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사라지는한은법개정안…‘비은행감독·임금결정권’확보언제쯤

21대국회한은법개정­0건발의된27개안건­모두폐기될판법개정으­로금융안정뒷받침돼야­상대적저임금에MZ퇴­직‘급증’기재부인건비승인권한­이관필요

- 서민지기자 vitaminji@

코로나 팬데믹 위기를 겪으며 미국연방준비제도(Fed)를 비롯한주요국중앙은행­이역할을강화하며경제­구조개혁의 첨병으로 나서고 있는 사이 한국은행만 답보를 거듭 중이라는 지적이나온다.

4·10 총선을 통해 새로 구성될 22대국회에서는한은­의비은행감독권강화,기획재정부에예속된임­금 결정권이관등 숙원 해소를 위한 법개정이이뤄질수있을­지주목된다.

9일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지난 2010년 6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발의된 한은법개정안 27건(철회 포함)이 21대 국회종료와 더불어모두 폐기된다. 지난 4년간 단한 건도주무상임위원회인 기획재정위원회 문턱을 넘지못했다.

◆고용 안정·정부 견제 등 법안 먼지만쌓이다폐기

발의된 개정안 상당 수는 한은의책임과 권한을 확대하는 데 방점이 찍혔다. 한은설립목적에‘고용 안정’을 추가하는법안이대표적­이다. 연준처럼실물경제위기­가 발생할 경우 양적완화 등비전통적 통화정책을 과감하게 펼 수있도록 지원하자는 취지다. 연준은 고용 극대화와 물가 안정이라는 법적 책무를가지고있다.

이런 내용의개정안은 5건으로 지난2011년 한은 설립목적에 ‘금융 안정’이들어간 후 약 10년 만의개정논의였지만 기재위 경제재정소위원회 캐비닛에서 3년간 먼지만 덮어 썼다. 정책 목표상충 가능성, 고용 안정을 달성할 통화정책 수단 미비 등의 지적에 한은조차소극적으로대­응하면서법개정동력을­잃었다.

이밖에한은이정부로부­터국채를직접인수할 수 없도록 규정하는 내용의개정안도 3건 발의됐다. 정부의무분별한지출로­국가채무급증을야기하­고시장금리 왜곡을 초래할 우려가 크다는이유에서다. 한은의지방이전을추진­하거나, 한은임직원에대한임금­결정권을기재부에서 금융통화위원회로 이관하는내용등의개정­안도발의된바있다. ◆퇴직자 73%가 MZ 세대… 격무·낮은임금에등져

22대국회임기는오는 6월부터다. 마침 이창용 한은 총재의 4년 임기도 이달하순에반환점을돌­게 된다. 이총재임기 후반기는 피벗(pivot·통화정책 전환)과 함께 잠재성장률의 추세적 하락을막기위한구조적­개혁방안마련등중장기­적인과제를풀어가는시­간이될전망이다.

새 국회에서는 이를 뒷받침할 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한은은 정부 부처와 달리법안 발의권이없어숙원 사업이있어도 의원 입법을 통해야하는한계를갖는­다.

우선 한은의 비은행 감독권을 강화하는 내용의법개정 추진이 거론된다.한은이 비은행에 대한 유동성공급 수단을 확충해야 통화신용정책 수행 시금융안정임무에더기­여할 수있다는논리다. 이 총재도 지난해 6월 창립 73주년 기념사에서 “비은행의 중요도와시스템복잡성­이증대됐기때문에은행­만을대상으로해서는국­민경제전체의금융 안정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며법개정필요성을공개­적으로언급했다.

한은노조에선지난국회­에서매조지하지못한 임금 관련법개정을 재촉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건비승인 권한을 기재부에서 금통위로 이관하는 게핵심이다.

2022년 기준한은직원의1인당 평균보수액은 1억331만원, 신입직원평균보수액은 5176만원이다. 시중은행보다 낮다. 2008년금융위기이­후임금인상률이매년 0~2%대에 머문 탓이다. 한때‘신의직장’이라고불리던위상과거­리가멀다.

임금정상화는중앙은행­인한은의경쟁력 유지를 위한 필요 조건이다. 한은내 중도 퇴직자 중 20~30대 직원 비율은 2019년 60%에서 2022년 73.0%로 대폭 올랐다. 격무에 지치고 낮은 임금에실망한 젊은 인재들이 한은을 등지고있는게현실이다.

유희준 한은 노조위원장은 “선진국중중앙은행예산­을정부에서통제하는곳­은 없다”며 “기재부로부터의 완전한독립을 원하며 다음 국회에서도 입법노력을지속할것”이라고 밝혔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