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ne21

독립영화홍보·마케팅이비슷해보이는­구조적이유

유동적이지못한지원정­책의한계, SNS시대에독립영화­가겪는난점

- 이우빈

“관객들이 보기에 ‘독립영화 마케팅이왜다 비슷하지?’란 생각이 들 수밖에 없다” (조계영 필앤플랜 대표)라는 말처럼최근 독립영화계의홍보·마케팅 수단은 다소 한정적이다. 시사회,관객과의 대화, 굿즈 프로모션 정도로 축약할수 있다. 상업영화처럼 지상파와 유튜브의 홍보프로그램을 순회하지 못하는 게 당연하겠지만왜 언뜻 비슷해 보이는 홍보·마케팅만 눈에 띄고 있는 것일까. 홍보·마케팅 실무자들은 이러한상황의구조적인­허점을짚어줬다.

첫 번째 이유는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개봉지원 사업의 정책적인 한계에 있었다. 독립영화계 전반의 성적이 어려운 상황에서 배급사들은 P&A 비용을 자부담하지 않고 대개 영진위 지원금에 의지하고 있다. “영진위나 경기콘텐츠진흥원의 도움을 받지 않으면 관객들의 눈에 띄기가 사실상 어려운 상황” (장선영 영화사진진 기획마케팅팀 부장)인 것이다. 하지만 사업을통한지원금의용­처가제한적임에따라홍­보·마케팅의 다양성도 적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서울 외 지역에 관객과의 대화 행사를 가려고 해도 교통비나 실비는 정산이 불가능” (주희엣나인필름 기획마케팅총괄이사)해서 오프라인홍보의 반경을 넓히기가 어렵다. 또는 “작품의성격에 맞춰서 예전처럼 관객과의 대면 스킨십을위한파티를열­어보려고해도지원금으­론불가”하기에 “실질적인 효과를 내는 시사회를 많이여는등반복적이고­천편일률적으로돈을쓰­게 된다” (조계영 대표)라는 설명이다.

두 번째 이유는 SNS 마케팅이 주류로 자리 잡은 환경의 문제다. 자본의 크기가 곧 SNS 마케팅의 양으로 직결됨에 따라 독립영화와 상업영화의 태생적 차이는 더욱 커지고 있다. 상업영화의 일반적인 P&A 비용은 30억~40억원으로알려져 있다. 반면 영진위 개봉지원 사업을 통한 “독립영화 P&A 비용은 15년 전쯤부터 계속4천만~5천만원 수준”(조계영 대표)이고 “지금그 돈으로 홍보·마케팅을 모두 충당하려면 건수가 큰 오프라인, 온라인 행사는 엄두도못내는 현실” (김명주 시네마달 홍보마케팅팀 대리)이다. 하물며 지난해 말부터 멀티플렉스 극장에종이전단지배포­가법적으로금지되면서“독립영화의 유일한 오프라인 광고 창구마저 소멸” (조계영 대표)했고 “독립영화의 노출 창구는 거의 SNS밖에 남지않았다”(장선영 부장).

SNS 홍보·마케팅에서 독립영화가 살아남는법은 대개 굿즈 프로모션이다. SNS를 통해 단편적으로전달될수있­는이미지가필요한것이­다. “독립영화든 해외 아트하우스든 배지나 일러스트포스터같은굿­즈의이미지가중요해진” (장선영 부장) 상황이다. 하지만 “예산 문제로극장굿즈프로모­션을하지못할때”가잦고 “포스터를 만들더라도 일반 출력으로만 진행해야하니 상업영화보다 상대적으로 기계적인 결과물만 내게 된다”(수입배급사 관계자 C씨)라는아쉬움도 있다. 즉 서두에 언급했던 시사회, 관객과의 대화, 굿즈 프로모션은 여러 구조적 난점에서 그나마 효과를 낼 수 있는 독립영화 홍보·마케팅 방식이었던 셈이다. 이에 진명현 무브먼트 대표는 곧 개봉하는 <돌들이 말할 때까지>의 관객과의 대화 게스트로 “영화의 성격에맞는 시인, 작가 등 독립영화 바깥의 분들을 초청”하면서 “독립영화를 찾는 관객층의 범주를넓히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언제나 그랬듯,독립영화는 정해진 틀 안에서도 각자의 활로를찾아내고있다.

 ?? ?? <돌들이말할때까지>포스터.
<돌들이말할때까지>포스터.
 ?? ??
 ?? ?? <괴인>배지와배경지.
<괴인>배지와배경지.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