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정유·석유화학,중동전쟁직격탄…고유가·고환율겹쳐‘노심초사’

국제유가90달러·환율도1400원정유­업계,정제마진축소불가피석­화수출16%줄며자본잠식우려비축­유방출등가격안정화필­요

- 김성현기자minus­1@

국제유가 배럴당 90달러, 원·달러 환율장중 1400원 등글로벌경제가본격적­인 고유가·고환율 시황에돌입하면서국내­정유업계와 석유화학 업계의수익성이크게악­화할것으로전망된다.

이미수요감소및원자재­가격상승으로침체된내­수시장에서는 건설, 제조업등을 중심으로 석유제품 가격 인상에따른 추가 부담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16일 이스라엘군 사령관 헤르지 할레비(Herzi Halevi)가 이란의공격에대해 “대응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국제유가는­배럴당90달러선을 넘어섰다.이날 오후 2시 30분 기준 선물시장에서브렌트유­는 배럴당 90.66달러에 거래중이다. 현물시장에서오만유도 배럴당90.31달러를 기록했다.

올해 초 70달러 선에서 거래됐던 국제유가는 3개월 반 만에 배럴당 약 20달러가증가했다.

석유 수입을 위한 주요 결제수단인달러도 고공행진 중이다. 이날 원·달러환율은 5.9원 오른 1389.9원에 개장해장중상승폭을키­우면서한때 1400원선을 기록했다. 원·달러 환율이장중1400원­을 넘어선것은 2022년 11월 7일이후약17개월 만이다.

정유업계와 석유화학업계는큰어려­움에 직면하게 됐다. 원자재 가격부담이증가한 반면 단가는 하락하고 수요는 감소했기 때문이다. 특히 석유화학업계의 경우 수요가 크게 감소하면서원자재가격­인상분을제품가에반영­하기힘든상황인것으로­전해진다.

먼저정유업계는이미올­해석유제품단가가 전년동기와 비교해하락했지만국제­유가는 인상돼정제마진이축소­될것으로보인다.

올해 1~2월 국내 석유제품 수출 단가는 배럴당 98.87달러로 전년 동기(104.35달러) 대비 5.25% 하락했다.

올해초부터달러강세와­국제유가상승이본격화­하면서, 2분기정제마진은예년­에못미칠것이라는시각­이우세하다.

5년간의 침체기를 겪고 있는 석유화학업계는고유가·고환율이중고를직면하­면서자본잠식우려마저­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에따르­면지난해석유화학 수출액은 전년 대비 15.9% 감소했다. 올해도수출감소세는 지속되는것으로 전해지는데, 중국산 석유화학제품과의경쟁­에서원자재가격상승분­을 제품가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적자폭이커질것으로분­석된다.

지난해 3477억원의 적자를 기록한롯데케미칼은올­해1분기에만 1070억원의손실을­낸것으로 관측된다. 고유가·고환율 현안이 2분기부터 본격화했기때문에연간 손실액은 지난해의 2배를넘어설수있다는­우려가제기된다.

효성화학의 1분기 실적 시장전망치는 460억원 적자다. LG화학은 전년 동기대비 79.34% 감소한 1634억원의 영업이익을달성할것으­로관측됐다.이날부터 이스라엘-이란 무력충돌 본격화라는새로운지정­학적리스크가발생해시­장은 2분기 석유화학 업계의 실적을하향조정할예정­이다.

한 석유화학 업계 관계자는 “수익성을결정하는여러­요인이있는데,단순히국제유가가오른­다고수익성이떨어지지­는 않는다 오히려수요가 있을 때는 원자재가격을 제품가에즉시반영하면­서수익성이확대될 수도 있다”면서도 “다만작금의상황은수요­는감소하고결제수단인­달러 강세, 고유가 등이겹쳐어두운전망이­나오고있다”고말했다.

한편 산업계에서는 유가 상승에 따른 내수용 석유제품 가격의인상을 우려하고 있다. 이미철강 등 원자재가격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건설·제조업등 업계의입장에서는 경유 등 석유제품 가격상승이큰 부담으로 다가오는 실정이다.일각에서는국가차원에­서역대최대수준인8개­월치의비축유를 확보하고 있는 만큼, 내수 석유제품가격 안정화를 위해 비축유를 저가에공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