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尹대통령행동력박탈당­할위기”…외신들도한국총선결과­주목

WSJ “한국의적들,尹외교유효기간의식하­고움직일것”日요미우리“야당목소리강해져한·일관계시련올수도”반관영중국신문망“맹목적미국밀착행보로­안팎우려”

- 이지원·최은솔기자 jeewonlee@

‘4·10 총선’이 여당의 참패와 야권의대승으로 끝난 가운데 외신들도 이를비중 있게 보도했다. 외신들은 이번 총선 결과가 현 정부의 ‘중간 성적’이라며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운영 동력이약해질것으로전­망했다.

미국 경제 전문 매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집권여당의패배로 차기대선에서보수의집­권여부가 불확실해진가운데 “이런 의구심이 지속된다면 한국의 ‘친구’, 심지어 ‘적’들은 윤 대통령의외교정책방향­에유효기간이있다는가­정아래 움직일지 모른다”고 평했다.주변국 입장에서는 한국 정부가 악화한 국내여론을 감안해 그동안의 기조를 바꾸리라 의심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WSJ는 “이는 동맹국과 적국 모두에새로운 외교 정책문제를 불러일으키는결과”라고덧붙였다.

미국 매체 보이스오브아메리카(VOA)는 “이번 선거에서는 외교정책이쟁점이되지­않았고 부패의혹과 당내 분열, 인신 공격및 의혹이지배적이었다”며서울대국제문제연구­소연구교수인벤저민엥­겔교수를인용해“윤 대통령의 외교정책 방향은 선거 결과에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고 전했다. 야당이의회다수 의석을 갖더라도외교정책을추­진하는건대통령이기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뉴욕타임스(NYT)역시 “외교정책은 대통령의 손에 집중되어있다”며 한·미·일 동맹강화기조에즉각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낮다고분석했다.

경제정책이변화할 가능성도언급됐다. 블룸버그통신은 “윤 대통령의보수진영은 새국회선출 투표에서큰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되며 남은 임기 3년동안 취약한 위치에놓이게되고 투자자 친화적 정책이 좌절될 가능성이높다”고 분석했다. 현정부가추진중인자본­시장 활성화 정책에 제동이 걸릴가능성을지적한 것이다.

아울러 외신들은 공통적으로 윤 대통령과 여당인국민의힘의입지­가 줄어들것으로 내다봤다. 집권전반기2년에이어­남은 3년도 여소야대국면을맞아윤 대통령과 여당의 영향력이 약화될것이란관측이다.

로이터통신은 “진보 야당의 압도적승리는 윤 대통령과 보수당에큰 타격”이라며“생활비위기와쏟아지는­정치적스캔들로 인해 인기가 하락한 윤 대통령에 대한 국민투표”였다고 짚었다. 프랑스 르몽드지는 총선결과를 두고 “여론 반영을 넘어윤 대통령정책을 부정하는 결과”라며“대통령이 행동할 능력을 박탈당할 위기에 처했다”고 보도했다.

한편 일본 매체들은 윤 대통령 취임이후 급속도로 가까워진 한·일 관계가일본에비판적인­야당의견제에직면할수­있다고예상했다.

보수 성향인 일본 최대 일간지 요미우리신문은 국민의힘이고전을 면치못하면서 윤석열 정권의 향후 정권 운영에 불투명성이 감돌고 있다고 전했다.신문은 윤 대통령 측근의말을 인용해“옛 징용공(일제강제동원노동자)소송문제 해결책을 발표하는 등 윤 대통령이주도해온 대일 정책에‘변화는 없을것’”이라면서도 일본에비판적인야당의­목소리가 강해질 것이 분명하므로 한·일관계에도 시련이올수 있다”고 분석했다.

진보 성향인 아사히신문 역시 “윤석열 정권의구심력저하를 피할 수 없을것”이라며 관계개선이진행중인 한·일관계에도 그림자가 드리울 가능성이있다고 보도했다. 야당의 압승에도 일본과 관계강화를추진해온윤 대통령의외교 방침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는견해가 우세하지만 ‘옛 징용공 소송 등문제에서일본에 지나치게양보했다는불­만’이 있기때문에야당이 공세에 나설가능성이있다고봤­다.

윤 대통령 취임 후 관계가 다소 경색된중국 언론들 역시이번총선결과를집­중조명하며윤석열정부­의리더십이타격을 입었다고 평가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한국 총선에서 집권당패배, 윤석열임기내에레임덕 직면’ 제하기사를통해“이번 선거는민중의극단적인­불만속에치러졌다”며“선거 과정에서 민심을 가장 잘 반영한 키워드를꼽는다면‘윤석열정부에대한 심판’”이라고보도했다.

반관영통신인 중국신문망은 “윤 정부는출범이후이른바 ‘가치 외교’를 펼치며 맹목적인 미국 밀착 행보로 국내외의우려를 샀다”며 윤석열 정부의외교정책을지적­했다.

매체는 “이전에 한국 정부는 주변국문제에있어어느­정도역할을해왔지만윤­석열 정부는 그렇지 못했다”면서 “그의 주변국 외교정책은 동북아 지역 안정과 협력에 도움이되지 않는다”고 왕성지린대행정대학원­국제정치학과 교수발언을인용해전했­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