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외자’가이끄는베트남경제…국내기업경쟁력높여야

-

베트남 경제성장에대한 세계의관심은 여전히 높다. 베트남은전세계적코로­나바이러스유행시기에­도 마이너스 성장을 하지않았고, 코로나 바이러스가 수그러진직후 2022년에 8% GDP 성장률을 나타내 저력을 보이는듯했다. 그러나 곧 2023년에 5% 성장에머물고 말았다. 분석가들은 베트남의저성장 원인을 세계경제의전반적쇠퇴­라는 외부 요인에두었다. 내부적으로 베트남 경제자체의취약성에 주목하기도 한다. 베트남인들은 베트남경제를 어떻게 평가할까? 최근에 발간된 <베트남과 세계경제 2023, 2024>와 <통계연감>을 참고하여, 경제현황을이해하고향­후전개방향을가늠해보­자.

작년외국인직접투자 367억달러

베트남의 2023년 GDP 성장률은 5.05%에그쳐예상치 6.5~7%보다 현저히낮은 실적이었다. 이는코로나바이러스확­산에영향을받은 2020년 2.9%, 2021년 2.6%를 예외로 한다면개혁정책을 채택한이래 30년간 가장낮은편에 속하는 실적이었다. 단지, 2023년 GDP성장률이1분기 3.28%로부터 2분기 4.05%, 3분기 5.33%, 4분기 6.72%로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은 2024년의 전망을 밝게 했다. 산업부문별로는 농림수산업부문 성장률이 3.83%로지난 4년 연속 증가세를 보였고, 서비스부문성장률은 6.82%로 비교적높은 성과였다. 공업-건설부문의성장률은연­간 3.74%로, 1분기–0.6%로부터 2분기 2.1%, 3분기 5.19%, 4분기6.46%로 점차 증가했다. 공업-건설부문의 저조는주로국내외총수­요감소와수출감소로인­한 결과였다. 공업부문에서 2023년에 특히감소율이높았던분­야와그 비율은, 수산식품–12.3%, 휴대전화 –9.9%, 철강 –8.9%, 시멘트 –4.5%, 가죽제품–4.1% 등이었다. 2024년에는베트남­이GDP 성장률목표를 6~6.5%로정했는데, 1분기에 5.66% 실적을냈다.

1인당 GDP는 2023년에 4284달러에 이르렀고, 이는 구매력평가지수(PPP)로 환산하면 1만3852달러로 추산된다. 정부는 2024년 목표를 4700달러와 4730달러 사이로 잡았다.공산당은 2021년 초 제13차 공산당대회에서1인당­GDP를 2025년까지 5000달러로 증가시키겠다는목표를 세웠는데, 지금추세로는이목표에­약간미치지못할듯하다.

누계로는한국이여전히­1위

2023년 베트남의상품 수출액과 수입액은전년에비해각­각 4.4%와 8.9% 감소한 3555억달러와 3275억 달러였다. 국가별교역순위는중국, 미국, 한국으로 이어진다. 교역에서코로나 바이러스 이전의흑자폭을 훨씬 상회하는283억 달러의 경상수지흑자를 냈다. 베트남은 미국과의교역에서가장 많은약 832억 달러흑자를 냈고, 이어서 네덜란드(약 96억 달러), 홍콩(80억 달러)등으로부터흑자를 냈다.그러나 베트남의교역흑자는 주로 외국인투자기업의수출­로인한 것이다. 외국인투자기업이베트­남 전체수출의 70% 정도를 담당한다는것은잘알려­져있다. 2023년에도 외국인투자기업은 베트남 수출의 73%를 담당했다. 특히 외국인투자기업이 90% 이상 수출을 담당하는품목으로 전화 및관련제품 (99.7%), 컴퓨터 (98.3%), 전선 (93.8%), 기계 (93%) 등이있다. 외국인투자기업은 개발도상국형 수출품에서도 많은 비중을 점유하고 있다. 예컨대2023년에 섬유 직물 및 가죽 관련 제품 수출의 60%, 목제품,가죽제품수출의46%를 담당했다. 이처럼베트남 국내기업에게수출은가­장 취약한 분야 중 하나다. 2023년 베트남에대한 외국인직접투자는 전년 대비 32% 증가한 366.6억 달러를 기록해 2019년 수준을 회복했다. 이해에 싱가포르, 일본, 홍콩등 국가가 많이 투자했으나, 누계로는 한국이여전히1위에있­다.

산업부문별구성의변화­를 보면, 전체경제중농림수산업­의비중은 2010년 15.4%로부터2023년 12.0%로 감소했다. 같은 시기에 공업건설부문의비중은 33.0%로부터 37.1%로 증가했다. 서비스부문 비중은 40.6%에서 42.5%로 증가했다. 베트남도 산업구조에서 경제성장에따라 공업과 서비스부문 비중이증가하는개발도­상국의일반적경향을보­인다.

한편, 베트남이 사회주의 국가이기에 소유부문별 비중의 변화는 중요하다. 2015년과2021­년의 경우를 들면, 전체경제중국유경제의­비중은 22.8%로부터 21.2%로 감소했으나,국내민간경제부문 비중은 50.6%에서 50.0%로 유사했고,외국인투자부문비중은 17.5%로부터 20.0%로 증가했다. 이는 베트남에서국유경제부­문의지속적감소와외국­인투자부문의지속적증­가추세를 보여준다.이제전체경제에서차지­하는두부문의비중은각­각 21%, 20%로 비슷한 지점에 이르렀다. 베트남 공산당과 정부가 외자 의존적경제성장에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인투자가 베트남의경제성장에크­게기여하는 현실을거부할수없는 상황이다. 흔히지적하듯이베트남­경제는외자의존적성향­이강하다.외국인투자 기업이 수출의 70%를 차지하는현실만을 들어도 그렇다. 베트남은 이러한 성장전략을 앞으로도 유지할 것인가 주목해봐야 한다.

전체 경제 중 소유부문별 비중의 변화는사회주의 체제변화에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그것은 전체 경제에서 국유경제부문의 위상에관련되기 때문이다. 기업수에서국유부문비­중은 2010년에 1.2%를 차지했으나 2021년에 0.3%로 감소했으며,같은기간에국내민간부­문비중은 96.2%에서 96.6%로 소폭증가했고, 외국인투자부문의비중­은 2.6%에서 3.2%로 증가했다. 노동자고용비중에서는­같은기간에국유부문이­전체의 10.2%로부터 8.1%로대폭 감소했는데, 국내민간부문은 86.3%에서82.6%로 약간 감소했으나, 외국인투자부문은3.5%로부터 9.3%로 대폭 증가했다. 운전자본의비중에서는 같은 기간에국유부문이전체­의 34.2%에서 20.9%로 대폭 감소했으나, 국내민간부문은 50.3%에서 59.3%로 증가했고, 외국인투자부문은 15.6%로부터 19.8%로 증가했다.

기업 수, 고용 노동자 수, 운전자본의비중에서 보면, 국유경제부문의전체경­제에서차지하는 위상은 크게 하락했다. 이에 반해 국내민간경제부문은 운전 자본의증가세를 보였고,외국인투자부문은기업 수, 노동자 고용,운전자본모두에서증가­세를 보였다. 이제베트남국유부문은­외국인투자부문보다노­동자고용비중에서약간 적고운전자본비중에서­약간 많은 수준에 있다. 이로써두 부문이전체경제에서비­슷한위상에처하게됐다.

2022년 기준 지역총생산(GRDP)은 호찌민시가 가장 많았고, 하노이, 빈즈엉, 동나이, 바리아-붕따우 등이뒤를 이었다. 2022년 1인당지역총생산은 바리아-붕따우가 3억3550만동(1만4420달러)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꽝닌1억988­0만동(8545달러), 하이퐁 1억7390만동(7474달러), 빈즈엉 1억6490만동(7088달러), 박닌 1억6380만동(7040달러), 호찌민시 1억5750만동(6770달러), 하노이 1억4190만동(6099달러) 순이었다. 참고로 2022년 전국 평균 1인당 GDP는 9560만동(4124달러)이었다. 반면에상대적으로덜발­전된지역의1인당 지역총생산은북부산악­지대의하장 3350만동(1440달러), 까오방 3960만동(1702달러), 디엔비엔3970만동(1706달러) 등이었다.

‘GDP 35위’베트남,도약기로에

외국인투자기업베트남­수출의70%코로나시기에도마이너­스성장않고2022년­8%성장저력보이던베트남

베트남은이제 GDP 규모로세계35위국가­가 됐다.이미많이투자한동아시­아기업들외에도 미국을 비롯한 세계유수의기업들이베­트남투자에관심을보이­고 있다. 베트남은경제성장을위­하여국내외민간기업들­과 협력하지않을 수 없게 됐다.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국유경제부문이 경제에서 주도적위상을 이미상실했기 때문이다. 베트남에당면한 과제는 외국인투자 기업의 국내 기업과의연계성을높이­고노동생산성을증가시­켜세계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갖추는것이다. 이로써베트남은외국인­직접투자에의존한 경제성장을 국내기업의성장에의한 경제성장으로 전환할방안을찾아야하­는과제를안고있다.

글로벌부진등지난해5%에머물러외국인직접투­자에의존한경제성장을­국내기업으로전환할방­안찾을때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