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50년달려온창원국가­산단…디지털전환으로미래5­0년연다

기계공업요람으로작년­생산액첫60조·수출액180억달러제­조업사양화·탈원전등악재로잃어버­린명성되찾기나서

- 창원=손충남기자cnson­78@

1974년 4월 1일 설립돼 기계공업의요람으로 반세기 동안 우리나라의 고도 경제성장과 번영의 한 축을 담당해온창원국가산단­이지난 1일 설립 50주년을맞았다.

하지만 제조업 사양화, 시설 노후화,국내외경제여건 악화, 탈원전정책등악재가 겹치면서조금씩명성을­잃어가고있다.

그러던창원국가산단은 글로벌디지털전환등활­로모색과방위산업등선­전에 힘입어 지난해 생산액이 사상 처음으로 60조원대를 돌파했고수출액은18­0억 달러대를 기록하는 등 중차대한변곡점을맞았­다.

창원시는 오는 23일부터 27일까지‘창원국가산단 50주년 기념 주간’으로지정하고 다양한 행사와 함께 미래 50년을위한 새로운비전과 마스터플랜도발표할예­정이다. ◆창원국가산단은어떻게­탄생했나

경공업 수출 중심이던 우리 경제가다른개발도상국­들의해외시장진출확대­로 한계에직면하자 박정희대통령은197­3년 1월 신년사를통해‘중화학공업화’를 선언하고 같은 해 6월 기계, 조선,화학등 6대전략업종육성계획­을발표했다. 이후 공업단지 조성을 위해 여러후보 도시를 두고 저울질하던 정부는창원 지역을 선정했다. 창원 지역은 동남권주변도시와 편리한 교통, 중량물공장 건설에 적합한 지반, 공업용수·생활용수 등 취수 용이, 원활한 주거용지공급 등 산업입지로서 월등한 조건을갖추고있었다.

같은 해 9월 박 대통령의 ‘창원기계공업기지 건설에 관한 지시’가 하달되고이듬해 4월 1일 건설부 고시 제92호에따라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됐다. 당시 4628만m²의 주거지역과 992만m²의공장용지로 구성됐으며 논밭, 대지, 임야 등이모두 공장용지로 조성된후 새로운 터전 위에 공업용지, 주거용지, 공공용지로구분해시설­이건설됐다. ◆기계공업의 메카, 창원국가산단의

성장과위기

1975년 밸브를 생산하는 부산포금가동을 시작으로 1970년대 후반 금성사, 대우중공업, 기아기공, 한국종합특수강, 부산제철, 삼성중공업등 대형업체들이들어서면­서창원국가산단은 기계공업의 메카로 자리 잡았다. 산단은

중화학공업 육성 및 수출 100억 달러달성이라는 1970년대 정부 목표 등과맞물리며 성장을 거듭했다. 생산과 수출은 1975년 각각 15억원과 60만 달러에 불과했지만 산업기계·수송기계 등주도하에생산액은1­994년 10조원을 넘어 2015년에는 58조원을 기록했다. 수출도 1987년 10억 달러 돌파에 이어2005년 100억 달러, 2012년에는 239억달러를기록했­다.

산단 활성화로 옛 창원시는 1989년에 당초 계획했던 인구 30만명에 도달했고 1994년에 40만명, 2007년에는 50만명을 넘어섰다. 그러나 산단은 최근들어 노후화 등 문제에 직면했다. 특히주력산업은 큰 위기를 맞았다. 방위산업 분야는 어렵게 현상 유지를 해왔으나 지난 정부의 탈원전 정책은 원자력산업에 큰 타격을 입혔다. 산단의실적도 추락을 거듭했다. 생산액은 2011년에 55조원에서 2021년 45조원으로 10조원 줄었고, 같은 기간 수출액도 233억달러에서 123억 달러로 100억 달러이상줄었다.

◆미래 50년 ‘터닝포인트’ 전략적비전수립

창원시는창원국가산단 설립50주년을 맞아 미래 50년 터닝포인트가 될전략적비전수립에 돌입했다. 지난해3월산업계, 학계, 유관기관 등 전문가 20명으로구성된‘창원국가산업단지50­주년발전협의회’를 출범시킨 창원시는 전문기관 용역등 폭넓은 의견 수렴을 거쳐‘창원국가산단중장기마­스터플랜’에대한 마무리작업이 한창이다. 중국 선전경제특구와 프랑스그르노블 자이언트프로젝트 등을 참고한 마스터플랜에는산단의­미래비전과 전략 목표, 목표별전략과제등이담­겼다.

창원국가산단의지속가­능한발전의핵심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맞는초­지능·초연결 기반의 디지털 전환이다. 이를뒷받침할국비사업­은△차세대첨단복합빔조사­시설구축기본설계비△기계·방산 제조 디지털전환(DX) 지원센터△수소 기반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타당성조사 용역비△방산부품연구기관추진­전략연구△제조산업특화초거대제­조 AI서비스 개발및실증 등이며, 총사업비는 1조2547억원에 달할 것으로예상된다.

특히 차세대 첨단 복합빔 조사시설구축사업은 전액 국비사업이며 총 사업비는 5000억원, 연간 운영비가 200억~300억원 지원될 것으로 예상된다. 첨단 복합빔은 크고 무거운 방위·원자력제품이나 부품을 해체하지 않고도 결함을확인할수있는 산업용특화 장비로, 이를 통해고도의과학기술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방산기업­들을 창원으로 유인하고 집적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것으로기대하고­있다.

또 기계·방산 제조 디지털전환 지원센터구축사업은 총예상 사업비 310억원으로이중국­비는 140억원이다. 창원국가산단의 미래 50년을 선도할 핵심지원시설이될것이­며기초수준에머물고 있는 스마트 공장도 고도화된 디지털 공장으로 전환을 꾀하며, 지멘스와같은스마트팩­토리글로벌선도기업들­과협업도추진한다.

홍남표 창원특례시장은 “2024년은국가경제­를견인해온창원국가산­단이지정된지 50주년이 되는 해로, 미래 50년의대전환을 여는 아주 중요한 시기”라며“과거창원국가산단이첨­단기술의추격자로시작­해지금에이르렀다면앞­으로 산단은 미래의 변화와 혁신의 선도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을아끼지않겠다”고 말했다.

 ?? [사진=창원시] ?? 창원국가산단
[사진=창원시] 창원국가산단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