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국가온실가스배출량2­년연속감소…정부“녹색자금450조지원”

탄녹위·환경부,전환·산업·건물·수송부문배출량분석

- 최윤선기자solar­choi@

2022년6.54억t… 2010년이후최저작­년4대부문1727만­t추가감축탄녹위“무탄소에너지확대효과”

2022년국가온실가­스배출량이2010년­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작년 배출량도 전년보다감소했을것으­로추산했다.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공동위원장 한덕수 국무총리·김상협 카이스트 부총장)와 환경부가 7일 발표한2018~2023년 국내온실가스 배출량, 전원별 발전량, 주요업종 제품 생산량 현황 등을 분석한 결과에따르면 2022년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잠정치)은 전년대비 2210만톤(t) 감소한 6억5400만t이었­다.

탄녹위는 “2022년 국가 온실가스배출량은 2010년 6억5510만t 이후 가장낮은 수치”라며 “2023년 주요 4대부문(전환·산업·건물·수송)에서 온실가스배출량이 전년 대비 약 1727만t 추가 감축될것으로예상된다”고말했다.

제1차 격년투명성보고서(BTR)와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를수립하기위해진행된­이번조사결과는향후정­부의온실가스감축정책­에주요참고자료로활용­될예정이다.

탄녹위는 “원전 복원, 재생에너지의합리적확­대등을 중심으로 한 무탄소에너지전환 정책등으로 전환 부문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고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종료 이후 총발전량은 증가했으나 무탄소에너지보급확대­등으로 2022년 전환부문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 대비 4.4% 감소한2억1390만­t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2023년 전환 부문배출량역시 2022년 대비 4.8% 감소한 약 2억400만t으로 추정돼 2년 연속 감소가 예상된다. 2018년 배출량과 비교하면 24.1% 감소한 수치다. 또 2018년 이후 무탄소발전증가량이6­8.1테라와트시(TWh)로 전력소비증가량(17TWh)을 충당했다.

정부는 이 같은 에너지 전환 성과를바탕으로 ‘무탄소에너지 주류화(CFE이니셔티브)’의 국제적 확산도 지원할계획이다. 한국은 영국·일본 등과 함께‘2050 탄소중립’을 위한감축을이행중인국­가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발간학술지 ‘MIT 기술평가 보고’는 탄소배출, 에너지 전환 등 5개 항목 조사에서한국을 76개국 중 8위, 아시아에서유일한‘녹색선도국’으로평가하기도했다.

아울러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량을보다 강도 높게감축하기위해 ‘탄소중립 100대 기술’ 개발과 수소환원제철실증(철강) 등을 추진하고, 산업 부문녹색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녹색자금을450조원­이상지원할 계획이다.

한 총리는 이날 본인 페이스북에서“2022년과 2023년 우리나라 탄소배출량이크게줄어­들어 2010년 수준이될전망”이라며“지난해 경제규모가 2010년보다 약 1.4배 높아진수준이지만 탄소 배출량이같다는 건 그만큼 우리나라 모든 영역에서 온실가스 감축에 박차를가하는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2018년 배출량 대비 40%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감축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원전 사업을 되살리고 신재생에너지비율을 현실적인수준으로 재조정하는 등 민관이하나 돼행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힘을 쏟고 있다”며 “앞으로 온실가스배출량 감축에서 더 큰 실적을 거두고국제적인 평가도 더욱 올라갈 수 있도록 세세한 부분까지 챙기겠다”고 덧붙였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