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고인물’은행권…수년째이익나눠먹기

예수·대출금점유율제자리

- 전상현기자 jshsoccer7@

5년간시장규모30%이상성장5대시중은행­점유율변동없어전면경­쟁위한체질개선나서야

시중은행권의각사별 예수금·대출금시장점유율이수­년째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시장을 적절히분할해이익을 취하는 이른바 ‘쿠르노 과점’체제가지속된다는해석­이나오는만큼 은행권 체질 개선 작업에 속도를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점차 커지고있다.

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은행별 원화예수금 점유율은 △ KB국민은행 20.6%(335조원) △ NH농협은행 18.7%(303조원) △신한은행 18.3%(297조원) △하나은행 17.9%(292조원) △우리은행 16.9%(275조원) 순이었다. 같은 기간 원화대출금 점유율은 △ KB국민은행 19.3%(336조원) △하나은행 16.5%(287억원) △신한은행 16.4%(286조원) △NH농협은행 15.8%(275조원) △우리은행15.7%(274조원)로 집계됐다.예수금은자금을 운용할 수 있는 예금 자금을뜻하고,대출금은사실상수익을­내는주 수익원으로 꼽혀 해당 자금들은은행들의영업­력척도로여겨진다.

눈여겨볼점은수년간해­당점유율수치들이 1%포인트 안팎 변동만 보이며고착화되고있다­는 점이다. 2018년 말부터 지난해 3분기 말까지 수치를 확인한 결과 KB국민은행의 예수금 점유율은 20~21%대를 유지했다. 신한은행은 17~18%대, 하나은행은 16~17%대, NH농협은행은 17~18%대, 우리은행은 16~18%대에서 변동했다. 대출금 점유율 역시 KB국민은행 19~20%대, 신한은행 16%대, 하나은행 15~16%대, NH농협은행15~16%대,우리은행15~16%대를 기록했다.

금융권은 무엇보다 최근 5년간 예수금·대출금이모두증가했음­에도점유율이유지되고­있는 점에주목하고있다. 실제 2023년 3분기 말 기준 5대시중은행예수금은 1504조9442억­원으로 2018년 말 대비 36.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대출금도 1459조3289억­원으로 2018년 말대비 35.38% 늘었다. 시장 규모가 커졌지만 각 은행별 시장 점유율은 별다른변동이없었다는­얘기다.

이때문에 은행권에 ‘쿠르노 과점’체제가고착화되고있다­는지적도나온다. 신성환한국은행금융통­화위원은“최근몇년간경기침체에­따른금융 리스크들이산적하면서­은행들이암묵적으로큰­변화를가져가질않는쿠­르노 과점 체제를 보이고 있다”며“어느 한 곳이전면적변화를 가져가면타사들도이에­상응하는변화가불가피­해이에따른불확실성또­한커질수있기때문”이라고말했다.

쿠르노 과점 해소를 위해선 정부가 지난해 초부터 추진한 은행권 체질개선 작업에속도를 낼 필요가 있다. 당국은 지난해 은행권에 대해 신규 플레이어진입을 허용하겠다고 선언했다.그러나수요는미미했다.그나마 DGB대구은행이시중­은행전환을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체면치레를 했다. 당국은은행과비은행간­경쟁확대계획도내놨지­만업권간이해관계조정­에어려움을 겪으면서답보 상태에머무르고있다.대표적으로비은행권에­대한지급결제허용등이­은행권의 강한 반대에 부딪쳐 해당 논의가흐지부지된상태­다.

금융소비자단체 관계자는 “최근당국의은행권개혁­움직임으로예대금리차 공시 제도 개편, 대환대출 플랫폼 출시 등 소기의 성과가 있었지만 소비자들이크게체감할 만한 전면적 변화는 없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기존 은행권이단순 예금을 유치하거나대출이자를­받는사업구조에서벗어­나 전면적 경쟁을 할 수 있는움직임이필요하다”고말했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