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서울·충청이승부처…한동훈·이재명,긴박했던13일

12일가운데7.5일수도권투자사법리­스크로서울유세집중

- 장문기기자mkmk@

제22대국회의원선거­공식선거운동이 9일 밤 12시 막을 내린다. 이로써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여야 지도부는지난달 28일부터 13일간 이어진대장정을마무리­한다.

8일 정치권에 따르면 공식선거운동기간에 한 위원장과 이 대표 동선에서도 4·10 총선 격전지가 재확인됐다. 양당 대표들은 이른바 ‘한강벨트’를 중심으로한 서울·경기, 대표적인유동층지역으­로꼽히는충청권등을중­점적으로방문해지원유­세를벌였다.

공식 선거운동을 서울 송파구 가락시장에서 시작한 한 위원장은 그간 말그대로 ‘동에 번쩍, 서에 번쩍’이었다. 그는 4일간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수도권을 집중공략한 뒤이달 1~3일에는 PK·충청 등지에 출마한 후보들을 지원했다. 사전투표를 앞둔 지난 4~5일 재차수도권을순회한 한 위원장은 6~7일 남부 지방으로이동해 부울경(부산·울산·경남), 대구,충청표심을다졌다.

특히한위원장은국회의­사당을세종으로완전히­이전하겠다는공약을내­세우면서 서울 지역 개발 제한을 완화하겠다는 의지도 밝혀 서울·충청권 표심을 동시에 공략했다. 그는 세종시를 ‘한국의 워싱턴DC’로 만들겠다는 청사진을제시하기도했­다.

이날까지12일간 일정에서한위원장은수­도권을가장많이찾았다. 그는 12일중 7일을 수도권에있었는데, 지난 3일하루동안 충북·강원에이어경기포천·동두천·파주·고양까지 방문한 것을고려하면 사실상 7.5일을 수도권에 투자한 셈이다.

한 위원장은 영남권(4월 1·6일)보다충청권(4월 2·3·7일)에 더 자주 방문하는등공을들이는­모습도 보였다. 공식선거운동 기간에 한 위원장의 호남·경북·제주일정은없었다.

인천 계양을에출마한 이대표는 종종인천에서출퇴근길­인사를하면서전국 단위선거운동을 병행했다. 그는 공식선거운동 첫날 서울 용산구 용산역광장에서열린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출정식­에참석해‘정권심판론’을띄웠다.

이 대표는 한 위원장에 비해 비교적제한적인 활동 반경을 보였다. 특히 지난달 29일과 이달 2일에는 대장동·성남FC·백현동 관련 배임·뇌물 등혐의와관련된재판에­참석해선거운동이불가­능했다.

따라서 이 대표는 본인 지역구에서표심을 다지거나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한 서울 유세에 집중했다. 무엇보다도최대격전지­로꼽히는동작을지역에­는 무려 6차례나 방문했다. 그는 4·3사건 추념식을 계기로 제주를 방문한 것을시작으로지난 3~5일 전국을누비고다닌뒤 6~8일에는 다시수도권으로돌아와­집중적으로지원유세에­나섰다.

이 대표도 호남·경북에는 지원 사격을 하지않았고, 선거운동 11일(공개 일정이없었던 3월 29일 제외) 중 서울·경기에6일을 할애했다. 인천에하루를온전히투­자한일정은 2일이다. 나머지일정은 제주·경남, 부산·울산·대구, 충청권에서하루씩지원­유세에나섰다.

한편 한 위원장과 이 대표는 선거운동 마지막 날인 9일 밤 유세 현장으로서울 청계광장과 용산을 각각 택했다.단 이대표는 마지막 일정을 본인 지역구인계양을에서마­무리한다.

국민의힘은 선거운동 막바지격전지에힘을 보태기보다는 상징적인곳에서선거운­동을마무리하는게전체­판세에유리하다고판단­한것으로보인다.

민주당은끝까지‘정권심판론’을 유지하면서 격전지인 용산도 지원할 수 있는 일거양득 효과를 노린 것으로 풀이된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