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지속적R&D…혁신제품에디자인입혀­100년기업으로키울­것”

“한국은中이어아시아2­위시장”

-

“과거에서 배우지만,과거에묻히면안 된다.”

2세대 경영인인 마이클몬니 로라스타 글로벌 세일즈 디렉터의경영 철학이다.

실제 그는 창업주이자 아버지인 장 몬니 최고경영자(CEO)의 도전정신을 이어받으면서도,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서‘혁신성’으로 자신만의색깔을드러내­고 있다.

현지 유수의 업체들에서 6년여간의 경영수업을 끝낸 마이클몬니디렉터는 2010년 로라스타에 합류했다. 그의가장큰관심사는유­럽에주력하던로라스타­의무대를 아시아 시장으로 확대하는 것이었다. 3년간 시장 분석등을 끝낸 마이클 몬니디렉터는 2013년 중국시장에도전장을내­큰성공을거뒀다. 자신감을 얻은 그는 지난해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한국에제품을 선보였다.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시장이 한국이라고판단한 것이다. 최근 1년도 안되는사이일곱 번이나한국을 찾았을 정도다. 마이클 몬니 디렉터는 “처음 중국에 진출 했을 당시, 의외로 다리미를 쓰는사람들이적어 어려움을겪었다”며 “하지만 현재 로라스타의 전체 매출 중 중국 시장 비중이약 13%에 달할정도로현지에서자­리를잡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단순히 다리미 회사가 아닌 옷을 아름답게가꾸는 기업으로, 차별화된 기술을 갖춘 기업으로 현지에서어필한 게 주효했다”며 “한국과 일본 등에서도 이를 무기로안착할것”이라고 강조했다.

시장확대와 더불어 마이클 몬니 디렉터가 집중하는 분야는 연구개발(R&D)이다. 그는 “지속적인 R&D를 통해 혁신적인 제품을 꾸준히 선보여야만 로라스타가 과거에서 나아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스위스 몽트뢰에 위치한 ‘로라스타R&D 센터’는 그의혁신에대한열정을­보여주는대표적인곳이­다. 이 센터에서 로라스타의 엔지니어팀들은 지역의 대학교, 타업체들과의협업을활­발하게진행하고 있다.

그는 “로라스타는제품을더작­고 가볍게, 스팀을강력하게만드는 등의 기술개발을 꾸준히 하고 있다”며 “더 많은 아이디어를모으기위해­향후지역업체와의협력­을늘려갈 것”이 라고 말했다.

디자인 분야에서의 협업도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대표적으로 로라스타의 ‘리프트 플러스’ 스팀다리미는 네스프레소머신을 디자인한 유명 디자이너 ‘앙투안 카엔(Antoine Cahen)’의 작품이다. 이제품은세련된디자인­으로독일‘레드닷 어워드’를 수상하기도 했다. 올해 12월 국내에서선보일 예정인 세계 최초의 ‘커넥티드 사물인터넷(IoT)’ 다리미역시꾸준한연구­의결과물이다.

마이클 몬니 디렉터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다림질도 디지털 방식으로 진화해야 한다”며 “다리미 한 분야에만집중해온로라­스타가 IoT 모델3종을선보이면서­직접고객들에게다림질­코치역할도해줄것”이라고 말했다.

그의 궁극적인 목표는 로라스타를 향후 100년 기업으로키워내는 것이다. 마이클 몬니 디렉터는 “유럽에는 100년의역사를가진­가족기업이많다”며 “좋은제품으로고객들을­기쁘게 해 로라스타를 꾸준히 성장하는 기업으로 만들겠다”고전했다.

 ??  ?? 449만원으로 로라스타의초고가라인­인펄스실버 모델.
449만원으로 로라스타의초고가라인­인펄스실버 모델.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