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4년임기반바퀴돈이창­용…최대과제는‘기준금리인하시점’

이슈메이커로한은쇄신­앞장신3고위기속과감­한소통행보매파퇴임등­금통위구조변화‘금리인상’딜레마극복시험대

- 서민지기자vitam­inji@

이창용한국은행총재가 21일을 기점으로임기중 절반을 소화했다. 반환점을돈그앞에펼쳐­진건고환율·고물가·고금리등 ‘신(新)3고’로 불리는 지뢰밭이다.

이총재의임기전반은 전례없는 수준으로기준금리를끌­어올리며숨가쁘게 흘렀다. 레고랜드 사태와 새마을금고 뱅크런 등 위기에도 성공적으로 대처했다는평가를받는­다.

임기 후반기 최대 화두는 금리인하를 위한 피벗(통화정책 전환)인데 대내외여건이녹록지않­아 고심이 깊다. 잠재성장률의 추세적 하락을 막기 위한구조개혁방안 마련 등 난제도 수두룩하다.

이날임기2주년을맞은­이총재는국제통화기금(IMF) 춘계총회참석차방미 중이다. 원·달러 환율이심리적마지노선­인 1400원을 넘나드는위기상황이지­만외신인터뷰를통해적­극적인개입의지를 피력하는 등 시장 안정에 총력을기울이고있다.

◆‘소통왕’ ‘창드래곤’… 한은사 꼬리표떼고소통강화

절간처럼조용하고 존재감

이옅어 ‘한은사(寺)’라는 별칭으로 불리던 중앙은행은

이총재취임후 2년간 분위

기반전에 성공했다. 모호함을 미덕으로 여기던 이전 총재와 달리직설적인 화법으로 시장

과 적극 소통하려는노력이주효­했다.중앙은행 수장의 거침 없는 행보에누리꾼들도‘소통왕’ ‘창드래곤(dragon)’등애칭으로호응했다.

실질적 변화도 엿보인다. 3개월 후금리정책 전망을 공개하는 ‘포워드 가이던스’ 도입이 대표적이다. 지난 20일임기를 마친 서영경·조윤제 금융통화위원은포워드­가이던스가시장기대심­리 안정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논쟁적인 현안에도 주저 없이 목소리를 낸다.지난 금융통화위원회기자간­담회에서는농산물물가­상승을 통화·재정정책으로 해결할게 아니라 수입 확대를 검토할필요가 있다는 ‘불편한진실’을 공개적으로언급하기도 했다.한은 역시 전보다 과감한 의견 개진에 나서는 모습이다.지난달‘돌봄 서비스’관련외국인노동자에 대한 최저임금 차등 적용 필요성을담은보고서가­상징적사례다.

한은 직원들도 이 총재의 ‘이슈 메이킹’이싫지않은 눈치다. 한직원은“묻히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보고서들이이슈화되고 있다”며 “한은 콘텐츠가‘잘 팔릴수 있게’ 이끌어준데대해높이평­가한다”고말했다.

하버드대에서박사 학위를 취득하고아시아개발은­행(ADB)·IMF 등 국제기구에서근무하며­쌓은글로벌네트워크가­한은위상 강화에도움이된다는평­가도 나온다. 세계적 석학과 어깨를 견주며 토론을 하거나 주요 국제회의 등에 참여해 목소리를 내면서다. 이번 출장에서도크리슈나 스리니바산 IMF 아시아태평양국장과한­국통화정책을놓고 유창한 영어 실력을 바탕으로 대담을진행했다. ◆피벗 시점 고심 중… 구조개혁 등중장기과제까지

취임후역사상가장빠른­속도로금리인상을 단행하며 물가·환율 안정을위해달려온이총­재는임기후반기에도풀­어야할과제가산적해있­다.

당장 잔뜩 끌어올린 금리를 언제부터내려야할지를­놓고고심을거듭하고있­다. 현재 기준금리(3.5%)를 10회 연속유지하면서 한·미 금리격차는 역대최대수준인 2%포인트로 벌어졌다. 외화유출가능성을고려­하면미국보다먼저금리­인하에나서기는쉽지않­다.

그렇다고 금리 인하를 마냥 늦추기도 어렵다. 하반기중 금리를 낮추기시작하더라도역­대급고금리가최장기간­지속되는 셈이어서금융비용에짓­눌린가계와 기업이한계상황으로내­몰리고있기때문이다.

임기후반기를함께할금­통위구성에도 변화가 생겼다. 대표적매파인조위원과­서위원이퇴임하고비둘­기파로분류되는이수형­서울대국제대학원교수­와 김종화 부산국제금융진흥원장­이발탁됐다. 한국 경제의지속 가능성을 높이기위한 중장기적해법마련도 이총재에게 맡겨진 임무다. 그는 지난 3월“이미낮게매달린과일은­없고높게매달린과일을­수확하기위해서는어려­움이 수반된 구조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에발맞춰한은 경제연구원은오는 5월 입시제도, 하반기엔기후변화 관련 연구 결과를 내놓으며 새화두를던질계획이다.

이 총재는 앞으로도 적극적 소통을기반으로문제를­해결해나갈방침이다.이르면오는 8월 분기별경제전망치(성장률·소비자물가·경상수지·고용지표등)를 발표한다. 단순수치제공을넘어향­후 경기·물가 경로에대한 혜안을 제시한다는 복안이다..

 ?? ?? 이창용한국은행총재
이창용한국은행총재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