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삼성,텍사스에첫공장왜?…현지파트너·고객사와긴밀협력노렸­다

- 강일용기자zero@

총62조원투자…보조금9조원받아퀄컴·엔비디아등팹리스모여­있어4나노·2나노통해빅테크유치­사활

미국정부가 삼성전자·TSMC·인텔 등글로벌 반도체 생산(파운드리) ‘빅3’에지급할보조금규모를­확정함에따라 4㎚(나노미터) 미만 초미세공정 시장 주도권을 쥐기 위한 업체 간 경쟁이 더욱치열해지게 됐다. 초미세공정의주고객인 미국 빅테크와 삼성전자 간 합종연횡이가속화할것­으로기대된다.

16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전날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첨단 반도체생산시설을 건립하는 삼성전자에반도체보조­금 64억 달러(약 8조8500억원)를 지원하기로했다.

이러한 미국 정부 보조금 계획에 맞춰삼성전자는 테일러에 170억 달러(약23조5000억원)를 투자한다는 당초 계획을 3배가까이확대해20­30년까지 총450억 달러(약 62조3000억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2면>

반도체 전문가들은 이번 보조금 발표에서 삼성전자 투자에 관한 미국 정부의기대감을 엿볼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삼성전자는 투자금 대비약 16%의현금 보조금을 받는다. 1000억 달러를투자해현금보조­금85억 달러(8.5%)를 받는 인텔과 650억 달러를 투자해현금 보조금 66억 달러(10.2%)를 받는TSMC를넘어서­는수치다.

이는삼성전자가 1996년부터미국텍­사스주 오스틴에서 반도체 공장을 운영하며 미국 내 공급망 확대와 일자리창출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은 것으로풀이된다. 또삼성전자가미국정부­에서저금리로 각각 110억 달러와 115억 달러대출을 받는 인텔·TSMC와 달리대출을받지않는 점도높은보조금에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작년기준 79조6900억원 상당 현금과현금성자산을보­유하고있다.

실제로 지난 15일(현지시간) 삼성전자 테일러 캠퍼스에서 열린 미국 정부반도체 보조금 행사에 참석한 경계현삼성전자 DS(디바이스솔루션) 부문장(대표)은 “삼성전자는 1996년 미국 텍사스에 뿌리를 내리고 반도체 생산라인 확대와 함께지역산업생태계강­화에 힘썼다”며 “이번 투자는반도체라는제품­을넘어(미국) 산업공동체를위한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가이렇게미국­투자를강화하는이유는 퀄컴·엔비디아·AMD·구글·테슬라 등 초미세공정 주요 고객인 대형 팹리스(반도체 설계기업)가 모두 미국에모여있기 때문이다. 이들과 설계·생산과정전반에서긴밀­히협력함으로써최종 반도체완성품 품질을 한층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기대하고 있다. 일례로 크리스티아노 아몬퀄컴 최고경영자(CEO), 젠슨황엔비디아 CEO, 리사 수 AMD CEO 등은 보조금행사에축사를보­내며삼성전자의미국 내첨단 파운드리에관한 큰 기대감을 드러냈다. 세회사는 삼성파운드리에서 자사 주력 반도체를 양산한 적있는 핵심 파트너다. 구글과 테슬라도모바일 칩과 자율주행 칩을 삼성파운드리에서만들­고있다.

경 대표는 “테일러 공장이완공되면최첨단 제조 시설을 통해미국 파트너·고객과 더 긴밀하게 연결될 것”이라며“설계부터 완성까지 미국에서 만든 최첨단제품을고객에게­제공할계획”이라고말했다.

삼성전자의 테일러 첫 공장은 2026년부터 4㎚(나노미터)와 2㎚의 초미세공정반도체를 생산한다. 두 번째공장은 2027년 완공되며첫공장에준하­는초미세공정을 도입할 계획이다. 연구개발 시설도 2027년 개원한다. 이를 토대로 삼성전자는 TSMC·인텔과 미국 내고객을 두고 본격 경쟁할 것으로 전망된다. TSMC는 미국애리조나주에첨단­파운드리 시설을 3개 짓고 있다. 두 번째공장에는기존에계­획했던3㎚뿐 아니라 2㎚ 초미세공정도 도입한다. 다만미국 내투자에관한 대만 여론이악화하고있는점­은 TSMC 계획에부담으로작용할­전망이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