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모디의3연임확신있는­자신감’

권위주의적지도자?…‘국부’네루이후가장사랑받는­정치인

-

자유민주주의최대실험­장

오는 19일 한 달 반 일정으로 인도 총선이막을 올린다. 최근중국을 제치고인구 1위 국가로올라선인도는 세계최대민주주의국가­로도 불린다. 1947년 200년 가까운기나긴영국의 통치에서 벗어나 의원내각제를 채택한후 헌정중단 사태한번없이선거를 통해평화적정권교체가­이뤄지고있다.

그리하여인구 14억명의 인도는 자유 민주주의의거대한 실험장으로 불린다. 10년 전나렌드라 모디 정권이 출범한 이후 힌두 근본주의가 민주주의를 위협할 것이라는 우려에도불구하고인도­는그의강력한 리더십과 눈부신경제발전을바탕­으로글로벌경제의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모디총리가 3연임에 성공할 경우 그는 현대 인도의 ‘국부(國父)’ 격인물이자 1대 총리를 지냈던 자와할랄 네루(1889~1964)와 어깨를나란히하는기록­을갖게된다.

인도는 5년마다 치르는 총선에서 록사바(Lok Sabha)라고 일컫는 하원 의석수(534명)과반을 확보한 정당이총리를 배출한다. 이번에도직전인 2019년 선거때처럼광활한전국­토를 7개로 나누어100만여 개투표소에서순차적으­로실시된다.

개표결과는6월 4일일제히발표된다. 유권자수는 유럽연합(EU) 전체인구를합친것보다 많은 9억6900만명이다. 세계 최대 규모의선거를공정하고­안전하게관리하려면그­만큼비용도엄청날 수밖에 없다. 인도 선거법은 유권자가있는장소의2㎞이내에서투표를하도록­규정하고있어선거관리­와안전요원은산골 오지와 도서지역까지장거리이­동에나서야 한다. 2019년 선거 땐 공무원 1500만명이동원되­었고정당들은70억 달러(약 9조4700억원) 이상을 지출했다. 올해 선거 비용은 직전선거보다두배이상­에달할것이라고주요언­론은예상하고있다.

모디총리는자신의3연­임을 확신하고 있다.심지어 그는 지난달 각료 전체회의를 소집해총선 이후 100일 국정 운영의우선 과제까지논의했다. 그가 승리를 자신하는 근거는 수년째70%대를유지하는콘크리트­지지율과집권여당인 인도국민당(BJP)에 몰리는 막대한 정치 후원금이다. 그동안 모디의 고성장·친기업정책에 수혜를 입은 인도 대기업들은 집권당에정치자금을 집중 지원하고 있다. 미·중 관

계악화와 코로나19 팬데믹이후 세계공급망재구성도 인도에유리한 환경이다. 무려 3800㎞의국경을맞댄이웃나라­인중국에서자본유출을 걱정할 정도로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자금이급격히빠져­나가는 반면 새로운 수출기지로 떠오르는 인도에는 외국인 투자가 크게증가하고있다.

2014년 모디정부출범이후인도­증시에상장된기업의시­가총액은무려3배로 늘어났다. G20 국가 중에서가장 빠른 성장세를 지속하면서인도의경제­규모는모디정부출범당­시세계11위에서지난­해영국을제치고5위로­올라섰다.

이대로 가면 5~6년 후엔 독일과 일본을 추월해 미국·중국에 이어 세계 3대 경제대국이될 전망이다. 모디의3연임을 낙관하는모건스탠리와 JP모건체이스 등 서방의주요 투자은행들은인도에대­한 주식과 채권비중을 적극늘리고있다.만에하나모디총리가이­번선거에서패배한다면­인도 주식이 25% 이상 폭락할것이라는경고까­지등장하고있다.

1950년 인도 서부 구자라트주 바드나가르에서태어난 모디는 학교도 제대로 다니지못하고 버스터미널에서 전통차와 빵을 팔던 가난한 소년으로 자랐다. 하층 카스트 출신인모디는 21살 때인 1971년 힌두민족주의단체인 민족의용단(RSS)에 가입해빈민층을 위한 사회운동으로 정치에입문한 이후 최고의‘인생 역전 드라마’를 써나간다. 그는 1980년RSS를 기반으로조직된정당인 BJP에 가입해2001년 구자라트주에서 총리로 선출된 모디는강력한개방정책­을펼치고도로, 용수, 전력등 집중적인 인프라 개선에 나서국내외기업들이구­자라크주에몰리게 했다. 그가 취임한이후 13년간 구자라트주의연평균경­제성장률은 13%로 인도평균성장률의두배­에이르렀다. 중앙 정치의관심을받던그는 ‘모디 돌풍’을일으키며 2014년 하층카스트 출신으로는처음인도총­리에올랐다.

집권10년의명과암

지난 10년간 모디총리의국정수행기­록을살펴보자. 우선 도로와 철도 공항 등 인프라

개선과 세제개혁을 통해서비스 분야에비해취약한 제조업발전기반 마련에착수했다. 인도 28개주에난립해있던­10여개의간접세를상­품·서비스세(GST)로 통합해인도시장의복잡­한 세제를 단일화했고 동시에 세수와 공공지출확대기반을마­련했다.

그동안 주민등록 제도가 없어신분 증명이어려웠으나 생체인식 정보 기반인 아다르 카드 도입을 통해 디지털 경제와 현금 없는 신용사회로 신속히 탈바꿈시켰다. 게다가 낙후된농촌 지역에는 휴대폰이널리보급되어­주민들삶이크게바뀌고­빈민층을대상으로무료­식량배급과 주택,건강보험제공등사회복­지사업도크게 늘렸다. 하층카스트출신으로그­의서민적이미지에저소­득층에 대한 복지정책이확대되며그­의인기는식을줄몰랐다.

모디정부가 자랑하는눈부신고성장 업적속에는어두운그림­자도숨어있다.

2016년 그가 부정부패척결을 명분으로 실시한무리한 화폐개혁과 2020~2021년 코로나팬데믹 기간 실시한 강력한 록다운(봉쇄) 조치로인도 경제는대혼란을 겪기도 했다. 인도가 고성장의길을 걸으며소비력을 갖춘 중산층이늘어나고 해외기업들이그들을 공략하기위해인도 시장에몰려오는 가운데전통적인부의세­습과양극화문제는사회­안정에걸림돌이되고있­다.

현재 인도 전체 인구 중 90%는 연 소득이3500달러이­하 수준이다.인도경제발전의메인 동력은 정부에의해엄격하게통­제되는 대기업집단과 소수의 부유층이다. 특히젊은이들 사이에는 모디가 자랑하는 인도의경제적성과로자­신들에게돌아오는혜택­은미미하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디에게는 국가 리더에게 필요한 특별한 무엇이있는 듯하다. 힌두 민족주의자 특유의카리스마적 리더십과 화려한 쇼맨십을 무기로 국가의 미래에 대한 희망의 메시지를 국민들에게계속 제시하며인도의 복잡한 정치적·사회적갈등을풀어나간­다.

BJP는 2014년 총선에서 ‘모디 돌풍’에 힘입어 놀랍게도 절반이 넘는 282석을 차지하며집권했다. 5년 후인 2019년에는 303석을 차지하며 30여 년 만에인도 단일 정당으로서최다 의석을 차지했다. 2019년 선거에서예상을뒤엎고­압승을거둔것은국가안­보에대한모디정부의단­호한대응때문이었다.

선거직전 파키스탄과 영유권 분쟁을 빚고있는 카슈미르 지역에서인도 경찰관 40명이이슬람 무장단체 공격으로 숨지자 파키스탄을 배후로 지목하고 보복 공습을 단행했다.지난 반세기동안 3차례 전쟁을 치렀고, 핵전쟁 직전까지도 갔던 파키스탄에 대한 응징은모디를 결단력있는 인물로 부각시키고, 선거의 주요 이슈를 경제 둔화에서 안보로 전환시켰다.

갑부들의정치적후원금­이대거몰리는 BJP는 인도에서가장 부유한 정당으로 자리매김했다. 또 충성도가 매우 높은 당원들의 수도크게늘어나고 있다. 게다가 정부의보복을두려워하­는국내언론은 대부분 모디정부에길들여져 고분고분해졌다. 인도 전역에 걸쳐신문이나 TV 광고는모디총리얼굴과­이미지로도배되어있다.여당은지난해뉴델리에­서G20정상회의를 주재한 모디총리를 ‘세계의 스승(Vishwaguru)’으로 선전하고있다.

최근여론조사 70% 의석전망

최근 여론조사에따르면 BJP를 주축으로한중도우파연­합 ‘국민민주동맹(NDA)’은 이번총선에서전체 534석 중약 70%에 달하는최소 378석을 확보할것으로보인다.이는 BJP의현재 의석수(303석)를 훨씬 웃돈다. 앞서 BJP는 자체 의석수로 370석, NDA의 의석수 400석을 목표로 세운 바 있다. 제1야당인 인도국민회의당(INC)는 ‘간디-네루’ 가문이지배해온정당으­로 2014년 모디의거센돌풍앞에서­겨우 44석을얻는데그쳤다.

야권은지난해INC와 26개 정당이뭉친 ‘인디아’가 결성되었으나 이번에도 힘겨운 싸움이예상된다.말리카르준카르게 (Mallikarju­n Kharge) INC 총재(80)는 상원의원과 장관을지낸 베테랑 정치인이지만 모디 총리의 대중적지지와견주지못­한다.

그는 최근 선거유세에서 “BJP가 다시집권하면 모디의 독재가 늘어날 것”이라며 “민주주의는 무너질 것이며, 모디는 러시아에서 푸틴이하는것처럼나라­를운영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모디 아니면 누구?”라는 인식이관망자적유권자­들의마음에깊이자리잡­고있다고외신들은분석­하고있다.

모디정부는 지난해독립 100주년(2047년)이되는해에인도가선진­국에진입할수있도록긴­여정을시작하는원년으­로선포했다. ‘성장의 인도’를 바탕으로 ‘강한 인도’ 건설을 추구해온모디정부는국­방예산을대폭증액하며­군사강국으로도약하고­있다.

외교적으로 사안별로 동맹을 추구하는 신(新)비동맹정책으로인도는­미국과중국,러시아 모두에게서구애를 받고있는 귀하신몸이다. 또 전 세계인구의절반에가까­운 ‘글로벌사우스’의맏형격으로우뚝서있­다.

오는 11월 트럼프전대통령이다시­미국대통령이될지라도­인도에만큼은관계를악­화시킬 만한 일을 하지않을 가능성이높다는 분석까지나오고 있다. 인도가 글로벌투자자들에게가­장매력적인대상으로꼽­히는이유다.

지난달 11일 모디총리는 지지층 결집을 위해 반(反) 무슬림법으로 비판받는 ‘시민권 개정법(CAA)’의 전격 시행에 들어갔다. 2019년법안 통과후인도인구의14%를 차지하는이슬람교도의 거센 반발로 4년 동안 시행이 미뤄졌지만 총선을 코앞에 두고 갑자기 실시된것이다.

얼마전엔수도뉴델리에­서는총선을앞두고부패­혐의로야당인사들이체­포되자대규모반정부집­회가개최되기도했다.모디총리가전면에내세­우고있는 ‘힌두 민족주의’가 ‘전체주의’로치달을수있다는우려­가고조되고있지만모디­총리의3연임을 가로막지는 못할 전망이다. 최근미국 퓨리서치(Pew Research) 센터가밝힌여론조사결­과를보면 80% 넘는인도국민들은 모디와 같은 ‘권위주의적’ 지도자를 선호하고있다.시대적배경과통치스타­일이다르지만모디는네­루총리이후인도에서가­장사랑받는정치인이라­고할수있다.

 ?? [로이터·연합뉴스] ?? 나렌드라모디인도총리­가지난해6월 20일(현지시간) 미국뉴욕에도착해지지­자들에게손을흔들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나렌드라모디인도총리­가지난해6월 20일(현지시간) 미국뉴욕에도착해지지­자들에게손을흔들고 있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