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시금치·오이도올랐는데…김밥이‘金밥’된건김값때문이다?

시금치26%오이·깻잎도10%대⊞농축산물식재료값도천­정부지

- 최예지기자 ruizhi@

김수출늘며내수용가격­오르자프랜차이즈전문­점줄줄이인상김밥원가­중‘김’비중2~3%뿐# 서울 노원구에서 분식집을 운영하는 유모씨(43)는 메뉴에서 김밥을 빼는 것을 고민 중이다. 김 등 원재료가격이 크게 올라 비용 부담이 커진탓이다. 유씨는 “요즘 시장 가는 게무서울 정도”라며 “아예 김밥을 팔지않는게나을것 같다”고 하소연했다.

최근 김밥 전문 프랜차이즈들이 줄줄이가격인상을 단행하고 있다. 김밥주재료인 김 가격이 치솟아 부득이 가격을 올릴수밖에없다는 논리다. 다만김밥 원가에서 김이 차지하는 비중은2~3%에 불과해 궁색한 변명이라는 지적도나온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김밥 프랜차이즈 바르다김선생은 지난 9일부터 메뉴가격을 100∼500원 인상했다. 대표 메뉴인 바른김밥은 4300원에서 4500원으로 200원(4.65%), 참치김밥과 불고기김밥은 각각 500원(8.62%)과 200원(3.17%) 올랐다.

다른프랜차이즈김가네­김밥역시가격을 500~1000원 인상해 대표 메뉴인김가네김밥 가격이 3900원에서 4500원으로 뛰었다. 참치김밥도 4900원에서 5500원으로 600원(12.24%) 올랐고와사비 크래미 김밥 역시 5300원에서600­0원으로 700원(13.2%) 인상됐다. 마녀김밥도 지난달 김밥 등 메뉴 가격을300~400원씩인상했다.

김가격상승은수출이큰­폭으로늘며내수용물량­이줄어들었기때문으로­풀이된다.도매시장내반입량이감­소하니가격도자연스레­뛰는양상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를 살펴보면 26일기준 마른김 한 속(100장)당 중도매인판매가격은평­균 1만440원이다. 지난해같은기간 6627원 대비 57.54% 오른것이다. 소매 가격도 10장당 1304원으로전년대­비 28.98% 뛰었다.

하지만 수산물 가격관리임무를 맡은 해양수산부는 김가격인상을 김밥가격을 끌어올린 주범으로 보는 데 동의하지 않는다. 해수부 관계자는 “김밥에는 김 외에 들어가는 식재료가 많다”며 “김밥용 김 1장 소비자 가격은100~200원 수준이다. 원가에서김이차지하는 비중은 2~3%에 불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가격이오른 것은 많지만 쌀·시금치·계란 등다른재료비상승폭도­만만치 않다. 실제무세척당근 20㎏ 중도매인판매가격은지­난 26일 기준 8만4820원으로전­년보다 53.7% 폭등했다.

지난달 시금치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 대비 25.8% 급등했고 깻잎과 오이도 각각 12.4%, 17.8% 올랐다. 계란도최근 대형마트 할인행사 등으로 수요가 늘어나면서 5.7% 올랐고 쌀과 김은7.7%, 6.6% 각각 뛰었다.

지난달 수산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7%로 전체 물가 상승률(3.1%)을하회했다.농산물에비하면가격이­안정적인편이다.그럼에도해수부는수산­물가격과 외식 물가가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김가격안정에 나섰다. 정부는오는 7월부터 축구장 3800개 규모에 달하는김양식장을 신규 개발하고 마트·온라인몰에서는 ‘대한민국 수산대전’을다음달에도진행하기­로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보통 김이 생산되면내수와수출비­율이‘6대 4’였는데 지금은 역전돼 수출이 내수를 많이앞선상황”이라며“지난해우리나라 김수출액이1조원 돌파하며역대최대실적­을기록했는데이제는 잘나가도 걱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김은 물론 수산물 물가 안정세가 조기에 안착될 수 있도록노력할것”이라고 덧붙였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