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강달러공포에‘한·미통화스와프’목소리…득보다실클수도

달러유출미국물가에‘악영향’통화스와프조건갖춰지­지않아

- 장선아기자sunri­se@

최근 강(强)달러 위세에 원·달러 환율이급등하며외환시­장 변동성이확대되자 미국과의 통화스와프 체결이필요하다는주장­이곳곳에서터져나온다.

다만 현실화 가능성에는 의문 부호가 찍힌다. 인플레이션과의전쟁을 치르고 있는 미국이 달러 유동성 확대요인인 통화스와프에 응할 가능성이낮기때문이다. 통화스와프에목을맬수­록 우리외환시장의 불안정성에대한 우려만 키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달러강세에고개드는‘한·미 스와프’체결론

18일 외환당국에 따르면 한·미·일재무장관은 17일(현지시간) 미국에서회의를 열고 달러 대비 원화와 엔화가치가급락하고있­는데대한우려를담은공­동선언문을내놨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지연과 이란·이스라엘 충돌등 중동 정세불안에달러가치가 크게오르며우리나라와­일본 외환당국이환율방어에­애를먹는상황이다.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가 구두 개입에나선데이어 원·달러 환율 1400원선이뚫리는­걸막기위한실제개입과­정에서외환보유액일부­가소진되자미국과의통­화스와프 체결 요구가 비등하고있다.

한·미통화스와프는우리나­라원화를미국중앙은행­에맡기고양국이미리 정한 환율에 따라 달러화를 가져오는걸의미한다.외환시장불안을사전에­막는일종의안전판이다.양국간통화스와프는 2021년 종료된후다시체결되지­않았다.

과거 한국과 미국은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당시와 2020년 코로나19팬데믹 시기 등 총 두 차례통화스와프협약을 맺었다. 효과는 즉각적이었다. 2008년 10월 말 달러당 1427원까지치솟았­던환율은통화스와프체­결후 하루 만에 1250원으로 급락했다. 2020년에도 통화스와프 체결 소식이전해지자 원·달러 환율이 전일 종가대비 39.2원 하락한바 있다.

◆美 응할 가능성 낮아, 외환시장신인도악화우­려도

지난달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소비지표모두시장 전망치를상회하는등경­제지표가견조해기준금­리인하기대가점점옅어­지는형국이다.

현재의달러강세는 수입물가 하락요인이라 물가 잡기에혈안이된미국이­통화스와프에응할가능­성은 낮다.한국에 달러화를 내주는 게 유동성확대요인이라 물가에악영향을 미칠수있기때문이다.

다른나라는제쳐두고우­리나라와만통화스와프­협약을 맺기도 어렵다.미국은외환시장이24­시간 100% 개방상태인 기축통화와만 스와프를 체결한다.한국은해당하지않는다.

김정식연세대경제학과­교수는“역대한·미통화스와프는한국에­만특혜를 준 게아니라 글로벌 금융 리스크완화를위해여러­국가와동시에체결한것”이라며“이번에도한국에만혜택­을줄가능성은낮다”고설명했다.

혹여체결되더라도 득보다 실이클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일시적인환율 안정 효과는 기대되나 통화스와프가 필요할 정도로 국내외환시장이불안하­다는신호로읽힐수도있­는탓이다.

일각에서는 미국 대신일본과의통화스와­프규모를늘리자는주장­도내놓는다. 지난 3일 기준 우리나라의외환보유액­은 4192억 달러다. 김교수는“환율 방어를 위해 달러를 소진하다보유액이 3000억 달러대로 떨어지면외환시장에불­안감이조성될 것”이라며“일본과의통화스와프규­모를늘리면상황이일부 개선될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한은 관계자는 “통화스와프가필요한상­황은글로벌금융위기가 도래해달러유동성이부­족해진 때”라며 “지금으로선 통화스와프체결조건이­갖춰지지않았다”고 선을그었다.

체결직후환율급락효과­크지만국내외환시장불­안신호될수도

 ?? [로이터·연합뉴스] ??
[로이터·연합뉴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