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ne21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세월호참사10­주기온라인추념전작품­소개

-

시대와상호작용하는카­메라는2014년4월­16일이후의한국사회­를담는일에도주저함이­없었다.세월호10주기인올해­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는세월호참사를­기록해온다큐멘터리스­트들의작품들을돌아보­는자리를마련했다.추념전‘10년,연대의세월’은4월한달간온라인과­오프라인(안산,고양등)에서진행중이며‘다큐보다’(docu.VoDA)에서열리고있는온라인­추념전의작품들은선착­순(단작품별200~400회로제한)으로무료관람이가능하­다.온라인추념전에서관객­을기다리고있는작품은­매섭고뜨겁다.참사직후1년간보여준­정부의부실대응을고발­하는<나쁜나라>(김진열감독), 4·16연대미디어위원회­에서제작한옴니버스시­리즈<망각과기억>(김재영감독외)과<망각과기억2>(박종필감독외),특정유가족의내면을깊­이탐구하는<초현실>(김응수감독),세월호민간잠수사들의­이야기<로그북>(복진옥감독),진도인들의애도의식을­채집한<진도>(유동종감독),일반시민의트라우마를­말하는<당신의사월>(주현숙감독),세월호엄마들의연극도­전기<장기자랑>(이소현감독),단원고희생자학생들과­같은나이의청소년들이­만든<기억해,봄>(최호영(Re;cord))까지총9편이다.이중<망각과기억> 1, 2편과<기억해,봄>을자세히소개한다.그리고4월이가기전,추념전방문은“우리나라가안전사회의­어디쯤와있는지를점검­하고앞으로나는어떻게­행동해야하는지를숙고­하게하는”(<바람의세월>문종택감독)시간이되어줄것이다.

416프로젝트<망각과기억>정일건,태준식,김재영,박종필,손경화,박정미,최종호/2016년/180분/전체관람가

7편의 중·단편다큐멘터리를모은 ‘416 프로젝트 <망각과 기억>’은 독립다큐멘터리 감독모임 ‘4·16연대 미디어위원회’가 기획, 제작한 작품이다. 참사 초기부터 팽목항, 안산, 서울 등지에서 현장을 기록해온 7명의감독은 세월호 참사 2주기에 맞춰 공동의 결실을 세상에 내놓았다. 작품이 처음 공개된 제16회 인디다큐페스티발에서 고 박종필 감독 겸 위원장은 “4·16 참사 관련 쟁점들을 직접 공유할 필요를 느꼈다”며 작품취지를 설명한 바 있다. 침몰 현장이 내려다보이는 동거차도에서 세월호 <인양>(고 박종필 감독)을 감시하는 유가족과 자원활동가의 충혈된 눈은 눈앞의 배를 넘어 보이지 않는 정부를 향해 있다. 2015년 1차 청문회에서 증인들이 늘어놓는 허황한 대답은 유족들이 왜 진실을<도둑>(김재영 감독) 맞았다고 느끼는지를 통감하게 한다. 아이들이 떠난 자리에 연이어 깔리는 가족들의 간절한 음성 편지는 스크린에 사라지지 않는 눈물 <자국>(정일건 감독)을 남긴다. 유가족, 졸업생, 자원봉사자의 시선에서 바라보는 단원고등학교 내 4·16 <교실>(태준식 감독)존폐 논쟁은 보존 대신 제거라는 손쉬운 대처를 택해왔던 한국 사회의일면을 드러낸다. 전기원 노동자, 삼성반도체 노동자, 가습기살균기피해자의 피해 사례로까지 넓히는 <살인>(박정미 감독)은 안전 사회를 만들기 위한 당장의 구체적인 노력이 절실함을 알린다. 세월호와 바다를연상하게하는푸­른색의이미지들에서노­란리본으로대표되는노­란색의 이미지로 옮겨가는 <블루-옐로우>(손경화 감독)의 물결에는 치유와회복의 염원이 담겼다. 존엄과 안전에 관한 4·16 인권 <선언>(최종호감독)을 외치는 시민들의 목소리에는 망각에 저항하겠다는 시민들의의지가서려 있다.

416프로젝트<망각과기억2:돌아봄>박종필,김환태,문성준,안창규,김태일/2017년/175분/전체관람가

4·16연대 미디어위원회가 3주기를 맞이해 <망각과 기억> 프로젝트를 다시 가동했다. 5편의 중편다큐멘터리를 모은 <망각과기억2: 돌아 봄>은 “3년상 치렀으면 이제 된 거 아니냐며 힐난하는”(고 박종필 감독) 망각의 조짐에 저항하며 여전히 밝혀지지않은참사의진­실과남겨진이들의아픔­을들여다본다.안산 화랑유원지에 추모공원을 설립하는 과정에서 유가족은지역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히지만 곳곳에서 보내는 <기억의 손길>(문성준 감독)에 힘을 얻는다. <걸음을 멈추고>(김태일,주로미 감독) 보게 하는 마임 배우 류성국씨의 야외 추모 공연에는 사랑이 깃들어 있다. 청와대, 정부, 국정원, 국회, 언론 등이른바 <세월 오적>(김환태 감독)이 일삼는 얕은 거짓은 복잡한 감정을 유발하는 반면 희생자의 시신 수습을 했던 고 김관홍 민간 <잠수사>(고 박종필 감독)의 더 구하지 못해 죄송하다는 말과 적극적인 진상규명 활동은 커다란 슬픔을 안긴다. 참사현장이있는동고차­도로향하는배에 <승선>(안창규 감독)하는생존자김성묵씨의­뒷모습은그의참사이후­의삶을응원하게 한다.

기억해,봄최호영(Re;cord)/2023년/23분/전체관람가

“이 사람들의 슬픔이 아직 멈추지 않았는데 우리가 끝난 일이라고말할수있는 걸까?” (이정겸 학생)

2021년 여름, 단원고 희생자들과 같은 나이가 된 이우고등학교 2학년 친구 12명은 세월호 참사가 단순히 궁금했다. 초등학교 4학년 때의 일이다 보니 세월호에 관한 기억이 어렴풋했다. 2014년 4월16일 대한민국에서대체무슨­일이일어난 걸까, 그렇게 커다랗고 슬픈 일이 왜 아직도 해결이 안된 걸까. 그래서친구들은 안산, 진도, 목포 등을 돌아다니며 세월호 다큐멘터리를 찍기로 한다. 졸업한 뒤 다시 카메라 앞에 앉은 친구들은참사를 마주하며 했던 생각들을 나눈다. <기억해, 봄>에서 “기억하자”는 말은 사회적 재난을 직시하려는 이들의 의지에 의해 점차 또렷해진다. 한번의 여행으로 끝내지 않고 안전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이들의 기억하겠다고 말하는 결연한젊은얼굴들은 말로만기억을 강조하던 얼굴을부끄럽게 한다.최호영 감독은 “어쩌면 친구들과 영화를 만든다는 설렘이 더컸을지도 모르겠다”라며 18살 당시를 회상했다. 막연한 생각으로시작했지만단­원고희생자가타고있었­던배를직접보고유가족­이 쐰 팽목항의 바람을 맞으면서 그가 결심한 게 하나있다. “실망하더라도 냉소 없이, 같이살고싶은마음으로­살아가고 싶다.”

 ?? ?? <망각과기억-교실>
<망각과기억-교실>
 ?? ??
 ?? ?? <기억해, 봄>
<기억해, 봄>
 ?? ?? <망각과기억2-승선>
<망각과기억2-승선>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