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환율1400원과‘에브리싱랠리’시즌2

- 민재용

஦᫚⢢w⚲ဲ

최근 자산 가격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한동안 바닥을 기던 비트코인 가격이최근 1억원을 터치하더니,아래로방향을꺾은것으­로보였던서울주요지역­아파트가격도다시고점­을 향해 치닫고 있다. 중동발 정세 불안으로최근상승세가­주춤하긴하지만코스피­지수 역시 지난달 26일 2022년 4월 이후 가장높은 2757을 찍기도 했다. 적어도 자산 가격수준으로만 본다면 유동성이역대급으로 풀렸던코로나19시기­와비슷한상황이다.

하지만경제속사정은그­때와사뭇 다르다.당시에는경기침체가올­까두려워미국을비롯해­세계주요국중앙은행이­기준금리를 ‘제로(0)’ 수준으로 낮췄지만 지금은 고물가를잡기 위해 발 빠르게 기준금리를 올린 상황이다. 미국은 2022년 3월부터지난해5월까­지불과 1년여만에금리를 5.25%포인트 올리는초고속긴축에나­섰다.한국은행역시코로나위­기가 지난 뒤 1년 3개월 만에 기준금리를2.75%포인트 올렸다.

사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힘을잃어갈­때많은 경제 전문가들은 자산 가격급락을 경고했다. 풀린 돈의 위력으로 물가가 크게 치솟은 만큼 이제각국이돈줄 조이기(긴축)에나설것이불보듯뻔했­기때문이다.

하지만전문가들이예상­한자산가격대폭락 현상은 일어나지 않았다. 물론 긴축이 시작된이후 증시, 부동산, 코인등 가격이조정을받기는했­지만폭락이라고하기어­려운수준이었다. 오히려지난달미국 S&P500지수가역대최­고치를기록하는등자산­시장랠리는다시시작된­듯하다.

이런분위기를반영하듯‘이정도고금리는버틸 수 있다’는 자신감도 미국 내에점차 확산하고 있다. 실제 주요 지표로 드러난 미국경제상황은 탄탄하다. 고용시장열기는좀처럼 식지 않고 있으며 높은 물가에도 미국의소비는위축되지­않고 있다. 미국경제가소프트랜딩(연착륙)을 하지 않고 아예 노랜딩(무착륙)으로 다시고공행진을이어갈­것이라는전망을내놓는­전문가들이늘고있는이­유다.

하지만 이는 세계 최대 경제 대국이자 전세계 돈이 몰리는(금융 중심지) 미국이니 가능한 얘기다. ‘미국이 기침을 하면독감에걸린다’는 한국으로서는 현재의고금리에자산가­격이다시상승하는것을­경계할필요가있다. 미국과 달리(미국도 가능할지 모르겠지만) 고물가와 고금리를 버틸 수 있는 기초체력이부족하다는­뜻이다.

커지고 있는 중동발 전쟁 위협은 미국과그 외 나라들이 처한 사정을 여실히 보여줬다. 글로벌 정세 불안에안전 자산인 달러를찾는 수요가 높아지자 다른 나라들 화폐가치는 급락했다. 원화 역시2년여만에달러당­1400원을 넘어서며 주요국 통화 중 가장 약한 모습을 보였다. 최근 코스피하락 폭이뉴욕증시보다큰것­역시우리경제의기초체­력이탄탄하지않다는것­으로잘 보여준다.

우리경제는고금리상황­이더지속되면버티기 어려운 여러 문제를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다. 이달 초 나온 씨티은행 보고서에 따르면국내부동산 PF의 위험노출(익스포저) 규모는 202조6000억원­으로 국내총생산(GDP)대비약 9%에 달했다. 이중 부실 PF는 전체중 55%인 110조7000억원 규모로 이는 GDP대비약 5%수준을 차지했다.금융당국은 PF문제가큰위기로번­지지않을것으로전망하­고있지만이는미국이당­초예상대로빠르게금리­를내릴때기대가능한시­나리오다.

코로나19 시기 자산 가격이 급등했을 때이는‘풍부한유동성때문’이라며경계하는모습이­라도 있었다. 하지만 최근 사회분위기는다시 찾아온 자산 가격 상승기에 근거 없는자신감이확산하는 모습이라 우려스럽다. 빚을 내코인을 사고, 또다시영끌해서울 아파트를사려는사람들­이늘고있다는것이이를­방증한다. 미국이자신감을 바탕으로 노랜딩에 나서고, 중동 정세가 악화돼 글로벌 물가는 오르고 원화 가치는 급락한다면 우리 경제는 큰 충격에 빠질 수밖에 없다. 예상보다일찍찾아온 에브리싱랠리 시즌2를 마냥 반길수만은없는이유다.

고물가·고금리버틸기초체력부­족한데자산가격상승기­근거없는자신감확산또­다시영끌투자…원화가치급락땐충격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