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낸드가격상승에HBM­시장확대삼성전자·하이닉스실적도‘날개’

1분기낸드23~28%가격상승세eSSD·DDR5·HBM3호실적기대

- 이성진기자leesj@

글로벌 반도체시장이1년간의 부침을딛고 반등하고 있다. 특히우리기업들이 주력으로 하고 있는 메모리 제품의가격상승세가본­격화되면서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호실적­이기대되고있다.

16일 시장조사업체트렌드포­스에따르면지난 1분기낸드플래시가격­은 전분기대비 23~28% 상승한것으로파악된다.

2분기 낸드 가격은 13~18% 상승에그치며1분기보­다 상승폭이줄어들 것으로 보이지만, 삼성전자가주도하는기­업형 SSD(eSSD)는 20~25%의 상승세를이어갈것으로­관측된다.

기업용 SSD는 북미클라우드의수요가­아직회복되지않은것으­로파악되지만, 중국 클라우드와 서버브랜드의수요증가­로가격상승이전망되고­있다.

앞서 트렌드포스는 1분기 D램 평균판매단가(ASP)도 전분기 대비 최대20% 상승한다고 내다봤다. 1년이상지속됐던 불황 국면을 벗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메모리반도체시장은 수요 감소, 가격하락등으로5개분­기연속전년동기대비 역성장했지만 지난해 4분기부터반도체 감산효과 가시화에 따른 가격상승등으로반등하­고있다.

SK하이닉스는 2022년 4분기, 삼성전자는지난해4월­반도체감산을공식화했­다. 이후 의미있는 수준으로 재고가감축되지못하자­양사는같은해7월 추가감산을발표했다.

스마트폰과 PC 시장 회복세가 지속되는가운데상대적­으로부진했던서버용 메모리 수요도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는등반도체 ‘업턴(상승국면)’ 기대감이높아지면서메­모리구매자들은가격인­상등에대비해안전재고­를확보하기위해구매를­확대하고있다.

이에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실적반­등이기대된다.

삼성전자는 지난 5일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 71조원, 영업이익 6조6000억원의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전년 동

기대비각각 11.37%, 931.25% 증가한수치다. ‘어닝 서프라이즈’ 배경은 메모리 부문의 이익 개선 때문으로 추정된다.

김광진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삼성전자는 D램대비상대적으로기­대가낮았던낸드이익이 인공지능(AI) 서버에서의eSSD수­요증가를기반으로빠르­게개선되면서 손익분기점(BEP) 수준에근접했다”며“향후 메모리이익개선속도도­더욱빨라질것”이라고말했다.

SK하이닉스도 큰 폭의 실적 개선이예상된다.

증권업계컨센서스에따­르면 SK하이닉스는 1분기 매출 11조9850억원, 영업이익 1조5056억원으로 추정된다. 추정치대로면 SK하이닉스는 지난해 4분기흑자전환에이어 6개분기 만에조단위영업이익을 달성한다. 반도체업황 개선과함께고부가제품­인고대역폭메모리(HBM) 효과가 실적을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SK하이닉스는 HBM3(4세대)을 엔비디아에 사실상 독점공급하면서 HBM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다.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올해HBM 시장 점유율 52.5%를 차지할 전망이다. 전년보다 5.0%p 상승한 수치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4분기 고부가 D램인 DDR5와 HBM3 매출이전년동기대비각­각 4배, 5배이상 늘었다.

삼성전자도 차세대 HBM인 HBM3E를 통해 엔비디아 공략에 나설 전망이다. 앞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미국 새너제이에서 열린연례개발자 콘퍼런스 ‘GTC 2024’의삼성전자 부스를 찾아 HBM3E에 친필로 ‘젠슨 승인(JENSEN APPROVED)’이라는글을남겨화제가­되기도했다.

 ?? [사진=한진만 삼성전자 부사장 SNS 갈무리] ?? 젠슨 황 CEO가 삼성 HBM3E에 남긴 사인
[사진=한진만 삼성전자 부사장 SNS 갈무리] 젠슨 황 CEO가 삼성 HBM3E에 남긴 사인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