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문과자격증과의사자격­증‘뭐가그렇게다르냐’

- 서정목대구가톨릭대학­교영어학과교수

문과 8대 전문직 자격증으로 보통 변호사,변리사, 회계사, 감평사, 세무사, 법무사, 관세사,그리고 노무사를 꼽는다. 매년이들 자격시험의선발인원은­꾸준히증가해왔다.이중에서파격적으로 선발 인원이 증가한 것은 필자가알기로는 변호사, 공인회계사와 세무사 시험정도다.

자격증은 국가나 민간 단체에서해당 분야에서 지정한 과목의 시험을 치르고 합격하면주어진다. 자격증이주는 최대의 장점은 이론상퇴직이없고호흡­이다하는날까지그 ‘업’을할 수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말하는 ‘직업’이라는단어의‘직’은 직위내지자리이고 ‘업’은그일을가리킨다.그래서‘직’은 바뀌어도업은계속할수 있다. 자격증은그자체가일종­의진입장벽이되어아무­나 그 시장에진입할 수없는 독점적인자격을 부여한다. 선발인원증가에따라 밥그릇이줄어드는 것은각자가 부담해야 한다. 그래서다들인간인지라 누구든어떤 자격증이든지본인이일­단 그 자격을 따고나면그 시험으로오르는 사다리를 치워버리고 싶은마음이드는 것이다. 한마디로 자기밥그릇에들이대는­숟가락을줄이는거다.

요즘 사회가 피폐해지니언어도 다소 과격해지고 강조를 위해서 파격적인 단어를 사용한다. 그래서나온 말이 ‘취업 깡패’라는 말이있는데, 문과 8대 자격증 중에서 과거에는 사법고시, 요즘에는 변호사시험이‘자격증 깡패’라고하고 싶다. 이시험에합격하면당연­변호사자격이주어지고­검사도될수있고판사도­될수 있다. 사법시험선발 인원이 1980년대에300­여 명에서 2000년에 접어들면서 1000명을넘었다가­로스쿨체제로전환되면­서2023년에는 1700명대에 이르렀다. 2000년 벽두에사법시험 합격자 1000명 시대가 도래했다고 떠들썩했다. 이때 법조계는 사법시험 선발 인원을줄여야한다는목­소리가 컸다. 주된이유는과잉공급으­로인하여법률서비스의­질이떨어지고, 불필요한 소송 분쟁을 유도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이에대한일반국­민들의입장은변호사 공급을 축소해독과점을 유지하려는 법조계의 ‘밥그릇 지키기’라는 것이었다. 그로부터 20여 년이지난 지금 국민들은 법률서비스를쉽게이용­할수있게되었다. 또한법조인은몸값이 낮아지고, 사내변호사로 취업도 많이한다. 어쨌든 일반 국민들이변호사 사무소의사무장만보다­가변호사를직접볼일이­많아진것은사실이다.

회계사도 IMF 이후 재무회계, 기업감사, 신용평가등그업무가폭­증함에따라선발인원을 1000여명으로늘렸­고20여년이지난지금­까지얼추 유지되고 있다. 세무사도 2000년대이후 1000명에는 못 미치지만 이에근사할 정도이다. 세무기장료가 20년 전과같다고세무사업계­는 아우성이다. 그러나 과거와 같이공무원들에게 시험과목 면제 혜택까지 주면서수십명에불과한 소수의세무사를 선발했다면세무기장료­가지금과같을까?그러니국민들은 낮아진문턱으로 자신에게맞는 변호사,세무사사무실문을두드­리면 된다. 과거에사법고시와공인­회계사를제외한전문자­격증은관련 분야의 경력직 공무원들에게 1차 과목면제와 시험과목축소등특혜를 주었다. 검찰직 출신에게는 법무사, 세무직 출신에게는 세무사, 관세직출신에게는 관세사 등 혜택과 전관예우가 주어지다가이러한 특혜가없어지거나축소­되어일반인들이이들시­험에합격하기가 비교적수월해졌다. 그몫이일반 수험생들에게 돌아가도록 한 것이다. 민주화의영향이다. 참잘된일이다. 시험의공정성을위하여­정정당당하게 시험으로 승부를 보라는 것이다.이역시특혜를없애는일­이다.

과거 사법고시와 군법무관 시험이 공존하던 시절에 군법무관 시험에 합격하고 군대에서 10년을 근무하면변호사 자격증을 주었다. 10년이라는 근무조건이있어도변호­사가되기를 원하면 그렇게 했다. 공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조종사가 되면 군 복무기간이 15년이다.그리고 나서 민항기 조종사가 되기를 원하면그렇게하면 된다. 지방대의대인원증원도­이런맥락에서이해하면­좋을듯하다. 의·정합의를 거쳐정부의행정거버넌­스를 구현하되운영의묘를 살려정부의정책도 실현하면서그취지에 맞게 자신의 꿈과 이상을 실현하려는의대지원자­로 채우면 서로 상생하는 길이아닐까 한다. 국내인구 고령화와 의사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위한 의대정원증원은 합목적적인 정책이다. 지방 의료 붕괴상황을 해결하려는 취지에서의대증원인원­인 2000명 중에80%를 지방대에,나머지20%를 수도권에배정하기로하­였다고 한다. 이에대해서는아직 ‘설’이분분하다.그러나지방소멸시대에­의료자원 부족으로 힘든 지역의료를 생각한다면 반드시필요한 조치라고 생각한다. 지방 의대를졸업하고 지방에서 특정 기간을 근무하도록하여부족한 지방 의료의공백을 채우는 것이다. 그특정기간이얼마가 될는지는모르겠지만본­인이원하면지원해서근­무하면된다.

다양한 전문 직종의자격증 선발인원이확대되면 국민들의 편익과 서비스는 늘어난다.이러한 자격증 진화의 배경은 민주화와 국민의복리 증진이다. 결코 자격증소지자들의배를­불리기위한수단은 아니다. 문과 자격증들은파격적이든­아니면파격에는미치지­못했을지라도 선발인원만큼은 줄줄이늘려왔다. 과연의대증원을 반대하는 명분이진정밥그릇을 지키고자 함인지, 국민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위한 것인지 묻고 싶다. 문과 자격증과 의사 자격증이같으냐고반문­할수도 있다. 의사는 생명을 다루는 의술이라서다르다고 주장할 수도있을 것이다. 몇년전방영된의학 드라마 ‘라이프’에서 조승우가한대사가자꾸­만유튜브에뜬다. 대학병원사장역을맡은­조승우가지방의료활성­화를위해몇몇과를지방­으로 옮기려하는데이에의사­들이 반대한다.조승우는 “의사면서 왜안 가느냐. 일반 회사였다면지방으로벌­써옮겨살집구하고있을­것”이라고 하자 이에 의사는 “우리가 일반 회사원하고 같으냐”고 반발한다. 그러자 조승우는 “그러면 뭐가 그렇게 다르냐”고 하면서 ‘핵사이다’ 발언을 날린다. 별 볼일 없는 사람이많아지는세상이­바로살기좋은 세상,진정민주화가아닐까 한다. 2000년대 우학이라는법명을가진­스님이쓴책이름이떠오­른다. ‘저거는맨날고기묵고!’

자격증은그자체가진입­장벽…본인이따고나면사다리­치우고싶은게인지상정­전문직종선발인원늘면­국민복리증진도움…변호사등‘문과8대자격증’확대의대증원반대명분­이뭔지… “우리가회사원과같냐”던드라마속대사되새겨­야

필자주요이력

▷부산대번역학박사▷미국 University of Dayton School of Law졸업▷대구가톨릭대학교영어­학과교수

 ?? ??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