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보급형전기차에도‘실리콘음극재’탑재…현대차등10여차종준­비

충전시간짧고거리늘린­첨단소재그동안포르쉐·아우디고급형사용대주­전자등국내외생산업체­소수국내대기업도시장­진출·개발눈독

- 김혜란기자khr@

고급전기차에만들어가­던실리콘음극재가 올해부터는 현대자동차그룹 등보급형전기차에도쓰­이면서관련시장이커지­고있다.

전기차 대중화 카드로 충전 시간을단축 수 있는 소재가 부상하면서실리콘 음극재사용을 범용 차종까지늘린영향이다. 아직양산 체제가 갖춰진 회사는 극소수로, 시장 진입여지가 있다고 판단한 국내 대기업들도 실리콘 음극재개발에속도를내­고있다.

11일 업계에따르면실리콘 음극재를탑재한 전기차가 올해는 10종 내외가될 것으로 추정된다. 작년까지만 해도실리콘음극재를적­용한차량은포르쉐타이­칸과아우디E-트론 GT 등일부고급전기차뿐이­었다.

다만 업계 내 정보유출을 막기 위한비밀유지계약(NDA)으로 실리콘음극재를 채택한 전기차는 이보다 더많을 수있다.

올해 시장이 대폭 확대된 이유는 기아·현대차, 포드, 스텔란티스 등 보급형모델에도 실리콘 음극재가 쓰인 영향이다. 최근 전기차 시장 수요 둔화에완성차업계가 편의성높이기에주목하­면서충전속도 향상을 위한 기술력을 전차종에집약시키고있­다.

실리콘은 현재 음극 소재로 쓰이는흑연보다 에너지를 4배이상 저장할 수있어전기차 주행거리를 늘리고 충전시간을단축할수있­는 차세대소재로꼽힌다.

1회 주유 시 내연기관차 평균 주행거리가 670km인 상황에서, 여전히 이에크게미치지못하는 전기차 평균 주행 거리(400km)를 늘리려면 배터리에너지밀도증대­가 지속적으로이뤄져야한­다. 또 하이니켈양극재는 240mAh/ g(암페어시/그램)수준이한계지만실리콘­음극재등은이론적으로 500mAh/g내외의용량밀도도가­능하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실리콘 음극재양산이 가능한 곳은 한국의 대주전자재료를 비롯해일본 덴소·신에츠, 중국BTR 정도, 미국 실라등소수업체뿐이다. 다만 향후 실리콘의팽창 문제를어떻게해결하는 가에따라 시장 판도가달라질수있다는 분석이다. 충·방전 과정에서부피가 최대 400% 팽창하는것이 여전히 기술 난제로 꼽히기 때문이다.

대주전자재료는 북미 전기차 1위 기업, LG에너지솔루션에이­어 SK온 등으로 협력 관계를 확대하고 있다. 완성차브랜드 기준으로는 올해 포르쉐, 스텔란티스, 현대차, 포드 등의전기차에대주전자­재료의실리콘음극재가 쓰일것으로전망된다.

적용 차종 확대로 대주전자재료의실적도­오름세를보일전망이다.투자은행(IB) 업계는 대주전자재료의1분기 실리콘 음극재관련매출이전년­동기 55억원보다 50% 이상 성장한 82억원에육박할것으­로추정했다.

테슬라와메르세데스-벤츠가실리콘음극재를­탑재한 전기차 출시를확정하면서국내­소재기업들도 관련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현재SK, 포스코, 롯데 등 대기업이 실리콘음극재 기술을 보유한 회사에 지분 투자하거나 합작사를 세웠다. 한국의 연구개발(R&D) 인력활용과 미국인플레이션감축법(IRA) 영향으로 한국에 진출한 글로벌 업체들도 있다. SKC가 투자한영국의넥세온과­캐나다에모회사를두고­있는네오배터리가대표­적이다.

SNE리서치는 실리콘 음극재비중이2030­년 7%에이어 2035년에는 10% 수준까지 커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금액기준으로는 2023년 6억 달러(약 8182억원)에서 2025년 19억 달러(약 2조5000억원), 2030년 43억 달러(약 5조8600억원), 2035년에는 66억 달러(약 9조10억원)까지증가할것으로예상­됐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