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비궁부터로봇·무인함정까지…‘가성비’ K방산,미국시장눈도장

- 권가림기자hidde­n@

HD현대,미국팔란티어와USV­개발LIG넥스원도비­궁2차례성능검증한화­에어로,다목적무인차량타깃상­호조달협정가시화땐수­출탄력

국내방산업계가 미국 방산시장에서저변넓히­기에나섰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한국산 무기의품질과 가격, 납기등이검증되면서 국내 방산업계를 함정, 미사일,탄약분야의협력파트너­로서모색하고있다.

연내방위산업분야의자­유무역협정(FTA)으로 불리는 국방상호조달협정(RDP-A)까지 체결되면 국내방산업계의최종목­표인 ‘천조국’ 미국시장의진출에도속­도가붙을것으로기대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2022년10월부터 지난해9월까지무기거­래체결 규모는 800억 달러 이상으로 평년대비5배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우크라이나에대한전쟁­지원이확대되면서미국­방위업체에무기·군수품 주문이잇따르고있다.

미국이넘쳐나는일부수­요를우방국의무기수입­을 통해대응하고 있는 가운데높은성능과 품질,합리적가격, 빠른 납기가 강점인 한국 무기 도입에 눈독을들이고있다.

특히미군 등에조달 제품을 수출할때 세금 등으로 인한 가격상 불이익을피할 수 있는 한-미간 국방상호조달협정(RDP-A)의 체결이올해안에가시화­되면 국내 방산업계의 수출도 탄력을받을전망이다.

가장 기대되는 분야는 함정, 탄약, 미사일 분야다. 미국은 중국에비해보유함정 숫자가 뒤처진 상황으로 국내 방산업계와의협력을통­해이를보완하려고하고­있다.

미 방산기업인 팔란티어테크놀로지스­가 HD현대와 무인수상정(USV) 개발에나선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USV는기존유인함정­을대체해위험구역내감­시정찰, 기뢰탐색·제거, 전투 등 각종임무를 수행하는 필수 전력으로 주목받고있다.

최근 실전 배치가 이뤄지는 추세로HD현대의 자율운항 기술, 첨단 방산AI를 접목해 고성능 선체 개발에 나선다. 지난 2월에는 카를로스 델 토로 미군 해군부 장관이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사업장을 방문해 미 해군 함정의 유지·보수·정비(MRO) 사업을논의했다. 미국 조선소들은 인력부족과 노후한 시설 등으로 건조 비용이 한국보다비싸고 건조 시간도 길다. 미·중 패권경쟁속에해양주도­권을유지하기위해서라­도 글로벌 조선업 강자인 국내 방산업계와의협력이요­구된다.

LIG넥스원의 유도로켓탄인 비궁의수출도 기대된다. LIG넥스원은 지난해부터비궁의북미­수출을 위해미국방부의 해외성능시험(FCT)을 4차례진행했다. 올해2차례의시험발사­를 앞두고있다. 성능이 검증되면 미 국방부에 수출이가능해진다.

비궁의 대당 가격은 미국의 주력 유도로켓인 헬파이어보다 3배 낮지만 성능면에서는큰차이를­보이지않는다는경쟁력­을 갖는다. 미군서무기체계가 검증되면 NATO국가를 포함한 전세계에추가적인 수출을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LIG넥스원의미군용­로봇시장의확장도 눈여겨볼 만한 대목이다. 회사는오는6월쯤 미4족 보행로봇개발사고스트­로보틱스인수를마치면­정밀타격(PGM)과 감시정찰(ISR), 항공전자/전자전(AEW), 지휘통제/통신(C4I)에 이어로봇 분야까지 방산사업을 확장할 수있다. 고스트로보틱스의 로봇견 ‘비전60’의 기본 모델 단가는 15만~30만 달러에이른다.

지난해3조원어치전차­를 수출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미국 다목적무인차량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회사는 장갑차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1회 충전시 100㎞ 이상 주행하는 다목적 무인차량아리온스멧을 개발했다. 한화에어로는 아리온스멧으로 미국 해외비교성능시험(FCT)을 진행하고 있다. 시험평가를 마친후 미국 국방부가 도입을 확정하면전차수출길이­처음으로열리게된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