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 (Korean)

폐허 위에서‘봄바람을 보다’

<망춘풍(望春風)>

-

글|장진원( 張勁文 )

당대에‘고향’은 중국 작가들의 영혼의 안식처다. 현대화 과정에서농촌이 쇠퇴하면서 많은 작가들이 고향을 추억하고 옛 사람을 돌아보는 정서를 갖게 됐다. 그들의 펜 끝에서 중국의고향은‘재난 속에서도 그 모습은 유지됐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조용히 산산이흩어지는’운명을 피할 수 없었지만 <망춘풍>에서 고향은 다시 희미하게 되살아난다.

<망춘풍>은 작가 거페이(格非)가 <강남삼부작(江南三部曲)>으로 2015년‘마오둔(茅盾)문학상’을 수상한 뒤 선보인 첫 장편소설이다. 소설 속 이야기는1958년부­터 2007년까지 이어진다. 루리자오(儒里趙)촌에 사는 일반적이면서도평범하­지 않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진입점으로 삼아 마을이 변화하는 복잡한 과정을 묘사했다. 개인의 운명, 가족과 마을의 변화를 통해 강남지역 농촌 마을의반세기에 걸친 역사를 묘사하고 미래를보여주었다.

총 4장으로 구성된 <망춘풍>은 크게 상하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앞의 두 장은‘나’의 관점에서 서술된다.이 부분에서 거페이는 50여 명의 인물을그려낸다. 그중 절반은 생생하게 묘사했고 어떤 인물은 선명한 흔적을 남기기도한다. 예를 들어‘나’의 아버지는 연약하지만‘나’에 대한 사랑은 작품에서 가장 감동적이다.‘나’의 사촌형은 앞으로농촌을 파괴할‘자본가’가 될 것이지만,한편으로는 창업에 있어서 긍정적인 의미도 지닌다. 마지막에‘내’가 난징(南京)으로 떠날 때 루리자오촌과 인물들은한 폭의 그림처럼 단독으로 액자화되고, 작품 속 해결되지 않은 수수께끼는 루리자오라는 산수화에 깊이감을 더한다.

제3장의 주제는 농촌의 붕괴다. 이때의 루리자오 마을은 철거될 뿐 아니라 생존의 기반이었던 인정 또한 무너진다. 가장 전형적인 이야기는 매팡(梅芳)이 뉴가오(牛臯)와 룽잉(龍英) 일가를 도와 부정확한 비판을 공정한 이치를 통해 바로잡아 주었지만 뉴가오는축하 잔치를 열면서 매팡을 초대하지않는 부분이다. 뉴가오는 심지어 그녀를‘문제나 일으키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두려울 정도로 인정이 메말라 버린 것이다. 전반부에 비해 이 장의 화면은 비교적 우울하다.

제4장은 뿔뿔이 흩어진 다음 소생하는 것으로‘나’와 숙모인 춘친(春琴)의이야기다. 이 장은 마르케스의 <콜레라시대의 사랑> 속 페르미나와 플로렌티노의 노년의 사랑을 떠올리게 한다. 마르케스의 소설에서는 배경이‘노년’이지만거페이의 소설에서는‘폐허’다. 이런 배경에서 남녀 간의 사랑은 신앙적 의미를지닌다. 거페이는‘나’가 폐허를 통과해 존재하는‘가정’에 도달하길 바랐고, 이런 사랑이 생활의 패배에 대항해 마음의위안을 줄 수 있길 바랬다. 소설 결말에서는‘나’에게“그때가 되면 대지가 부활하고 만물이 각자 제자리에 있게 될것이다. 그때가 되면 살아있거나 죽은사람 모두 시간의 품으로 되돌아와 자신의 본분을 다할 것이다”라는 <성경>식의말을 하도록 한다.

종합적으로 봤을 때 <망춘풍>의 결말은 따뜻한 색채가 가득하다. 작가 량훙(梁鴻)은 <망춘풍>을 논하면서“이 소설은 겉으로는 우울해 보이고 뜻을 이루지 못한 삶을 쓴 것 같지만 매우 강력한생명력으로 가득차 있다”고 평했다. 거페이 자신의 말을 빌자면 <망춘풍>은 농촌의 사회 현실을 반영한 작품이 아니다. 작가 역시 무의식 중에 이 소설을비판적인 것으로 쓴 것이다. 작가는 평범한 사람들을 다시 이해한 것이 자신이더 주목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거페이는 중국 농촌 사회가 종말에직면할 것임을 부인하지 않는다. 바로이 때문에 <망춘풍>은 독자에게 현대 농촌 윤리와 역사 변화를 새롭게 볼 기회를 준다. 그러나‘농촌 중국’의 진정한종말은 보다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그가 열정적으로 주목하는 부분은 이것이앞으로 글쓰는 이에게 더 큰 변화를 가져다줄 것이라는 점이다.

거페이는“각 세대 작가는 모두 자신의 인물을 갖고 있다. 우리 세대 작가는 때마침 이런 변화를 만났다. 내 아들세대에게는 새로운 세계가 있을 것이다.문학은 새로운 변화가 필요하다. 이것은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