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4년간622억…차파트너스,13개버스회사순익의­118.5%챙겨

인수후발행한회사채다­시매입법정최고금리이­자상환받기도수익성보­장했던준공영제종료펀­드만기맞아통매각나설­듯

- 버스파업이면윤동·홍승우기자dong0­1@

주요시내버스회사의경­영권을확보한 차파트너스자산운용(차파트너스)이최근 4년 동안 순이익의 118.5%에 달하는 배당금을 챙긴것으로 확인됐다. 일부 버스회사의 경우 인수 직후 회사채를 발행한 뒤이를 매입해막대한 이자를 상환 받는 등 돈주머니로 활용했다는의혹도제기­되고있다.

업계에서는 차파트너스가 펀드 만기를 맞아 보유 중인 버스회사들을 조만간 매각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앞서펀드 만기연장 등도 검토됐지만 버스회사의수익성을 보장해줬던준공영제의 변화가 올해 예고된데다 최근 금융감독원 조사가 겹치면서 매각 쪽에무게를싣고있는것­으로파악된다.

8일 아주경제가 차파트너스 산하 펀드에 피인수된 버스회사 20여 개사를전수조사한 결과, 배당 관련사항을공개한 13개사의 최근 4년(2020~2023년)

동안 평균 배당성향은 118.53%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차파트너스가 운용하는 펀드들은 이기간 13개 버스회사의순이익합산­인 524억원보다 훨씬더많은 622억원배당금을챙­겼다.

도원교통은 2021년, 선진운수는2022년, 미추홀교통은 지난해 각각 차파트너스가 운용하는 펀드들에피인수됐다.이들버스회사는차파트­너스에인수되기직전까­지매우낮은배당성향을­유지했다. 2020~2022년 동안평균배당성향은 10.82%에 불과하다.도원교통은2020년 8.66%에서 차파트너스에인수된직­후인 2021년 101.32%로, 선진운수는 2020~2021년 모두 0%를 기록했으나 2022년 피인수직후 99.4%로 배당성향이급격하게상­향조정됐다.

차파트너스가 산하 버스회사가 발행한회사채를매입하­고법정최고금리이자를 받아왔던 사례도 포착됐다. 차파트너스의 펀드 중 하나는 2019년 2월직접인수한 명진교통이발행한회사­채총 38억원을 매입해 이자수익을 얻고있는것으로확인됐­다.

지난 2019년 4월과 12월에발행한만기5­년가량의회사채규모는 각각 29억원과 9억원이다. 29억원 회사채의표면금리는 7.5%, 9억원규모회사채의표­면금리는 20%에 달한다. 20%는 명진교통이 법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최고금리에 해당한다. 차파트너스의 하위 펀드는해당회사채를매­입해최근 3년동안13억원가량­의이자수익을 챙겼다. 이는같은기간 명진교통이벌어들인순­수익1억3319만원­의 10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차파트너스에대한 금감원의조사가 이같은 배당·회사채 발행과 무관하지 않다는 시선이다. 다만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이번 조사 등으로 차파트너스가 버스회사를통매각할것­이라는관측이나온다.

이는차파트너스가조성­한펀드의만기가 올해 말부터오는 2026년 말까지속속 도래하기 때문이다. 펀드 투자자들에게원금을돌­려줘야하는차파트너스­가 엑시트(투자금 회수)를 단행할 가능성이높다는시각이­다.

이에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차파트너스가 20여 개에달하는 버스회사를 통매각하는 방식으로 엑시트에 나설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통매각이 어려울경우 만기가 임박한 펀드의 자산을 우선적으로개별매각할­것으로내다보고있다.

금융투자업계관계자는 “차파트너스가 버스회사 운영 과정에서 공공성을훼손한다는 이슈가 지속적으로 제기됐다”며“배당금규제까지강화되­면(사모펀트 특성상) 운영보다는 매각을 선호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수순”이라고 말했다.

 ?? [연합뉴스] ?? 지난달28일파업으로­운행중지된서울시내버­스
[연합뉴스] 지난달28일파업으로­운행중지된서울시내버­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