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잊고있던중형세단의확­실한존재감

- 시승기/성상영기자sang@

중형 세단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몇가지가 있다. 여유 있는 실내와 필요한건 다 갖춘 편의장비, 적당한 안락함이다. 중형 세단의 대표적인 특징을 앞세워소형차와 플래그십(기함)을 잇는가교역할을 하면서이차종은 오랜 기간중산층의상징,패밀리카의표준으로입­지를다졌다.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 국내 자동차 시장을 휩쓸고 세단 중에서는 상위 차종인준대형급이시장­을압도해중형세단은형­님에눌리고 동생에치이는 샌드위치신세가 됐다. 그러나 여전히 적지 않은소비자가 자동차를 구매할 때 2000만원 후반~3000만원 초중반대중형세단을여­러선택지가운데하나로­꼽는다.

지난 5~8일 시승한 기아 ‘더 뉴 K5’는 중형 세단의 매력을 새삼스레 느끼게해준 차였다. 결론부터내놓자면 나흘간 약 1100㎞를 타면서별다른 불만이 없었다. 준중형인K3와는 당연히차원이달랐고한­체급위인 K8과 비교해도크게떨어지지­않았다. 2000㏄엔진·6단자동변속기탑재매­끄럽게속력높이는특유­의감각2세대K5보다­확실히넓어진내부K8­맞먹는승차감·정숙성돋보여가격27­00만~3000만원초중반대

◆내·외관변화보단‘내실’에 집중

시승차량은폭넓은라인­업중에서도2.0ℓ 가솔린엔진을탑재한 모델이었다.변속기는 6단 자동이들어갔다. 2000㏄엔진과 6단 자동변속기, 익숙하면서다소 ‘올드(old)’한 조합이다. 유지비는 낮은데출력은 더좋은 1.6ℓ 가솔린 터보와 하이브리드 모델이 주인공 자리를꿰찬 요즘 시대에 2000㏄ 중형 세단이갖는의미는무엇­일지궁금했다.

신형 K5는 지난 2019년 출시된 3세대모델에서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를거친 차량이다. 겉에서 드러나는 변화는크지 않다. 헤드램프(전조등)와 리어램프(후미등) 형상이 바뀌었고 인포테인먼트와공조장­치조작부가달라진정도­다.

전조등과 후미등은 선형을 유지하면서도 더 과감해졌다. 초기형에는 세련됐지만다소소극적­인길이로머물렀다면 신형은 위와 아래로 선을 확실하게그었다. 덕분에전면부는 한층 더날렵해진 인상이다. 반면 후면부는 선을 쭉하고 긋다가 멈출 타이밍을 놓쳤나 싶은생각을할정도로아­래를향해곧게뻗은 후미등이눈에 띄었다. 실물을 측면45도쯤에서보면­볼륨이느껴지기도했다.

전체적인 크기는 2015년 출시된 2세대 K5보다 확실히 커졌다. 대충 훑어봐도넓어지고 길어졌다. 옆모습을지나가듯보면­상위차종인K8이라 해도믿을법했다. 실제 전장(길이)과 축간거리(휠베이스)가 2세대(전장 4855㎜, 축간거리2805㎜)보다 각각50㎜씩늘어났다.

체감되는 공간감은 뒷좌석에앉았을때크게 다가왔다. 몇년전 K8을 탔을때 2열 공간이 운동장 같다고 생각했는데 그에 못지 않았다. 엉덩이를 의자앞으로 빼고 등을 뒤로 기대며 눕다시피앉아도 앞좌석과 무릎 사이에 여유가 있었다. 재보진 않았지만 같은 플랫폼을사용한현대자­동차 쏘나타보다도넓은느낌­이다.

세단을새롭게정의하다

신형 K5는 내·외관 변화보다 내면의완성도를 높이는 데초점을 맞췄다. 무엇보다승차감과정숙­성이상당히개선됐다. 준중형차에서 중형으로 올라올때가장많이체감­되는 부분이다. K5는그차이가더확연­했다.

시내 주행 땐 엔진이 회전수를 서서히높인다는 것외에다른 소리가 거의들어오지 않았다. 고속도로에서 시속100~110㎞로 달리는 동안에도 동승자와 편하게 대화가 가능할 정도였다. 실내로 유입되는 엔진·배기음, 노면 소음그리고창문으로들­어오는바람소리가전반­적으로 잘 억제됐다. 속력 변화에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정도 역시 극적이지않았다.

승차감은 기본적으로 부드러운 편이다. 자잘한 요철에서오는 진동도 탑승자에게 곧바로 전달되지 않았다. 바퀴가 맞닥뜨리는 대부분 충격을 매우 세련되게잡아냈다.

보통승차감을좋게하려­면서스펜션(현가장치)을무르게만드는데K5­는 마냥 ‘물침대’ 같지않았다. 오히려요철을넘고서따­라오는 후진동을 적극적으로감쇄시키면­서탄탄하게받쳐준다는 느낌을받았다.

실제로기아는앞뒤서스­펜션특성을조율하고 소재를 개선했다. 또한 차체와앞유리접합부를­보강하고뒷좌석에도이­중접합차음유리를사용­해외부에서 전해지는 각종 소음과 불쾌감을 잡았다.

뛰어난 승차감과 정숙성은 2.0ℓ 자연흡기 가솔린 엔진과 만나 주행 질감을 잔잔하고도 온화하게 만들었다. 엔진크기를줄이는다운­사이징이유행하면서어­느덧 현대차·기아 중형세단에도1.6ℓ 가솔린터보엔진이주력­으로자리잡았는데,매끄럽게속력을높이는­감각은자연흡기엔진을­따라갈수없었다.

일상주행에서는힘이부­족하지도않았다. 주로시내에서내는시속 60~70㎞까지는 제법 민첩하게 가속한다. 오르막에서나 시속 90~100㎞부터 엔진 소리가 커졌으나 이는 태생적 한계로 봐야할 듯하다.

신형K5는 퇴출위기에빠진중형세­단을 새롭게 재정의하는 차였다. 점차차를 보는 눈높이가 올라가는 상황에서준중형차와 등급 차이를 벌리고 대형차보다는가격접근­성을높이면서존재감을 강화했다. 가격은 2.0 가솔린기준△프레스티지 2784만원 △노블레스3135만원△시그니처3447만원­이다.

 ?? ??
 ?? [사진=기아] ?? 기아‘더 뉴 K5’내부
[사진=기아] 기아‘더 뉴 K5’내부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