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중동발리스크·미국경제강세까지…고금리장기화될듯

강달러지속…인니등통화가치최저금­리인하기대꺾이며되레­인상론유가도배럴당1­00달러넘을수도

- 최은솔기자 scottchoi1­5@

중동 지역 긴장에 미국 경제 강세까지 겹치며 고금리가 세계 경제를 오랜기간 짓누를 태세다. 강달러현상에아시아 각국 통화가치는 줄줄이 무너졌고, 금리인하 기대에 질주하던 아시아증시는 후퇴했다. 한동안 자취를 감췄던 금리인상론마저 고개를 들며 글로벌금융시장은꽁꽁­얼어붙었다.

15일(현지시간) 외환시장에서 주요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달러인덱스는 106대로 뛰며 5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미국 기준금리인하 기대가 줄어들면서 달러 강세가 다시나타나고있는 것이다.

강달러에 아시아 각국 통화는 맥을 못 췄다. 달러매수세에힘이붙으­면서달러대비엔화값은 1990년 이후 처음으로 154엔 선이 뚫렸다. 인도네시아루피아화 가치는 4년 만에 최저 수준인달러당 1만6000루피아 안팎에서거래됐고, 인도 루피화 역시기록적인 수준으로 하락했다.말레이시아중앙은행은 26년 만에최저치를 찍은 링깃화 가치 방어를 위해 외환시장 개입 카드를만지작거리고있­다.

미툴 코테차 바클레이스 아시아 외환·신흥국 거시전략 책임자는 “아시아통화 대부분은 강달러에 굴복해야 할것”이라며 “아시아 외환시장 움직임은미국 국채금리상승과 위험회피심리에따른 달러강세에의해주도되­고 있다”고블룸버그통신에말했­다.

이스라엘과 이란이 서로 보복을 주고받으며금융시장이­초불확실성에빠진 가운데 미국 경제지표가 강세를 보인 점 역시 암운을 드리웠다. 미국 3월소매판매는 전달 대비 0.7% 증가해 시장 예상치(0.4%)를 상회했다. 미국 경제강세는 물가를 자극해 고금리 장기화로이어질수 있다.

금리인하 기대는 증발했고 추가 긴축 관측에는 힘이 실렸다. 글로벌 투자은행 UBS 전략가들은 현재와 같은 경기 팽창이 지속되면 물가 둔화가 정체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상 기조로 전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략가들은 연준이 내년 중반까지기준금리를 6.5%까지 올릴 수 있다고 봤다. 앞서 미셸 보먼 연준 이사는 최근 “인플레이션이 계속 높게 유지되면필요시추가 금리인상을 할 수도있다”고 발언하며 시장에 충격을 던진바 있다.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으로 도피했다. 위험자산으로 꼽히는 비트코인 가격은장중 6만3000달러 선을밑돌았고미국 3대 지수는 모두 하락했다. 각국아시아 증시역시 고꾸라졌다. 일본 도쿄 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약 2%, 홍콩증시는 2% 넘게 빠졌다. 미국 10년물국채금리는전­장대비 0.09%포인트 오른 4.61%를 찍으며 자산 시장을 압박했다.

범중동 전쟁 가능성이 줄어들며 원유 가격은 소폭 하락했으나 유가 강세론은 꺾이지 않았다. 이스라엘이 이란정유시설을 공격하는 식으로 재보복에나설 것이란 예상이 나오는 만큼 안도하기에는아직이르­다는 지적이다.

전략에너지경제연구소(SEER) 마이클 린치는 향후 이스라엘의 고강도 보복 공격으로 원유 시설 등이 파괴된다면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넘을 수있다고 전망했다. 이란이 중동산 원유의 주요 수송로인 호르무즈해협을 봉쇄할가능성도배제할­수 없다.

세계 최대 원유 소비국인 중국 경제가 회복 조짐을 보이는 점역시 유가를 자극할 수 있다. 중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동기대비 5.3%상승하며로이터통신이­집계한 전망치(4.6%)를 웃돌았다.

 ?? ??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