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축산의스마트화,데이터가핵심이다

- 강민구농촌진흥청국립­축산과학원축산생명환­경부장

최근 챗GPT 등 초거대 인공지능(Hyperscale AI)을 기반으로 한 생성형인공지능(Generative AI)은인간만이가능한영역­으로생각되던 글쓰기, 그림 그리기, 알고리즘코딩등에서놀­라운능력을보여주고있­다.인공지능이생각보다 빠르게발전하고있고앞­으로 우리삶의방식을 크게바꿀 수도 있다는데많은사람들이­동의한다.

축산 분야에서도 경험에 의존하던 기존의가축관리방식을 인공지능을 활용한 데이터기반의 가축관리 방식으로 바꾸기 위한 노력이이뤄지고 있다. 하지만안타깝게도축산­분야의경우인공지능적­용을위한학습데이터가­부족하여관련기술개발­이더딘상황이다. 축산의스마트화를 위한 필수 조건인 양질의데이터확보를 위해해결해야 할 과제를살펴보고자한다.

첫째데이터수집기준을­표준화해야 한다.인공지능 적용을 위해서는 많은 양의데이터를확보하는­것이중요하다. 농가별로수집하는 데이터 항목, 단위및수집방법이다르­면여러농가의데이터를­같이활용하기어렵다.

실제로 현재스마트팜을도입한 농가수는많지만 설치된기기의종류나 수준이다르고같은기능­을가진기기도업체별로 송출하는데이터가 다르다. 거기다 수기로 작성한 데이터는 수집자체가 안 되는 경우가 많아 농가별로 수집된 데이터 항목은 매우 다를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데이터 수 자체가 많더라도세트구성이어­려워농가수집데이터의­활용도가낮은 실정이다. 따라서수집해야하는필­수데이터항목을설정하­고단위,수집방법에대한기준을­통일하는등데이터활용­성을높이기위한노력이­필요하다.

둘째스마트팜 기기의품질을 개선해야 한다.양질의학습데이터확보­를위해서는스마트팜 기기로부터 안정적으로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중요하다. 축사 안은 습하고암모니아가스농­도가높으며분진이많아­스마트팜기기가쉽게고­장날수있는환경이다. 특히전기화학식센서로­만들어진환경모니터링­기기는 몇개월못쓰고고장 나는경우가많아데이터­확보에어려움이있다. 따라서스마트팜 기기별로 최소한의내구성, 정확도 등에 대한 품질 규격을 설정하고, 검증하여기기의품질을­높이는노력이필요하다.

셋째새로운 데이터자동수집기술개­발이필요하다. 현재농가에보급되는스­마트팜기기는 데이터수집보다는 작업의편의성과 효율성향상에목적을두­는기기가 대부분이다.인공지능기반가축관리­를위해꼭필요한정보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기술로는 수집이어려운 데이터도 많은 상황이다. 최근에는가축의 체중, 행동 영상, 발성음 등을 모니터링하는기술이일­부 개발됐지만 상용화는미흡한실정이­다. 가축관리에필요한 데이터를 자동으로모니터링하는 기술 개발과 상용화를위해더욱노력­해야할 것이다.

정부는 2021년부터 ‘스마트팜 다부처패키지 혁신기술개발’ 사업을 통해지능형스마트팜 기술 개발을 추진하며농축산 분야의여러과제를해결­하기위해노력하고 있다. 국립축산과학원도 ICT 기기및데이터 표준화, 영상기반 생체정보 수집 기술 등 데이터 수집기반 구축에힘을 보태고 있다. 민·관·산·학의노력으로 데이터기반 축산의기틀이마련된다­면 사양·환경 정보, 가축생체정보등농장의­중요한 정보를 정확하게수집하고 표준화된 형태로 데이터 플랫폼에 저장할 수 있을것이다. 표준화된양질의데이터­를 활용해다양한인공지능­서비스모델이개발될수­있고농장 관리자의의사결정도 지원해줄 수있을것이다. 인공지능 적용을통한축산의스마­트화가현재축산업이안­고있는현안을해결하고­나아가축산스마트팜 선진국으로거듭나는데­기여할수있길바란다.

수집기준표준화…양질의데이터확보정부,지능형스마트팜기술개­발나서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