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Daily

증가하는동거커플부작­용많다

-

미국과 유럽은 인종적으로 코케시 언이 사회의 주류라는 점에서 비슷 한 구석 이 있다 그러나 전반적인 사회 분위기는 미국이 훨씬 보수적 이다

정치적으로도 그렇고 빈부격차 가 크다는 점 등에서 유럽에 비하면 미국은 아시아 국가들과 닮은 점이 적지 않다 미국의 이런 사회문화적 환경 가운데 조금씩 유럽형으로 변 화하는 조짐을 보이고 있는 대표적 인 현상이 있는데 바로 동거 커플 의급증이다

미국의 적지 않은 전문가들은 동 거 커플이 늘어나는데 대해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한인들 또한 급속히 결혼적령기로 진입하는 2세 들이 적지 않은 실정이어서 동거 선호 현상은 관심을 두지 않을 수 없는당면현안이기도하­다

혼외 자녀 절반 육박 최근 수 년 사이 미국에서 태어나는 아이들 가운데 약 44%가 비혼 커플이 낳은 자녀이다 비혼 커플이란 동거를 포함해 정 식으로 결혼하지 않고서 짝을 이뤄 사는 경우를 말한다 혼인하지 않은 커플들이 낳은 아이의 비율은 1980 년대만해도 전체 신생아의 10%를 조금넘는수준이었다 전문가들은 이런 추세라면 조만 간 비혼 커플 사이에서 태어난 아동 의 비율이 신생아의 절반을 넘을 것 으로예상한다 최근 좀체 확 되살아 날 기미를 보 이지 않고 있는 경제 침체 또한 비 혼 커플을 양산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는 실정이다 정식 결혼을 대수 롭지 않게 생각하는 젊은이들이 증 가하는 상황에서 경제 여건마저 비 혼 커플들의 출산을 부추기는 형국 인셈이다

실제로 최근 들어 30세 미만 산모 가 출생하는 아이들 가운데는 절반 이상이 비혼 커플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들인실정이다

정서 발달과 건강 문제 야기 비혼 커플들 사이에서 태어난 아동 들은 일반적으로 정식 결혼을 한 부 부의 자녀들보다 불리한 환경에 놓 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 다 예컨대 발달 장애나 정서 장애 를 경험할 확률이 높다는 연구도 있 다 또 경제적으로도 정식 결혼한 부부가 낳은 아이보다 더 어려운 상 황에 놓이기 쉽다는 조사도 있다 그런가 하면 우울증과 같은 정신적 질환 심지어는 신체 질병에 걸릴 확률 또한 높다는 보고도 있다 이 때문에 사회학자 등 전문가들 가운 데는 진보냐 보수냐는 이념적 기준 을 떠나 비혼 커플을 줄이는 범 정 부 차원의 노력이 긴요하다고 주장

유명 사이클 선수인 랜스 암스트롱이 동거녀와 사이에서 나은 아이를 안고 있다 하는사람들이많다

예컨대 자녀 세금 공제 폭을 획 기적으로 확대해 결혼 커플의 출산 에 혜택을 줘야 한다는 것이다 이 와 함께 결혼하면 오히려 세금 소 셜 시큐리티 메디케이드 등에서 손 해를 보게 하는 독소조항을 없애야 한다고주장하는사람도­있다 진보 적인 사고를 가진 젊은이들 가운데 결혼보다는 동거를 선호하는 사람 들이 늘고 있지만 이념 잣대를 기 준으로 하기보다는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데 정부와 시민사회가 앞장 서야한다는것이다

 ??  ?? 명사들 가운데 결혼 대신 동거를 택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도 미국의 비혼 커플이
증가하는데일조하고있­다
AP
명사들 가운데 결혼 대신 동거를 택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도 미국의 비혼 커플이 증가하는데일조하고있­다 AP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United St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