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반도체유치’국가대항전…뒷짐진한국

- 전운산업부부장

반도체업계에서는 “지금이보조금지급될적­기”라는 인식이 적잖다. 미국·일본·중국·인도·EU 등반도체경쟁국이반도­체기업에보조금을지급­하고있는만큼우리도이­열풍에편승해야보조금­신설이가능하다는판단­에서다.

세계각국이반도체산업­의주도권을 잡기위해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부어가며투자에나­섰고,이는반도체전쟁이곧국­가대항전이라는말을의­미한다.

실제로 미국은 2022년 ‘반도체 지원법’ 제정 후 연방정부 차원에서 자국 반도체 산업발전을 위해5년간 총 527억 달러(약 70조원)를 쏟아붓고 있다. 반도체 산업의 선두 지위탈환을노리고있는­인텔에 100억 달러(약 13조2900억원)를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개발·설계·생산’이라는 반도체 3대 핵심요소중미국이갖추­지못한 ‘생산’ 능력을인텔을통해탈환­하는방안이다.

‘반도체부활’을꿈꾸는일본도대만과­연합전선을구축해반도­체전쟁에참전했다.경제안전보장추진법이­라는이름으로반도체관­련법을제정한데이어T­SMC 제1공장설비투자액의­절반에가까운최대 4760억엔(약 4조2000억원)의 보조금을 제공했고, 제2공장에는 약7300억엔(약6조5000억원)을지원할방침이다.

기업자체노력뿐아니라­정부의과감한재정·제도 지원책이반도체시장의­분업질서축을바꾸고있­는 셈이다.

중국도이미전세계모든­반도체회사가들어와공­장을짓고반도체를생산­했고,실리콘밸리의핵심반도­체엔지니어의상당수가 중국계이다. 그리고연간 1158만명의 대졸자 중절반이공대생이다.미국반도체보조금이5­27억달러이지만 중국은이규모의 2~3배 자금을반도체국산화에­지원할 계획이다. 지난해중국 상장반도체기업 190곳에 121억 위안의정부자금을지급­했다.

하지만 우리는 어떤가. 메모리반도체기업세계­1위와 3위가 있는 강국이지만, 기업들은국내에서연일­푸대접을받고있다.

올해 반도체 관련 예산은 1조3000억원에불­과하다. 정부의반도체메가클러­스터조성방안에 2047년까지 662조원을 투자한다고했지만 기업의투자액합계이고 정부의‘반도체보조금 지원’ 계획은 없다. 미국·중국·일본등주요경쟁국이수­조원규모의보조금을지­급하는것과 대비된다.

‘대기업 특혜’라는 야당의 반대로 직접적인 보조금 지급은 물 건너갔고, 투자비에 대한 15% 세액공제를 제공하는 ‘K칩스법’이 작년 3월에서야 통과됐다. 미국의 칩스법이 발효한 2022년 8월보다 반년넘게늦은 시점이었다. 4·10 총선을앞두고나온공약­에서도더불어민주당은 “반도체 투자세액공제 일몰기한(2024년 말)추가연장”을언급했을뿐이다.

이렇게도 우리정부의자세가 느긋하다 보니, ‘WTO 눈치설’까지도 새어 나온다. 정부가 세계무역기구(WTO)의 눈치를 보며보조금 지원에머뭇거리고 있다는 것이다. 공정경쟁촉진을위해보­조금지원을제한하고있­는WTO가 추후한국을 상대로 제소할 수있다는지나친걱정때­문이다.

반도체는국가의명운이­걸린 산업이다. 기업만이나서성장시켜­야 할것이아니라, 범국가차원에서대응해­야 한다. 경쟁국이천문학적인돈­을 투자하고있을 때, ‘HBM(고대역폭메모리)를 선점했다’ ‘바닥을지나업턴(상승국면)에들어섰다’며도취해있을때가아니­다.

만약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국내투자여건악화를들­어‘굿바이코리아’를 선언하면어떻게 할 것인가. 그때 가서도 ‘대기업 특혜’를운운하며그들을비판­할것인가.

반도체기업을전폭적으­로돕는건세계 1, 3위의반도체기업을지­켜내는동시에반도체강­국, 나아가 미래기술 강국으로 나가는 초석임을잊지말아야한­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