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네카오,1분기호실적전망…“연말까지이어질듯”

나란히두자릿수성장예­고광고·커머스에AI역량강화

- 한영훈기자han@

국내 양대 인터넷 기업인 네이버와카카오가올해­1분기나란히좋은성적­을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광고와 커머스(상거래) 등 주력 사업 분야의 성장이꾸준히이뤄진 덕분이다. 올 연말까진이러한분위기­가이어질가능성이크다. 여기에 인공지능(AI) 역량까지더해더욱탄탄­한중장기적경쟁력을 확보해가겠다는목표다.

16일투자정보업체F­N가이드에따르면, 주요 증권사가 집계한 네이버의1분기실적전­망치는매출 2조4957억원, 영업이익 3898억원이다. 전년동기보다 각각 9.4%, 17.9%씩 증가한수준이다.

주력 사업인 서치플랫폼(광고) 부문이 호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광고업황의부진에­도 검색광고(SA)매출이 성장했고, 작년 11월 네이버애플리케이션(앱) 개편으로 디스플레이광고(DA) 매출도 전 분기보다 소폭 반등했을 가능성이 크다. 커머스 부문 역시브랜드패키지 등 신규 솔루션 판매에따른 본격적인 수익 창출이 예상된다.최근국내시장을적극적­으로두드리고있는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 직구 플랫폼의 영향력도 아직까진 크지않은것으로파악된­다.

작년부터 실시해 온 비용 통제도 효율적으로 이어졌다. NH투자증권은 인건비와 마케팅 비용이 작년보다 각각4.7%, 4.1%씩 늘며안정적수준에서유­지될것으로 봤다.자회사인네이버제트실­적이연결편입대상에서­제외된것도긍정 요인이다. 네이버제트는 재작년영업손실726­억원을 기록했다.

카카오는 지난 1분기 매출 2조289억원, 영업이익 1332억원을 기록했을것으로 추정된다. 각각 전년 동기보다16.6%, 87.3%씩늘어난수치다.

카카오 역시 광고와 커머스 부분이호재다. 증권가에서는 톡비즈(광고) 부문 중 비즈보드(카카오톡 최상단 노출광고) 매출이 부진했지만, 마진율이높은 메시지광고는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커머스 분야에서카카오톡선물­하기도순조로운성장이­이어졌다.

다만 주요 사업의회계처리가 방식이바뀐 건 변수다. 카카오모빌리티의 기존 총매출이 순매출 인식으로 변경됐고, 선물하기 매출 발생도 결제 시점에서 사용 시점으로 조정됐다. 기존보다영업권손상 처리방법역시보수적으­로바뀌었다.

양사의 실적훈풍은 올 연말까지이어질가능성­이크다. 네이버와카카오의연간 매출 추정치는 각각 10조6431억원, 8조7182억원으로 집계됐다. 모두이전 최고 실적을 넘어서는 수치다. 연간영업이익역시 1조7121억원, 6685억원으로개선­을예고하고있다.

네이버 실적에는 2분기부터 개인 방송 플랫폼인 ‘치지직’ 매출도 반영될 전망이다. 치지직은 내달 9일 정식오픈을앞두고 있다. NH투자증권은 치지직트래픽이 지금처럼양호하게성장­한다면연간 1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창출할수있을것으로봤­다.

양사는 AI 경쟁력 확보에 집중해 한단계 더높은 도약을 노린다. 네이버는광고와 검색에 AI를 도입해 다른 인터넷광고 대비상품추천효율성을 높였다. 9년 만에 사내독립기업(CIC) 제도를폐지한 뒤, 조직을 12개로 세분화해 AI를전영역에 도입했다. AI 관련투자도꾸준히늘리­고 있다. 최근 5년간 AI에 1조원가량을투자했다.

카카오는 AI 전문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을 본사 조직으로 흡수·합병하는방안을검토 중이다. 자체생성형 AI 모델인 ‘코GPT’ 개발 조직을본사에흡수하는 동시에, 다양한방안을중첩해 AI서비스로실질적수­익을 창출하기위한포석이다. 1분기 실적 발표를 기점으로전사 지침이 발표될 거란 관측이 나온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