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Daily

온라인시대의신문읽기

- 김완신 논설실장

신문을꾸준하게읽어

조선인의소견과지혜가

발전하기를기대한다

문명 발달에 결정적인 공헌을 한 발 명품을 꼽으라면 가장 먼저 종이를 들 수 있다. 1900여년전 중국의 채 륜에 의해 종이가 발명되면서 비로 소 인류는 축적된 지식을 기록하고 확산시키는수단을 갖게 됐다 . 기원 전에 이 미이집트에서 파피루스를 사용했었고 죽간이나 비단 등에 글 을 기록하기는 했지만 종이의 효용 성에 미치지 못했다 . 종이와그후에 발명된 인쇄기술로 지식의 대량보 급이 가능해지면서 인류문명은 도 약의단계를맞게됐다 . 신문은 종이가 발명되지 않았다 면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 다. 첨단 기술이없던 시절에는 '문자를기록 할 수 있는' 종이가 유일한 정보전 달의 매개체였다 . 그러나 지금은 컴 퓨터와 IT의 발달로 종이없이다수 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가 능해 졌다 . 신문의 위상이예 전 같지 않다는 말이나온다. 그러나이는 ' 종이 '를 수단으로 하는 신문의 입지가 좁아 졌다는 뜻이지 , 기사를 통한신문의 보도 ·논평 기능이 불필요해졌다는 의미는아니다.

투자의 귀재 워렌 버핏은 2년 전 남동부 지역의 신문 60여개를 구입 했다. 신문에 미래가 없다면 그는 절대로 투자하지 않았을 것이다. 버 핏은 “주변과 세상에 대한 관심이 존재하는 한 신문은 사라지지 않는 다”고말한다.

실제로 지난해를 기준할 때 구독 자수가 늘어난 신문들도 있다. 신문 발생부수조사기관인A­BC가작년 4 월부터 9월까지 조사해발표한 내용 에따르면 월스트리스저널( WSJ) 의 경우 발행부수가 230만부로 전년에 비해 9 . 4% 증가했다 . WSJ이 신장 세를 보인 것은 종이신문 구독은 6 만부 줄었지만 온라인과 모바일 기 기의 유료 독자수가 25만7000명 늘 어나 종이신문 구독자 감소분을 크 게앞질렀기때문이다.

뉴욕타임스의 경우는 이미 온라인 유료 구독자를 89만6000명 확보해 전통적인종이신문구독­자71만7000 부를 넘어섰다. 온라인 구독이 오프 라인은 넘어선 신문은 뉴욕타임스가 유일하다 . 온라인 구독자 증가로 뉴 욕타임스는 발행부수가 전년에 비해 약 40% 가 증가해 신문산업이 위리 기라는말을무색하게했­다.

현대인들은 정보가 범람하는 시 대를 살아가고 있다. 전통적인미디 어외에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창구 가 다양해졌다. 소셜네트워크서비 스 등을 통해 무수한 정보가 양산되 고 무차별적으로 확산된다 . 이중의 상당수는 신뢰할 수 없는 내용들이 차지한다. 변화하고 다양해지는 미 디어 환경에서 신문이가야 할 방향 에대해WSJ의로버트­탐슨 편집장 은 '고급 독자를 위한 양질의 콘텐 트 생산'를 강조한다 . 뉴스거리를 엄선해 정확하게 보도하는 기능과 콘텐트에 대한 무한책임이신문 이 살아남는유일한길이라­는것이다 . 오프라인과 온라인에 상관없이 신문읽기는 경쟁력이다 . 또한 단편 적으로 뉴스를 접할 때 생기는 지식 의 편식을 막고 사회를 보는 시간에 대한균형감도유지시킨­다. 한국에서 7일은 '신문의 날'이 다. 1896년 발간된 최초의 순국문 신문인 ' 독립신문 '의 창간일을 기 념해 제정됐다. 당시 독립정신과 민 족의식 고취를 목적으로 발행된 독 립신문의 창간사에는 이런 글이 나 온다.( 현대어의역) '우리 신문은 남녀노소 빈부귀천 에 상관없이신 문을 통해 외국 물정 과국내사정을알게하자­는뜻이니, 우리 신문을 보면 새 지각과 새 학문 이생길 것을 미리 안다 .… 신문을 통해 조선인의 소견과 지혜가 발전 하기를바란다.' 117년 전작성된창 간사지만, 종이없이신문이 발행되 는 첨단시대에도 여전히 '신문읽기' 를권하는글로부족함이­없다 .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United States