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협치하겠단말무색하게…영수회담,시작전부터‘먹구름’

민주쟁점법안밀어붙이­기예고…날짜·형식·의제등결론못내

- 박찬제기자pcjay@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첫 영수회담이 시작하기도전부터파열­음을내고있다.대통령실과민주당 실무진은 준비 단계부터 입장차이만 확인했다. 또민주당의‘쟁점 법안 5월 드라이브’에협치분위기도가라앉­는기류다.

당초 이번 주 예상됐던 영수회담은다음주로 밀리는 분위기며개최되더라도 ‘맹탕회담’에 그칠수있다는 우려가나온다. 자칫 영수회담이 불발되는 것아니냐는 조심스러운 전망도 있다. 또민주당 몫인 차기 국회의장과 민주당원내대표역시강­성으로분류되는인물들­이출사표를 던져 22대 국회는 더심각한‘강대강대치구도’가 우려된다.

24일 정치권에따르면대통령­실과민주당은영수회담­을위한밑작업에한창이­다. 대통령실에선홍철호신­임정무수석과 차순오 정무비서관이 나섰고, 민주당에선천준호당대­표비서실장과권혁기정­무기획실장이참여했다.

양측은 민생 정책과 주요 국정 현안을 모두 논의한다는 원칙적 합의는 이뤘으나 회담 날짜와 형식, 구체적인 의제등은아직결론을내­지못했다. 25일2차 실무 회동을 통해 보다 진전된 내용을 토론할 예정이다. 이제 겨우 영수회담 밑그림만 그리고 있지만, 정치권에선 두 사람의만남이어그러질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장애물이워낙 많은까닭이다. 윤 대통령이‘의제 제한 없이이대표의 이야기를 많이 듣겠다’는 공식입장을 밝혔지만, 민주당은 실무회동에서대통령실­이수용하기쉽지않은이­슈들을상당수내세운것­으로알려졌다.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 기조 전환은물론, 당론으로밀고있는 ‘민생회복긴급 조치’를 제안했다고 한다. 또 ‘이태원참사 특별법’과 ‘해병대 채상병 사망사건외압의혹 특검(특별검사)법’ 수용등도요구한것으로 전해진다. 그간윤대통령의 거부권(재의요구권) 행사에 대한 ‘윤 대통령의대국민 사과’도 요구했다는후문이다.

여기에 거대 의석을 앞세운 민주당이이제임기가끝­나가는21대국회에서­쟁점법안 강행 처리에나선 것도 장애물로 꼽힌다. 야권은 민주당 주도로 지난 23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가맹사업거래공정화법 개정안과 민주유공자예우법제정­안을 국회본회의에직회부했­다. 국민의힘은간사인강민­국의원이홀로 참석해 직회부 반대 의견만 내고퇴장했다.

국민의힘은 다음 날 논평에서 “쟁점법안을 본회의에 직회부하는 데 대해다수 의석을 앞세워 밀린 숙제하듯 졸속으로 처리하고 있다”며 “여야 이견이큰 법안을 합의 없이 밀어붙이는 독단적행태를보이고있­다”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앞서 지난 18일에도 여당의원 불참 상태에서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전체회­의를 열고양곡관리법 개정안 등을 국회 본회의에 직회부했다. 이번 개정안은 지난해 윤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거부권을 행사해폐기된양곡관리­법개정안내용을일부수­정한대안으로, ‘제2 양곡관리법’이다.

당내 강성으로 분류되는 인물들이차기국회의장­과 원내대표 자리를 노리는 점도 불안 요소다. 국회의장 자리는이른바 ‘친명(친이재명) 좌장’으로 불리는 5선 정성호 의원과 6선인 조정식전사무총장, 추미애전법무부 장관 등이노리고 있다. 이들 셋 모두 국회법에규정된‘국회의장의중립성’보다이재명대표와의호­흡 및 여권 견제필요성에목소리를­높이는중이다.

원내대표 역시 강성 친명 박찬대 의원이 유력하다. 그는 원내대표 후보군중가장먼저출마­선언을 했고, 이후김성환·서영교·김민석·한병도 의원 등 주요 후보군은 줄줄이 출마를 포기했다. 박 의원은 지난 21일 “이 대표와 강력한 투톱 체제로 개혁·민생 국회를 만들겠다”고포부를밝혔다.

이러한민주당의상황을­두고국민의힘의한 재선의원은 “국회에서입법독재를 하면서 영수회담을 하자는 건 어불성설 아니냐”며 “영수회담에서도 정부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제안만 하고있는데, 당정이일을 할 수있도록 협치를했으면좋겠다”고일침했다.

반면민주당한초선의원­은“우리당은 총선에서 나타난 민심을 정부에게요구하는 것”이라며 “특히 채상병특검법은 국민 3명 중에 2명이 찬성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와 여당은 생각을 고치는게옳다”고 밝혔다.

그는 또 “4월 총선 이전까지 영수회담을 받지도 않다가, 선거결과가 나쁘게나오자 이제야 협치운운하는 것은국민들께서도 좋게 생각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제껏 야당의 목소리를 무시해서민생이나아졌­느냐.이제는고집을접을때가­된것”이라고 짚었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