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R&D인력재배치해SW역­량강화…현대차‘SDV전환’가속페달

선행기술연구원왜해체­했나

- 한지연기자hanji@

현대차그룹이 선행기술연구원(IATD)을 해체한 배경에는 정의선현대차그룹 회장의 SW(소프트웨어) 경쟁력강화를 위한 조직효율성 의지가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선행기술원, AVP(차량 소프트웨어 조직), 포티투닷 등 기능별로 분산돼 있던 선행연구개발인력을효­율적으로 재배치해소프트웨어와 내연기관 간 기술 역량을 제고하고, SDV(소프트웨어 중심차량) 전환을 가속화하려는 취지다. 현대차는2025년까­지 전차종을 100% SDV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SW 역량강화에 초점을 두고 조직 개편을 가속화하고있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해체수순을밟고있는현­대차선행기술원은자동­차를 포함해 미래 모빌리티 혁신기술을 발굴하고개발하는연구­조직이다. 기계, 전기전자, IT·SW, 소재·화학 등도전적인신기술개발­을주력으로 하며,현대차의 기술 개발 방향성을 모색하고 전략을 수립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2021년 1월 출범했다. 출범3년 만에해체한배경에대해­서는효율적인의사결정 부재, 선행·양산 R&D 간 시각차, 연구개발 중복 투자 등으로 시너지를 내기 어려웠다는 오너의 판단이 작용한것으로분석된다.정의선‘조직효율화’의지…연구원기능대부분AV­P본부로이관될듯연구­개발리더십일원화…‘SW전문가’송창현사장영향력확대­가능성

업계에서는 선행기술원 해체는 예견된 수순이었다는 반응이다. 철저한 성과 중심 문화가 지배하는 현대차 조직분위기와 장기적인 시각과 미래비전을제시해야 하는선행연구조직의특­성이정면 충돌한 결과라는 해석이다. 실제매년 C레벨급 회의에서 선행기술원 존폐여부를 두고 다양한 의견이오간 것으로알려졌다.

이번 결정에 따라 선행연구 기능은대부분 AVP 본부로 이관될 것으로 예

상된다. 현대차는 올 초 연구개발 역량효율화를 위해 연구 조직을 미래 분야인 AVP본부와 기존 양산 개발을 총괄하는 연구개발(R&D)본부 등 2곳으로개편한 바 있다. AVP본부는 그룹 내에흩어진소프트웨어­개발조직을통합한곳으­로차세대플랫폼개발을­주도하는△META(Mobility Engineerin­g&Tech Accelerati­on) 조직△차량 SW 조직△ SDV 본부 내연구개발 조직을 한데묶어 출범했다. 송창현 포티투닷 대표 겸현대차 SDV·TaaS본부장(사장)이 이끌고있다.

선행기술원해체로R&D리더십이일원화되면­서 그룹 내에서 송창현 사장영향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의선의 남자’로 불리는 그는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CTC 등글로벌 IT기업을두루 거친 SW 전문가로 네이버랩스연구센터장­과 네이버 최고기술책임자(CTO), 네이버랩스 대표이사 등을 거쳐2019년 자율주행 TaaS 스타트업 ‘코드42’(현 포티투닷)를 설립했다. 현대차그룹은 2021년 모빌리티 기능을 총괄하는 TaaS 본부를신설하고송사장­을수장으로발탁했다.

현대차 SDV 전환에도 가속도가 붙을것으로전망된다.현대차그룹은미래모빌­리티패러다임전환을 주도하기위해 2025년까지 전차종을 SDV로 전환하고, 이를 위해 2030년까지 18조원을투입할 계획이다. 차량 내 무선 업데이트기술이적용되­면 서비스센터를 방문하지 않아도 기능과 성능이 꾸준히 개선되고, 사용자에게 맞는 기능을 조합해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차량을 만들수 있다. 아울러 SW기술을 바탕으로차량 설계·제조가 단순해지면 제조 원가가 20%가량 절감될것으로기대하고­있다.

실제 글로벌 완성차 시장에서는

SDV 시장 주도권을 둘러싼 기술 경쟁이치열하게전개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글로벌마­켓인사이트에따르면전­세계 SDV 시장 규모는 2020년 180억 달러에서 2025년 520억 달러로커질것으로 예상된다.앞서정회장도“미래차 성패는 SDV 기술력이 관건”이라며 “2025년까지 모든 차종을 ‘소프트웨어 중심자동차’로 전환하고,연구개발을비롯한회사 전반적인시스템을소프­트웨어중심으로전환하­겠다”고밝힌바 있다.

다만업계에서는3년만­에선행조직을 해체한 데대해안타깝다는 시각도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선행연구는 대부분 ‘돈을 쓰는 조직’이라는 인식이있어서기업에서­오래존속하기어려운데­현대선행기술원은 오너의강력한 의지로출범해기대가 컸다”면서“회사 상황에따른 결정이었겠지만 한국모빌리티경쟁력 확보 측면에서는 아쉽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이번 조직 해체와 관련해조만간구체적인­지침을내릴 방침이다.이종수 선행연구원장(부사장)을 비롯한소속연구원들은­전문분야등과관련해회­사 면담 과정을 거쳐소속이결정된다. 이와관련해회사관계자­는“해체 외에 아직 공식적으로 결정된 바는없다”면서“이른 시일내에내부방침을정­리해 구성원 혼란을 줄이겠다”고 말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