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기후위기대응신산업,스마트팜에주목하자

- 최민성델코리얼티그룹­회장

스마트팜은 기후변화와 식량 안보에 대응하는유망산업으로­농업생산성향상에기여­할가능성이크다.우리나라는농촌인구고­령화와 감소, 경작지감소로 OECD 국가 중 식량 안보 지표가 29위다. 자원 낭비도 줄이면서ESG 시대에중요한투자처로­떠올랐다.

주요선진국은스마트팜­연구와투자를통해첨단­화·규모화·기업화에집중하고 있다. 미국은 왕성한 기업 투자를 통해 세계 스마트팜시장을주도하­고있다.네덜란드는농가중심으­로, 일본은농지법제도를 정비하면서일반 기업의사업참여를 촉진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큰투자금을­유치하는기업사례도늘­고 있다.이들기업의공통점은대­규모투자유치, 스마트팜 시설의 규모화, 재배 기술 고도화와자동화등이특­징이다.

2004년에 설립된 에어로팜은 미국 3대 스마트팜 기업 중 하나다. 폐공장을 개조해6400㎡의세계최대수직농장을­운영한다.설립이후약 2억4000만 달러를투자 유치했다.햇빛, 흙, 수경재배없이분무기로 물을 주어재배한다. 물을 전통 농사 대비 95%, 기존 수경재배 대비 40% 절약한다. 작물 종류와 성장에따라 LED 파장을 자동 조절하는 시스템으로기존스마트­팜대비75% 높은수확량을 올린다. 연간 30번 작물을 수확하고, 동일면적대비생산성도 390배높다고한다.

그러나 최근 고금리 장기화와 전력 가격상승등으로해외스­마트팜기업들의경영악­화 사례가 생기고 있다. 작년 3분기스마트팜스타트­업에 대한 벤처캐피털 투자금은 재작년동기대비 75.8%나 감소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전력가격상승­과고금리로인해 미국 에어로팜, 독일 인팜 등 잘나가던스마트팜기업­의경영이악화됐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부터 대규모 스마트팜을 도입했는데 외환위기, 농민단체반대등으로큰­진척이없다가다시정책­사업으로추진 중이다. 1990년대 초 정부는 대규모 유리온실원예사업을추­진했으나 1997년 외환위기등으로지원이­어려워졌다. 2009년에는 간척지에대규모 유리온실 시범사업을 추진했으나농민단체반­대등으로무산됐다.

과거 대기업 진출이 좌절된 적도 있다. 동부그룹은과거380­억원을 투자해 10.5㏊ 규모로아시아최대첨단­유리온실사업을추진하­다가 2013년 철수했다. LG CNS도 2016년 새만금에3800억원­을 투자해76㏊ 규모의스마트 바이오파크 계획을 발표했다가 철회했다.둘다농민단체반대때문­이었다.

국내스마트팜 산업은아직활성화되지­않은상태다.시설원예농가의스마트­팜도입률은1.48%에 불과하다.스마트팜기업대부분이­소기업위주여서자금을­유치하기가어렵다.제품경쟁력도부족해산­업생태계구축도절실하­다.현재정부는스마트팜을­비롯한농업디지털혁신, 농산업혁신생태계조성, 환경친화적농업강화등­미래농업성장산업을육­성하기위해노력하고있­지만성과는더디기만하­다.

우리나라 스마트팜 산업을 활성화하기위해서는 우선기업화를 통한 스마트팜 생태계를조성해야한다.이를위해서는농민단체­등과 갈등을 해소하는 것도 필요하다. 농협기능을확대하여농­가중심의스마트팜을확­산하고, 농민펀드 활성화로 농업법인과 대규모기업간 상생모델도 만들어야 한다. 기술 개발과 인재 양성, 사업성 제고를 위한 기술 고도화·상용화, 친환경 기술 개발, 청년농 인재확보를위한산학연­연대등이필요하다.

도시 내 스마트팜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전 세계 도시 농업 시장 규모는 2027년까지연평균 7.82%로 성장해 20억4000만 달러에달할 것으로 보인다. 도시농업은 옥상 정원,수직농장, 실내 농장, 커뮤니티가든 등을 포함한다.도시농업의목표는멀리­떨어진농촌의농업의존­도를낮추고도시수요를­위해신선한현지재배식­품을생산하는것이다.

스마트팜은도시의미래­형산업이될수있다.특히향후10~15년이지나면자가용­90%가없어지면서자율주행­전기택시가보편화할것­이라는전망이나온다.그때가되면도시부동산­의약20%를차지하는주차장이불­필요해진다. 이때스마트팜이대안이­될것으로 보인다.심지어빌딩형스마트팜­에서양식장까지할수있­다.아직은도시내에서스마­트팜을하기에는토지비,건축비등투자대비효율­이떨어진다.하지만농산물가격상승,도시공원으로서역할,물류비절감,투자확대,세제혜택등으로인해점­차가능해질것으로 보인다.기후위기대응, 식량자급을위한신산업­차원에서도전할가치가­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