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일하는청년’에게사탕을쥐여줄때

- 김선호새천년카대표

“구직활동지원금받으려­고지원한거예요.”필자는 2014년 가업을이어받아자동차­정비소를 경영하고 있다. 자동차 정비일은 3D업종으로 인식되기에 젊은 세대들은 기피하는 직종이다. 하지만정비소성장에인­재채용은꼭필요하기에­젊은 세대들이보기에도매력­적일수있도록인사평가­제도를 혁신적으로개선했다.

대표적인제도로는 정비난이도에따라기술­을 서열화해정비사들이어­떤기술까지숙련했는지 검증한 후 이를 3개월마다 급여에반영해 주는 제도가 있다. 이러한 인사 평가와 복지들을 도입한 이후 필자 정비소는 2년전까지만 해도 40대 1에달하는 경쟁률을 자랑할정도로입사지원­자가많았다.

하지만시간이지나고그­경쟁률은점차떨어졌다. 심지어올해는 허수 지원자까지생겼다. 한허수지원자는면접자­리에서“저는 이회사에입사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필자가 당황해 “그럼 왜 지원했느냐”고 물어보자 해당 지원자는 “청년 구직활동 지원금받으려고지원한 것”이라고 답했다.이지원자는 “나라에서주는 지원금이많아서요즘 취업안 하는 게 대세”라며 “그리고 꼭 돈이필요하면그때마다­아르바이트를 하면 된다”고했다.

정부지원금악용에대한­일부청년들의인식은 취업후에도 나타났다. 한 지방자치단체기관에서­만난 청년 서포터스 활동대원은 충격적인이야기를 했다. 그는 “회사 다닐때사장님께 말해서 급여를 다른 사람 명의로 된통장에나눠서받았다”고 했다. 필자가 그이유를묻자“정부지원금50만원을­받으려면지원요건에나­와있는급여상한선을넘­지않아야 하기때문에보통 급여를 두 개통장으로나눠서받는­다”고 설명했다.

이 청년은 이런 방식에 대한 불법성과 사업자 동의여부를 묻는 질문에“그런 편의(급여를 두 군데로 나눠서입금해 주는)를 봐주지않으면 저같은 생각을 가진 직원들이다그만두니사­장님입장에서달리방법­이없을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이처럼일부 일그러진 청년들의편법적인정부­보조금을받는방식이다­른청년들에게도 전달되면서 정부 자금을 지급받지못하는 청년에게 ‘바보’라는 생각이 들게 만든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정치권에서는 ‘청년들이취업하기 힘들다’는 이유로 청년들을 위해다양한지원금제도­를만들고있다.

이런오류는 필자가 지난주 지역청년정책예산심의­회의에참석했을 때도 이어졌다. 지자체관계자들이청년­들을마치사회적약자,도움이필요한 존재로인식하고 있었다. 회의에 참석한 한 위원은 “청년을 어디가 아프거나도움이필요한 사람들처럼수혜대상으­로보고 정책을 만들어 지원금을 주는 것은 잘못됐다”며취업지원금 자체에대한 의문과문제를제기하는­상황까지도벌어졌다.

필자는 청년들이양질의일자리­가 없어서취업을 ‘못’하는 것이라고생각하지않는­다.청년들이 취업을 ‘안’ 하고 있는 것이다. 청년들로하여금 ‘일을 하려는 의지’를 꺾는 것은오히려정부의취업­지원금일수있다.

이취업지원금을다른방­법으로활용해보자. 차라리1년이상근속해­열심히일하고있는 청년들에게 ‘취업 성공 정착 지원금’ 등으로지원해주는것이­어떨까.아니면청년들이안정적­으로일할수있는환경을­제공해장기근속직원을­많이둔사업체에포상개­념으로지원해주는것이­더낫지않을까.

청년들생각도크게다르­지않을 것이다. 사회적약자로만여겨지­기보다는성장가능성과­잠재력이높은 사람으로 평가되고 싶을 것이다.실제한회사에서2년넘­게근무한28세청년은­필자에게“정부나 지자체가일하면서자립­하려는청년들에게지원­을해주는정책이있다면­더많은청년에게귀감이­되지않겠냐”고반문한적도있다. 28세청년의말처럼우­리사회는 성공적으로 자립하고있는 청년들을 도와줄지원금지급정책­이필요하다.

이제일하지않는청년이­아니라일하는청년에게­사탕을쥐여줄때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