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윤석열표도시재생은‘뉴빌’주택재건축…전정부‘뉴딜’과차별화

- 부동산이슈분석남라다­기자nld8120@

전정부기존시설물보존­리모델링현정부소규모­정비·편의시설설치무조건아­파트지양…다세대지원공공위주보­단민관합동해추진

윤석열 정부가 주택 재건축 등에 초점을맞춘도시재생사­업에속도를 낸다.단순히 주거 환경 개선을 넘어 국민이원하는 주택에서살수있도록 낡은주택을헐고개발하­겠다는것이골자다.

원주민이 다른 지역으로 밀려나는‘젠트리피케이션’을 유발한다는 이유로재건축·재개발을 제한했던문재인정부의 도시재생 정책과는 확연히 차이를보이는 부분이다. 문 정부의 ‘도시재생뉴딜정책’은 기존주택과시설물을보­존하면서리모델링하는 방식으로 접근했다. 전문가들은 도시재생사업 시 지역보전에 치중하기보다 개발을 병행하고민간 참여도 유도해야 좋은 성과를 낼수있다고조언한다.

◆尹·文, 노후 주거지 개선 필요성엔둘다공감

9일국토교통부등에 따르면, 윤석열정부와 문재인 정부의 도시재생사업은노후주­거지나 지역주거환경개선이필­요하다는인식에서출발­하는점은비슷하지만, 접근법에서는뚜렷한차­이를보인다.

윤석열 정부의대표적인 도시재생사업은 뉴빌리지다. 뉴빌리지사업은 전면재개발이 어려운 노후 빌라촌 등에서소규모정비사업­이나개별주택재건축과 주민 편의시설 설치 지원을 연계한사업이다. 뉴빌리지유형도 ‘정비연계형’, ‘도시재생형’으로 나눠 지역 여건에 따라사업을추진할수있­게지원한다.

문정부의뉴딜정책시작­점도 구도심이나 뉴타운 해제지역과 같은 노후 주거지의주거여건을개­선해야한다는방점이 찍혀 있다. 뉴딜정책은 총 50조원을 투입해 500곳의 구도심과 노후 주거지를 소규모 정비사업으로 살려내겠다는 구상이었다. 쇠퇴하는 지역에 벽화그림을그려관광지­로탈바꿈시킨것이대표­적으로, 서울 강동구 ‘강풀만화거리’가 성공사례로꼽힌다.

‘보존’ VS 尹 ‘개발’…도시재생접근법달랐다

윤 정부의 ‘뉴빌’사업과 문 정부의뉴딜정책모두 도시재생을 외치지만 방법은 다르다. 현정부는 노후 빌라 밀집지역을 무조건 아파트로 재건축하는 것은 지양하고 다양한 다세대·연립 주택이들어설수있게지­원하는 것도 특징이다. 추가분담금등비용부담­이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정부는뉴빌리지사업을­신속하게추진하기 위해 자금 지원 규모를 늘리고규제도 과감히 완화했다. 지자체장이지정한 ‘소규모 주택정비관리지역’에서주택은 주택도시기금을빌려개­량·재건축할 수있게 했다. 기존에는 50%에 그쳤던융자도뉴빌리지­사업의경우 70%까지확대한다. 또 용적률(토지면적대비층별건축­면적합계의비율)법정상한을120%까지상향한다.

‘패스트트랙(신속행정절차)’을 도입해사업기간을 단축할 수있는 여건도조성한다. 국토부는 이날 노후 저층 주거지개선 때인허가 기간 단축과 인센티브 제공을 원스톱으로 처리하는 패스트트랙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소규모주택정비사업도 주민합의체구성을 위한 동의율을 100%에서 80%로 완화(자율주택정비사업)하고 통합심의 분야를 확대할 수 있게 소규모정비법개정도 추진한다. 이럴경우 6개월가량사업기간단­축이가능하다.

반면 전임 문재인 정부는 철거 중심의 재건축·재개발 대신, 기존 저층 주거지나 시설물을 보존하는 데 주안점을뒀다. 도로 등 필요한 기반시설을 지원하고 지역 특징에 맞는 주민 커뮤니티,문화시설 등을 확충하는 소프트웨어(SW)적인 정책추진에집중해사업­성이떨어졌다는지적이­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두 정부 도시재생 사업의 가장큰 차이점은 재건축과 재개발”이라면서 “전임 정부는 개발보다 보존에만 치중하면서주민들이체­감할만한뚜렷한성과가 없었지만, 현 정부는 생활인프라구축에더비­중을두고있는만큼노후­도심 주거지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보인다”고 말했다.

민간 참여측면도 다른 점으로 분석된다. 문 정부의도시재생은 공공이주도하는방식이­었다면,윤정부는민관이힘을 합쳐 사업을 추진할 가능성이크다. 자율정비주택정비사업­의경우 주민합의체가 주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게된다.

사업예산을 보면 차이가 확연히드러난다. 국토부에 따르면 문 정부가2018~2022년까지 뉴딜사업에 투입한총예산규모는당­초목표치50조원 중12조9000억원(25.8%)에 그친다. 이중정부와 지자체가 쓴 예산은 9조1000억원으로­전체의 70.5%에 달한다. 사실상정부와지자체등­공공부문에서사업을주­도한 셈이다.

윤정부는연간1조원가­량의기존도시재생사업­예산을재구조화해저층­주거지 편의시설 설치에 쓸 예정으로, 향후 10년간 총 10조원의 사업비를 투입할예정이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교수는“도시재생은 주거환경정비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해 빠르게 입주시킬 수 있느냐에성패가 달렸다”면서“공공이사업을 주도적으로 추진한 문 정부의 뉴딜사업은 결론적으로 실패했다고 볼 수있다. 성공적인도시재생사업­이되려면인센티브 등 당근책을 제시해 민간 참여를유도할필요가있­다”고 말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