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붉은테크’의공습과‘모노즈쿠리일본’의부활

- 김상철글로벌비지니스­연구센터원장

한국의중산층기준은 의외로 유별나다. 다른선진국과는사뭇 다르다. 삶의질을중시하는그들­과 다르게한국인은양에치­중하고상대적격차에집­착한다. 오랜세월빈국으로살다­가압축 성장을 하면서잘살게되었으나 아직도 개도국 혹은 중진국 콤플렉스를 벗어나지못하고있는 듯하다. 한국에서중산층이라면 부채 없는 30평형 아파트 보유와 월 급여500만원이상에­다통장예금1억원이상, 2000㏄이상 중형차 소유와 연 1회 이상 해외여행등을 다닐 수 있는 부류를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접근하다 보니 중산층 범위가 축소되고 고·저소득층양극단에치우­치는기형적아령형사회­가 되고 말았다. 이틈새를 포퓰리즘정치가 파고들어진영으로 나누어갈등을 부추기고소비까지양극­화로치닫는다.

전세계C-커머스경계령확산

최근 총선이끝나고 민생회복이최대이슈고­이중심에물가가 있다. 물가가 천정부지로올라 선거민심이결국여당의­참패로 끝나는결과를만들어냈­다.덩달아내수시장에서도­이상지각 변동이일어나고 있다. 중국 C-커머스의국내유통참여­로가성비좋은‘메이드인차이나’가 소비자 지갑을 거침없이 유혹한다. 중국산의공습이산업전­반에빠르게확산하면서­이로인해공장을닫거나 축소하는현상이점점늘­어나는 추세다. 단지한국에만있는일이­아니고 전세계시장이공통으로 직면하고있으며C-커머스에대한경계령이­급속하게확산하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등에서는 중국산침투를저지하기­위해서보호무역강화조­치를앞다투어내놓는다. 하지만 한국은중국의보복이무­서워엄두도내지못하는­현실이다.

수입차 내수 시장에서도 변화가 감지된다.경기가안좋으면눈에띄­게나타나는것이신차 판매 수요 감소다. 전기차 수요에 대한 숨고르기와 맞물려 세계적으로도 자동차 시장이 얼어붙고 있다. 1분기 내수 시장에서 수입승용차 판매가 11.5% 줄었다. 고가의유럽자동차 판매가 대폭 위축되고 있어수입차 점유율이 20% 이하로 떨어질 전망이다. 이와중에전기차 대신 하이브리드 차 인기에 편승하여일본산인도요­타는 30.7%나 증가하여대조를보인다. 혼다어코드하이브리드­와 CR-V 하이브리드 모델도 덩달아 판매 호조세다. 일본산불매운동여파로­한동안주춤하던일본차­판매가 다시기지개를 켠다. 국산승용차구매를꺼리­는 고소득층의수요가 일본차 수요로 이전하고있는것이특징­이다.

작년6월부터수출이회­복되고있다지만 내면을 들여다보면 심각한 위기가 감지된다. 반도체를빼면계속 무역적자인‘반도체 착시’라는 지적이전혀틀리지 않는다. 이마저반도체수요불확­실성증가와 중동전쟁확산 조짐으로 불안감이 확대된다. 반도체수출마저적신호­가켜지면우리수출은걷­잡을수없는수렁속으로 빠져둘 가능성이농후하다. 당분간 자동차수출증가는어려­울것으로 예상된다. 17개월만에올해 2월 대중 무역이가까스로 흑자로 전환하긴했어도 다시적자로돌아설수있­다는 우려는 기우가 아니다. 대일·대중 쌍둥이무역적자가 고착화하면 다른 나라에수출하여 번 돈은 이웃 두 나라에서 수입하는 데몽땅 써야 하는 최악의시나리오가 현실화할수도있을것같­은예감이든다.

한·중·일 동북아 3국 소비자의소비패턴도미­세하게 다르다. 일본 소비자는 예나 지금이나크게동요하지­않고자국산에대한애착­이매우 강하다. 저가의중국산은 구매하지만 내

미·유럽등중국산침투에보­호무역강화…한국은보복무서워엄두­도못내대일·대중쌍둥이무역적자고­착화…다른나라수출해번돈몽­땅써야할판가성비좋은­중국산·트렌드강한일본산사이‘넛크래커’전락…묘수찾아야

구 소비재는 한국산이나 중국산을 철저하게외면한다.일본인의자존심이소비­에도반영되고있는 셈이다. 중국인들의과시욕은익­히소문나 있지만 경기가 악화하면서 명품에 대한구매가크게줄었다. 일반 소비재는젊은층을중심­으로 자국산 소비가 늘었다. 애국 소비라고하지만중국상­품의질이좋아진것이원­인이다. 특히자동차나 IT·가전 제품은일본산혹은한국­산구매를현저히줄이는 양상이다. 이에비해한국 소비자는 원산지를 가리지않는소비행태를 잘바꾸지않는다. 무역구조적으로 보더라도 한국의내수 시장이수입상품에취약­함을보여주는단면이다.

엔저장착한일본산공세­도거세

수출 시장에서도 한국산이 가성비의 중국산과 트렌드를 강조하는 일본산의중간에끼여 ‘넛 크래커’ 신세로전락하고있는모­양새가다시 불거진다. 공급과잉으로 재고 누적에허덕이는 중국 기업이 해외 시장에 밀어내기를

본격화하면서세계시장­을 할퀴고 있다. 상대적으로 접근하기쉬운 시장에눈독을 들이며,유럽과한국시장은우선­공략 대상이다. 유럽의주요 항구엔중국산 전기차가 가득하고철강·태양광 등으로 홍역을 치른다. ‘알·테·쉬’ 전자상거래 플랫폼 진출로 중국산 소비재의 침투 통로가 되면서 각국의 제조업과 유통업에타격이만만치 않다. 중국산에대한 보호무역조치가확대되­고있다. 엔저(円低)를 장착한일본산의해외시­장진출공세도거세다.수출시장에전운이감도­는이유다.

문제는이런구조가향후­더강화될것이라는 점이다. ‘기술 굴기’로 뜨고있는 중국산 ‘붉은 테크(Red Tech)’의 공습이 무섭다. ‘홍색공급망(Red Supply Chain)’으로 자국시장을틀어잠근 중국이이제해외시장에­서무차별적으로덤벼들 기세다. 아프리카(90% 점유)를 비롯한 세계주요국의광산이중­국의손에넘어가면서배­터리등생산을수직계열­화함으로써절대강자로 군림할 태세다. 제조에 더해이제남의나라유통­까지넘본다. ‘모노즈쿠리일본’의부활도심상찮다.일본기업재기로가장먼­저피해를보는쪽은한국 기업이다. 수출·내수시장에서한국산의­고전이현재진행형이면­서굳어질개연성까지배­제할 수 없다. 정부는 물론이고 기업, 소비자마저어설프게 이런 엉거주춤한 행태를 지속하면쪽박 차고 결국주변국으로 전락하고 만다. 정신을 차리고 묘수를찾아내야한다. ▷연세대 경제대학원 국제경제학 석사 ▷네덜란드 비즈니스스쿨 경영학 박사 ▷ KOTRA(1983~2014) 베이징·도쿄·LA 무역관장▷동서울대중국비즈니스­학과교수

 ?? [신화·연합뉴스] ?? 네덜란드와독일로수출­될중국산전기차비야디­차량이중국선전항에서­선적을기다리고있다.
[신화·연합뉴스] 네덜란드와독일로수출­될중국산전기차비야디­차량이중국선전항에서­선적을기다리고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