동시­에확대한것으로전해진­다.

이업종에서지난 1월 출하량은전년동기대비 62.1% 증가했다.지난해10월3.4% 증가에그쳤던 출하량이올해들어폭발­적으로 성장한 것이다. 국내반도체생산량이본­격적으로 증가한 2월부터는 출하량이더크게증가한 것으로추정된다.

올해 초부터반도체업턴과 함께 회복세를 보인 소부장업계는 하반기에는더욱 큰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1분기 가동률 바닥을 확인한 삼성파운드리가 하반기부터가동률을높­이면서흑자 전환에 성공할 것으로 관측되면서다.

특히 하반기에는 △삼성의 범용인공지능반도체 마하1(Mach-1)의 데이터센터업체공급△현대차그룹의삼성파운­드리 5나노(㎚) 적용 고성능 AI칩 발주등 대형 호재가 예상되면서 반도체 부품뿐아니라 통신·전기부품 및 장비, 수송부품 등 소부장 분야 전반에서생산량 증가가 나타날 것이라는 게업계관계자의설명이­다.

반도체업턴은 소재·부품·장비 외에여타제조업회복에­도영향을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2월 국내전산업생산지수는 115.3으로 전월대비 1.3% 상승했으며제조업출하­는 전월대비 2.6% 늘었다. 제조업평균가동률은 2022년 7월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하는 등 제조업생산 수출 중심경기회복 흐름이더욱뚜렷해지는­모습이다.

국내반도체 기업에 부품을 납품하는 한 소부장 기업 관계자는 “1월부터생산량이늘기­시작해 2~3월에는 뚜렷한 회복세를 보인다”며 “하반기에는 물량이부족할 것을 우려해 공장을 최대한가동하고있다”고 말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